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KR-8100P, Nvision K-5001, KR-1W로 측정한 굴절이상도를 자각식 굴절검사와 비교하여 정확 도를 평가하였다. 방 법: 근시성 난시안인 20 ~ 29세 성인 42명(84안, 23.90±2.39세)을 대상으로 내부형 자동굴절계 (KR-8100P), 개방형 자동굴절계(Nvision K-5001), 파면수차계(KR-1W)를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각각 측정 하였고, Power vector를 이용하여 등가구면굴절력을 나타내는 M 성분과 원주굴절력 J0 와 J45 성분으로 변 환하여 분석하였다. 검사기기 측정값의 정확도는 자각식 굴절검사를 기준으로 각각의 기기에서 측정한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KR-8100P와 자각식굴절검사의 M, J0, J45 각각의 차이값의 평균은 -0.34±0.42 D, 0.06±0.22 D, -0.08±0.15 D로 모든 성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Nvision K-5001과 자각식굴절검사의 M, J0, J45 차이값은 0.20±0.47 D, -0.03±0.22 D, -0.01±0.16 D로 M 성분에서 차이가 있었고(p<0.05), J0, J45 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17, p=0.68). KR-1W와 자각식굴절검사의 M, J0, J45 차이값은 -0.14±0.39 D, -0.02±0.18 D, -0.02±0.14 D로 M 성분은 차이가 있었고(p<0.05) J0 와 J45 에서는 차 이가 없었다(p=0.43, p=0.05). 각각의 기기로 측정한 M, J0, J45 성분들의 정확성계수는 KR-8100P에서는 0.823, 0.431, 0.294, Nvision K-5001에서는 0.921, 0.431, 0.313, KR-1W에서는 0.764, 0.352, 0.274로 나타났다. 결 론: 자각식 굴절검사를 기준으로 비교한 자동굴절계의 정확도는 KR-1W가 KR-8100P와 Nvision K-5001보다 더 높았고, 검사값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임상적으로 판단할 때 차이 가 있다고 할 수 없는 정도이기 때문에 자동굴절계는 모두 자각식 굴절검사를 위한 예비검사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4,200원
        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Auto Ref-Keratometer(ARK-510A: NIDEK Co.)와 Corneal Analyzer(OPD-SCAN Ⅱ: NIDEK Co.)의 임상성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구 내 질병이 없는 33명의 성인(27.42±3.3세)을 선정하였다. 한 명의 검사자가 자동굴절검사(ARK-510A: NIDEK Co. 및 OPD-SCAN Ⅱ: NIDEK Co.)와 자각식 굴절검사를 최소 1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1차와 2차) 실시하였다. 측정값을 J 벡터(M, J0, J45)로 변환하고 신뢰도와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ARK-510A의 test-retest의 평균 차이와 95% 일치구간은 M=-0.027±0.405D(-0.821~0.767D), J0=0.020±0.138D(-0.250~0.290D), J45=-0.002±0.097D(-0.192~0.188D)였고, OPD-SCANⅡ은 M=0.094±0.495D(-0.876~1.064D), J0=0.026±0.138D(-0.244~0.300D), J45=0.002±0.093D(-0.180~0.184D)였다. ARK-510A의 신뢰도계수는 M=0.992, J0=0.976, J45=0.932였고, OPD-SCANⅡ M=0.989, J0=0.967, J45=0.903이었다. 자각식굴절검사값과 ARK-510A 측정값의 평균 차이와 95% 일치구간은 M=0.258±0.600D(-0.918~1.434D), J0=-0.088±0.116D(-0.315~0.139D), J45=-0.009±0.120(-0.244~0.226D)이었고, 자각식굴절검사값과 OPD-SCANⅡ은 M=0.381±0.624D(-0.842~1.604D), J0=0.022±0.098D(-0.170~0.214D), J45=0.001±0.108D(-0.210~0.212D)이었다. 두 기기의 정확도는 M(p=0.006)과 J0(p=0.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자동굴절계(ARK-510A)가 각막분석계(OPD-SCANⅡ)보다 신뢰도와 정확도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에서 굴절이상을 측정하기 위해 각막분석계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 This study measured obiectively the accommodative responses stimulated by push-up method and minus lens method with the NVision-K 5001 open-field autorefractor,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previously published data. Methods : Forty-five subiects aged 19 to 29 years (mean 22. 7±2.4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conditions were used to stimulate accommodation and accommodative responses were measured objectively by NVision-K 5001 : (1) push-up test under binocular viewing condition ; the target was placed at vergence ranging from 0-50 in 1D steps. (2) push-up test under monocular viewing condition ; the target was placed at vergence ranging from 1-50 in 1D steps. (3) minus lens test under monocular viewing condition ; a distant(6 m) target viewed through increasing powered minus lenses from 1-50 in 10 steps. Trial lens calibration procedures were also performed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NVision-K 5001. Results : The calib1·ation of NVision-1< 5001 wilh trial lenses showed linear regression equation which was close to the idea! 1 : 1 line(y = -1.005x + 0.060, r2 = 0.999. p < 0.001). The accommodative responses measured with the NVision-K 5001 for the push-up and minus lens- stimulated accommodation progressively lagged behind the increasing acconunodative stimulus. 8oth push-up methods under monocular and binocular viewing conditions showed significanlly higher acconunodative responses than minus lens method(p < 0.001). Push-up method under binocular viewing condition demonstrated slightly higher accommodative responses compared with monocular conditio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p = 0.958). Conclusion : The objective accommodative responses stimulated by push-up and minus lens method and measured with open-field autorefractor showed good agreement with previously published data.
