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입시컨설팅사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인터뷰 및 사교육 종사자와 공교육 종사자의 전문가적 견해를 탐색함 으로써, 입시컨설팅사교육 서비스 상품의 수요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생 10명, 사교육기관 종사자 8 명, 공교육 종사자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주제분석법을 활용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학생들이 입시컨설팅사교육을 수요하는 목적은 진로 및 진학에 대한 정보 획득, 진 로 및 전공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 도움, 구체적인 입시계획 수립, 불안심리를 완화하는 것이었다. 입시컨설팅사교육에 대 한 만족도는 진학 선택이 진로 선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았으며, 고가일수록 더 긍정적이었다. 둘째, 입시컨설팅사교육 의 수요 경로는 지인추천, 학원 및 사교육 업체 추천, 입시 관련 커뮤니티를 통한 참여, 사교육 기관의 설명회(간담회)를 통한 참여 등 다양하였다. 셋째, 입시컨설팅사교육의 비용은 상담 횟수, 전공에 따라 다양했으며,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 었다. 학생들은 미래의 위험 완화와 안정성을 입시컨설팅사교육에 기대하였고, 높은 비용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고가의 입시컨설팅사교육을 수요하고 있었다. 입시컨설팅 사교육 비용은 학생들이 유리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교육 투자의 성격을 가지는 동시에 불안심리를 완화하는 소비적인 경향이 있었다. 입시컨설팅사교육의 효용성을 높 이기 위해서는 학생 및 학부모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중요하고, 사교육 종사자가 시장의 논리에 매몰되지 않는 서비스 를 제공하여야 한다. 정부는 공교육 내실화의 일환으로 진로전담교사를 양성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사교육분야의 컨설턴 트들과 위탁 및 협조할 필요가 있다.
        6,300원
        2.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진핑 신정부가 2013년에 들어서면서 교육부는 정치교육을 강화하였다. 교육부는 고교학업수평고사 도입(2014), 대학입시제도 개혁(2016), 고교교육과정표준 개혁(2017 /2020)을 진행했는데, 그 결과 고교 경제교육 체계와 내용은 다음과 같이 변화되었 다. 첫째, 경제영역을 포함한 ‘사상정치’는 선택성 과목으로 바뀌었다. 둘째, 사상정치 중 정치영역 학습량은 늘어난 반면, 경제영역은 감소 되었다. 셋째, 영미권 ’주류경제 학‘의 주요 개념과 이론교육이 생략되었다. 넷째, 대학입시 선택과목 중 사상정치가 선택되는 비율이 최저치로 떨어졌다. 다섯째, 사상정치 중 경제영역 문제 비중은 2 4% 수준으로 축소되었고, 난이도는 더 쉬워졌다. 여섯째, 정치교육 강화 방침에 따라 사상정치 교과목의 절대 학습량은 오히려 증가했다.
        7,000원
        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2016년 중국 대학입시 어문과목의 출제문항을 분석하여 2016년 중국 대학입시 의 특징과 변화, 그리고 어문 과목의 출제형식과 중점을 검토했다. 2013년 중국공산당 18대 3 중전회 이후 중국의 대학입시는 중앙정부의 정치적 방향성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구체적으 로는 일점사면(입덕수인을 핵심으로 하고 사회주의 핵심가치, 전통문화, 의법치국, 창신정신 을 심화)”의 원칙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출제원칙들이 2016년 입시 어문 문항에 서 인물전기 중심의 문언문 독해 지문, 전통문화 요소에 대한 강조, 창신정신과 현실성을 반 영한 작문 문항 등의 특징으로 구체화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는 최근 고위공직자 사정, 중국몽 과 소프트파워에 대한 추구 등 현대 중국의 시대적 과제를 반영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5,200원
        5.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reening ratio and practical skill test of the exam of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National Universities which are the institutions to nurture PE teacher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mon things and differences of those exams. To do the study, 11 National Universities which hav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Screening ratio and details of practical skill test were analyzed based on the exam materials of those colleges in 2012. From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xam of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was composed of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Practical Skill Test, Comprehensive School Record of High School, Interview and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and universities have different schemes to select their students. Among them, National Universities Entrance Exam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Practical skill test was composed of basic physical strength test and sports skill test. There were various variations in the number and contents of the measurements among schools. Basic physical strength elements were limited to agility, quick reaction, muscle endurance and flexibility. For sports skill test, gymnastics, athletics, volley ball, basketball, soccer, handball and dancing were tested. Accordingly, it is thought necessary to introduce more objective and valid examination system to verify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of the students suitable for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which nurtures future PE teachers.
        4,300원
        6.
