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imed to develop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 “Room of Errors” simulation program for educating nursing student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Methods: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method (two group, before and after evaluation) and enrolled 35 nursing students as the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using SPSS/WIN Statistics version 25.0. Results: After completing the “Room of Errors” simul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score of intention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 “Room of Errors”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effectively increased the intention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4,600원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Korea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on new nurses'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performer 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Methods: This is a non-equivalent controlled pre-post quasi-experimental study. A simulation-based CPR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to 37 new nurse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lower on emergency management knowledge (83.65±7.61) than the control group (84.55±9.22), which was not significant (t=-4.46, p=.657). However,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109.59±9.98) than in the control group (100.24±11.87) (t=3.581, p <.001). Performer confid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23.43±3.29) than in the control group (19.90±3.85) (t=3.69, p〈.001). In addition, the learning satisfactio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96.16±5.6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88.42±11.13) (t=3.72, p< .001).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imulation training is an efficient way to improve new nurses'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erformer confidence. Therefore, applying simulation training in scenarios can improve new nurses' work competence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care.
        4,300원
        3.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자신감, 자기효능감,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예측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요양보호사 202명을 대상 으로 2022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자료수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의사소통 자신감과 정적 상관관계(r=.54, p<.001), 응급처치 수행자신감은 의사소통 자신감(r=-.18, p<.05),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31, p<.001).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예측 요인으로 간호조무사가 없을 때(β=-.18, p=.009)와 자기효능감(β=-.30, p<.001)으로 나타났고, 설명력 은 11.0%였다(Adj R2=.110, p<.001).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요양보호사의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향상을 위 한 응급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4,600원
        4.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ory, and learning confidence differences after virtual and then laboratory simulations. Methods: A two-group cross-over design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included 148 senior nursing students (74 teams). The treatments had virtual and then laboratory simul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COVA and Chronbach’s αcoefficient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laboratory simulation after virtual simulation were different totally or partially with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virtual simulation first i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confidence. Conclusion: Effects based on order of simulation were different. To increase learning immersion, laboratory simulation was done before virtual simul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confidence, it were not affected by order of simulation type but by number. Repeated studies require clearly investigating the effects based on order of simulation type.
        4,500원
        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의료 관련 감염 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자신감, 표준주의 실행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표준주의 실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4일부터 10월 12일까지 G 광역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표준주의 실행도는 감염예방 지식(r=.27, p<.001), 감염관리 자신감(r=.52, p<.001)과 정의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염예방 지식은 감염관리 자신감((r=.27, p=012)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실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염관리 자신감(β=0.45, p<.001), 피부 접촉 경험이 없는 경우(β=0.18, p<.004), 감염예방 교육을 받은 경우(β=-2.65, p<.009), 감염예방 지식(β=0.15, p<.019)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5%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 대로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실행도를 높이기 위하여 감염예방 지식과 감염관리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표 준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4,300원
        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competency through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Simulations included blood transfusion care for cancer patients, pneumothorax post-op care, and blood pressure control for hypertension care. Moreover,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mulations on anxiety, self-confidence,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Method: Participants completed a survey on student satisfaction, self-confidence, and anxiety. A prospective, one-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of 135 fourth-grade nursing students was used. A simulation scenario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sign. It consisted of pre-briefing, practice, serial tests, and debriefing. A simulation of three scenarios comprised blood transfusion care for cancer patients, pneumothorax post-op care, and blood pressure control for hypertension care. Twenty hours of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practicum consisting of three scenarios dealing with major adult diseases was conducted. Result: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ver time in self-confidence (t=4.67, p<.001), student satisfaction (t=3.94, p<.001), and anxiety (t=-4.63, p<.001) after the evidence-based nursing simulation. Conclusion: Simulation of evidence-based education may be a useful and effective learning strategy. Nursing educators can design evidence-based simulation programs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iveness.
        4,600원
        7.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리더십이 선수의 운동몰입과 스포츠자신 감을 통해 선수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태권도 선수들 을 대상으로 총 665부의 설문을 수집하였고, 유효하지 않은 49부를 제외하고 총 616부를 사용하여 SPSS와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리더십과 선수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 계에서 모든 측정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리더십과 선수의 운동몰입 간의 관계에서 모든 측정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리더십과 선수의 스포츠자신감 간의 관계에서 모든 측정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선수의 운동몰입, 스포츠자신감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모든 측 정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섯째, 선수의 운동몰입과 스포츠자신감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선수의 운동몰입 과 스포츠자신감은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리더십과 선수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 계를 부분 매개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6,700원
        8.
        2022.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preparation education implemented with smart glasses in augmented reality on the performance ability, performance confid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clinical nurses at B hospital—2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in the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tools were performance ability (24 items), performance confidence (11 item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9 items). The experimental group intervention used augmented reality with smart glasses, and the control group used video resour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x2-test, and ANCOVA using the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5.0. Results: Th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 = 104.83, p < .001). Performance confidence was considerab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 = 2.09, p = .041). Finally,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 = 4.52, p < .001).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ECMO education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with smart glasses i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 ability, performance confid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4,200원
        10.