        4,000원
        5.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택트렌즈의 교정굴절력을 결정하기 위한 over-refraction에서 자각적 굴절검사와 타각적 굴절검사의 오차 발생분포를 평가하기 위해, 교정시력이 1.0 이상이고 콘택트렌즈 착용 경험이 있는 40명 80안(남 23명, 여 17명, 24.6±2.9세)을 대상으로, 물성이 다른 5종의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렌즈 착용 전과 착용 후 자각적 굴절검사와 자동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콘택트렌즈의 처방은 교정굴절력이 ±3.00D 이상인 경우 정점간거리를 보정하였고, 등가구면굴절력을 적용하였다. 5종의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각적 굴절검사와 자동굴절검사로 over-refraction을 실시한 결과, 구면굴절력은 하루용 소프트콘택트렌즈(p
        4,200원
        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개발된 자동굴절계 (URK 700, Unicos사)의 임상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50 명 (100 안)을 대상으로 자동굴절검사와 자각식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표준표기법의 굴절이상도를 벡터 (h)로 전환하여 수평성분 (hl) , 회선성분 (hz) , 및 수직성분 (h3) 에 대 하여 분석하였다. 동일한 대상을 최소 30분 간격을 두고 2 회 측정한 자동굴절검사값의 평균은 모든 성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95% 일치구간은 수평성분 -0.83D - +0.78D, 회선 성분 -0.21D - +0.21D 및 수직성분 -0.82D - +0.78D 였다. 자각식 굴절검사값과 자동굴 절계로 측정한 굴절이상도의 평균 차이는 수평성분(hl) -0.15:t0.5ID, 회선성분(hz) -0.03:t 0.14D, 수직성분(h3) -0.34 :t 0.55D 였으며, 95% 일치구간은 수평성분 -1.l4D-+0.85D, 회선성분 -0.31D - +0.25D 및 수직성분 1.42D-+0.73D 였다. 자각식 굴절검사값과 자 동굴절검사값의 차이가 임상적으로 유의한 수준인 0.50D 이상을 보인 빈도는 수평성 분 17%, 회선성분 0% 및 수직성분 23% 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URK 700 자동굴절계는 외국산 자동굴절계의 신뢰도 및 정확도와 비교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임상성능의 개선이 요구되지만, 자각식 굴절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피검자의 굴절이상을 평가하는데 검영법을 대신하여 유용하게 활 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K -5000 Auto Ref-Keratometer(Potec Co.) 의 임상성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54 명(1 08 안)을 대상으로 자동굴절검사 자각식굴절검사 자동각막콕률측정 및 수동각 막곡률측정을 실시하였다. 굴절이상도 및 각막곡률 측정값을 디옵터굴절력 매트럭스 로 전환하였다. 통일한 대상을 최소 1 일 간격을 두고 2 회 측정한 자동굴절검사 측정값의 Tcst 와 Retest의 평균은 PRK• 5000 및 Control 자동굴절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자 각식 굴절검사값과 자동굴절검사값의 차이 는 등가구면 (PRK -5000, 0.120 :t 0.438D ; Control, 0.120 土0.365Dl, 회 선성분 (Control , 0.098 :t 0.166D) 및 수직 성분 (PRK-5000 , 0.262 :t 0.484D; Control. 0.228 :t 0.429D) 에서 유의하였다 .95% 일치구간은 등가구면 (PRK-5000, • 0.738 -_ +0.978D, Control, -0.595 ~ +0.835D) , 수평성분 (PHK -5000, -0,986 ~+0.942D, Control, -0, 773~+0.799Dl 빚 수직성분 (PRK -5000, -0.687 ~ + 1.21ID, Control. 0.613 ~ + 1. 069D) 에서 PRK-5000 이 :t0.20D 이내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막곡플 측정값의 재현성을 나타내는 Test와 Retest 의 평균은 PRK-5000 빚 Control 자동곡률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수동 및 자동 각막곡률 측정값의 차이 는 mean K(PRK -5000, -0,087 :t 0.12ID; Control, 0.1 16 :t 0.128DJ, 수평 성 분 (PRK-5000, • 0.051 :t 0.153D; Control, • 0.061 :t 0.144Dl, 회 선 성 분 (PRK← 5000, 0.098 :t 0.256D) 빚 수직 성 분 (PRK -5000, 0.l 28 :t 0.193D; Control, 0,302 :t 0 .1 8ID) 에 서 유의 하 였다. 95% 일치구간은 회선성분 (PRK-5000, -0.404~+0.60ID , Control, -0.380~ +0.326) 에서만 PRK-5000 이 :t0.15D 정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RK -5000 Auto Ref- Keratometer의 굴절이상도 및 각막 곡률 측정값에 대한 신뢰도와 정확도플 분석한 결과, 자각식 꿀절검사를 섣시하기 전 에 피검자의 굴절이상을 대략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자료플 얻고, 수동 케라토 u1 터룹 대신하여 콘택트렌즈를 피팅하거나 각막의 형상을 분석하기 위해 각막곡률을 측정하 는데 적 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