        201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外國의 대학입학시험을 통해 韓國의 大學修學能力試驗, 그중에서도 ‘漢文’ 과목 출제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기획한 것이다. 이를 위해 中國의 대학입학시험인 ‘普通高等學校招生全國統一考試’의 ‘語文’ 과목, 그리고 日本의 ‘大學入學者選拔大學入試センター試驗’의 國語과목 중 韓國의 ‘漢文’ 과목에 해당하는 문항을 분석한 기왕의 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경우 한문 과목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 포함되어 시 행되기 시작한 2005학년도 6월 모의평가부터 2011학년도 9월 모의평가까지 총 20 회에 걸친 모의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을 검토 대상으로 하였다. 반면 중국 의 경우에는 2009년 全國卷Ⅰ, 全國卷Ⅱ, 北京卷의 3種만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는데, 그 이유는 이들 시험이 동일한 敎育課程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 이다. 중국에서는 2004년부터 新敎育課程이 일부 지역부터 시행되기 시작하여 현 재 전국적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관계로 지역별로 시험에 적용하는 교육과정 이 다른데, 2009년에 시행된 이들 3종의 시험은 모두 舊敎育課程의 적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일본 大學入試センター試驗의 국어 과목이 하나로 통합된 2006년 시험부터 2007년 시험까지 총 4회를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시험의 구성(문항 수, 시험 시간, 문항당 소요 시간, 배점), 문항의 내적인 면(문 항의 유형, 지문 내용 및 문항 배열), 문항의 외적인 면(문항 형식, 문두 표현, 답 지의 배열, 밑줄 표시, 문제지 면수) 등의 측면에서 三國의 시험을 비교 분석하였 는데, 이를 통해 지문 내용 및 문항의 배열, 평가 방향 및 문항의 유형 등과 관련 하여 여러 가지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12,300원
        8.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과학은 다양한 생명체가 살고 있는 지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주로 우리 후손들을 위한 건강하고 풍요롭고 쾌적한 환경 조성에 관심을 가진다. UNESCO와 국제지질과학연맹(IUGS)은 과학자들, 의료 전문가들, 그리고 일반 대중에게 의학지질학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자 1996년 의학지질학 연구회를 설립한 이후, 5년간의 국제 지질대비 연구과제(IGCP 454 Medical Geology, 2000-2004)의 성공적인 수행에 이어 2006년에는 국제 의학지질학 연합(IMGA)의 활동에 힘쓰고 있다. 의학지질학과 IMGA는 그동안 수많은 국제회의, 세미나, 워크샵, 심포지움 및 각종 출판물들을 통해서 자연계의 지질학적 요소들과 사람 및 동물들이 고통 받는 질병 간의 관계를 알리는 데 큰 성과를 거두었다. UNESCO에 의하여 추진되고 있는 의학지질학과 IMG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지구과학은 의학 및 치의학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생물, 화학, 물리 뿐 아니라 지구과학도 반드시 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입시 과목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UNESCO IGCP 454 의학지질학 사업과 IMGA의 활동을 소개함으로써 앞으로 지구과학이 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입시 과목으로 선정되어 우리나라 과학 교육의 균형 발전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5,100원
        10.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eneral aspects of the selection of science subjects for the enterance examination of college and the factors affecting on tendency of the selection were investigated by using the data of registration records from a preparatory school for examinee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of the students choose biology and the rest of them chemistry, earth science and physics in order. Secondly, the difference of the tendency of selection of subjects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are not found. Third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the national preliminary enterance examination for college and that of the trial examination in preparatory school is neglibibly small.
        4,000원
        11.
        1980.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12.
        1971.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3.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대학입시센터시험의 구성과 응시자 수, 점수 등을 이과 교과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수능과 비교하고, 물리Ⅰ 과목의 개별 문항의 내용 수준, 행동요소, 난이도 등을 조사하고 문항의 형식적, 내용적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수능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센터시험의 경우 대부분의 응시생이 이과 시험을 응시하고 있으며, 지학Ⅰ에 비해 물리Ⅰ의 응시 인원이 훨씬 많았다. 센터시험의 물리Ⅰ 문항은 수능에 비해 단순 지식을 묻는 문항의 비율이 높았으며 수능에 비해 다소 쉽게 출제되는 것으로 보인다. 검사지의 문항 수, 배점, 답지 수와 같은 형식적인 면과 문제 상황에 대한 표현과 같은 내용적인 면에서 센터시험이 수능에 비해 유연하므로 수능에 비해 실생활과 관련한 문항의 출제 비율이 높았으며 전체적인 문항 출제가 용이한 것으로 보였다.
        14.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고의 입시문항이 중학교 영어공부에 끼치는 환류효과가 높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1년에서 2006년 사이에 수도권 지역 외국어고등학교에 출제된 시험 중 온라인으로 구할 수 있는 듣기 492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듣기문항의 지문의 종류와 언어적 복잡도, 지문의 소재, 문항의 유형 등으로 나누어서 분석했다. 분석은 외고시험 출제나 수능과 같은 고 부담 시험의 출제 경험이 있는 교사와 교수 10명과 현장교직 경험이 5년 이상인 교사 10명으로 합쳐서 20명의 전문가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듣기문항의 지문 종류는 대화, 담화, 독해, 통합의 순서로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았고 언어적 복잡도의 경우는 담화나 대화 지문에서의 어휘 난이도 보다 독해 지문에서 어휘의 난이도와 문장의 복잡도가 더 높았다. 지문의 소재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것이 8.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회와 인문학적 소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의 유형은 특정 사실을 맞추거나, 들은 내용 중 맞고 틀린 것을 고르거나, 적절하게 이어지는 할 말을 찾는 등의 간접 말하기 지문과 같은 일반적인 유형 이외에 독해지문과 같이 다양한 실제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듣기를 통해 통합적으로 평가하는 문항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