        202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1.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 만족도, 보고자신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이며 2개 대학교에서 임상실습을 6주 이상 완료한 3학년을 편의 추출하였다. 대상자 수는 SBAR 보고교육을 받은 103명과 교육을 받지 않은 113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명 확성과 의사소통능력은 양의 상관관계(r=.52, p<.001)가 있었고, 보고자신감은 의사소통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53, p<.001)가 있으며, 의사소통능력은 보고자신감과 양의 상관관계(r=.46, p<.001)가 있었다.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명확성(β=.29, p<.001), 의사소통만족도(β=.43, p<.001), 보고자신감(β=.15, p=.009)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49.0%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에게 임상실습 중 실무능력을 파악하여 보고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제도와 교수방법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4,600원
        12.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을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하여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수행능력, 자율실습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 이다. 연구대상은 K도 소재 U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74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배정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정규성검정은 왜도와 첨도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처치의 효과측정을 위한 종속변수 검정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ETTLEP 모델 기반 심 상훈련은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t=4.18, p<.001),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지식(t=2.241, p=.032), 간호술기(t=8.402, p<.001)), 자율실습 참여도(t=6.822,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은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핵심기본간호술 중 난이도가 높은 항목의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600원
        1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self-directed practice using augmented reality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ability to apply them, and satisfaction with self-study. Method: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synchronized pretest/posttest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8 second-grade nursing students (29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9 in the control group) from Y city.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the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16 questions), performance ability (23 questions), and satisfaction with self-practice (17 questions). The experimental group intervention was an autonomous practice using augmented reality simulation, and the control intervention was an autonomous practice using video-based interven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x2-test, and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nursing skill confidence (F=25.79, p<.001), nursing skill performance ability (F=67.10, p<.001), and self-study satisfaction (F=14.10, p=.001). Conclusion: Self-directed practice using augmented reality simulation was confirmed to be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confidence, ability and practice satisfaction in nursing skills.
        4,300원
        14.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환자안전관리 지식 7.0점, 환자안전관리 태도 3.86점, 임상의사결정능력 3.47점,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 4.15점이었다.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은 환자안전관리 지식(r=.216, p<.01)과 환자안전관리 태도(r=.375, p<.01), 임상의사결정능력(r=.467, p<.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임상의사결정능력(β=.409, p<.001)과 환자안전관리 태도(β =.198, p=.011) 이었고 설명력은 26.3%이었다.
        4,200원
        1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compares the chest compression quality, and the willingness and confidence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before and after education between the compression only CPR (COCPR) group and the standard CPR (STCPR) group using manikins. Method: This study employ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A total of 219 and 214 individual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CPR and STCPR groups, respectively. Both groups were asked to perform CPR for 2 min before and after education. The willingness and confidence to perform CPR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Results: Before education, the STCPR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chest compression depth and accuracy than the COCPR group for the entire 2 min. After education, the STCPR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chest compression depth for 2 min and higher compression accuracy for late 1 min than the COCPR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llingness and confidence to perform CPR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method was evident. Conclusion: Repeated training is required to maintain chest compression quality. CPR education improves willingness and confidence to perform CPR.
        4,500원
        16.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자기와 영혼의 대화」에서 연인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추구한 다. 반면 휘트먼은 「나자신의 노래」에서 신과 인류에 대한 원대한 사랑을 약속한다. 본 논문은 예이츠의 『환상록』을 중심으로, 2장. 상징의 완성의 네 원리와 3장. 영혼의 심판의 영의 사후 상태를 전통적인 신비주의 체험과정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를 영/영혼과 다이몬, 정념체와 천상체, 제13원추와 서로 연관되도록 정리하였다. 달의 28상에서 대립상적 성향의 17상 예이츠와 기본상적 성향의 6상 휘트먼의 세계관은 상이하다. 하지만 두 시인은 서정 시인의 창조력, 신념처럼 ‘궁극적 본질을 완성하는 삶’으로 우리를 이끈다.
        6,900원
        17.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8.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ice recording as a speaking assignment on Korean EFL nursing students’ speaking confidence and perceptions of speaking assign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2 nursing students who took college English course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voice recording assignment for speaking practice during 5 weeks and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that did not receive treatment by the researcher. Speaking confidence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hievement of the participants’ speaking confidence after speaking assignment of voice recording performed by them.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had positive reaction to the experience of the assignment. This suggests that voice recording assignment encourages students to have their speaking confidence and helps them to overcome speaking difficulties in EFL environment.
        5,200원
        1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nursing care for children with fever. Method: A one-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A total of 59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imulation-based learning in the nursing care of children with fever may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nursing students.
        4,300원
        2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 연구들은 도덕적 판단이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받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혐오감이 도덕적 엄격함을 유도하며, 도덕적 처벌에 대한 청중효과는 이를 보여주는 예들이다. 도덕적 판단이 유동적이라는 것은 강한 정서적, 인지적 효과를 가진 영상자극이 도덕적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게 한다. 긍정영상이 도덕적 행동을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준 연구들은 일부 존재하지만(Schnall, Roper, & Fessler, 2010), 부정영상이 도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인간의 선함과 악함을 보여주는 영상이 자신과 타인에 대한 도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에게 인간의 긍정 혹은 부정적인 면을 보여주는 영상을 시청하게 한 다음, 자신 혹은 타인의 도덕적 위반행위의 옳고 그름에 대해 판단하게 하였다. 그 결과 영상의 내용(긍정, 부정)과 행위주체(자신, 타인) 모두 도덕적 판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특히 인간의 악함을 보여주는 영상을 시청한 경우 참가자들은 타인의 도덕적 위반행위를 더욱 가혹하게 판단하였다. 이 결과는 영상의 내용이 도덕적 판단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이 행위주체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덕적 혐오, 프레이밍 효과, 기본적 귀인오류에 근거하여 이 결과를 해석하였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