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extra-long tunnel accidents by integrating data on tunnel geometry, traffic flow, and traffic accidents and derives the underlying implications to mitigate the severity of accidents. METHODS : Two processes centered on three key data points (tunnel geometry, traffic flow, and traffic acciden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first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xtra-long tunnel traffic accidents and categorize them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e other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xtra-long tunnel traffic accidents using the equivalent property-damage-only (EPDO) of individual accidents and the aforementioned data as the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by employing an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 Gyeonggi-do, Gyeongsangnam-do, and Gangwon-do are three metropolitan municipalities that have a significant number of extra-long tunnel accidents; Busan and Seoul have the most extra-long tunnel accidents, accounting for 23.2% (422 accidents) and 18.6% (339 accidents) of the 1,821 accidents that occurred from 2007 to 2020, respectively. In addition, approximately 70% of extra-long tunnel traffic accidents occurred along tunnels with lengths of less than 2 km, and Seoul and Busan accounted for over 60% of the top 20 extra-long tunnels with accidents. Most importantly, the Hwangryeong (down) tunnel in Busan experienced the most extra-long tunnel traffic accidents, with 77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same period. As a result of the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with EPDO and multiple independent variables,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extra-long tunnel traffic accidents were determined to be road type (freeway, local route, and metropolitan city road), traffic flow (speed), accident time (year, summer, weekend, and afternoon), accident type (rear end), traffic law violations (safe distance violation and center line violation), and offending vehicles (van, sedan, and truck). CONCLUSIONS :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mitigating the severity of extra-long tunnel traffic accidents must be considered: upgrading the emergency response level of all road types to that of freeways and actively promoting techniques for regulating high-speed vehicles approaching and traversing within extra-long tunnels are necessary. In addition, the emergency response and preparation system should be reinforced, particularly when the damage from extra-long tunnel traffic accidents is more serious, such as during the summer, weekends, and afternoons. Finally, traffic law violations such as safe distance and centerline violations in extra-long tunnels should be prohibited.
        4,000원
        3.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대터널은 터널이 갖는 고유 특성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주행안정성이 저하되고 사고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신규 터널 설계시 사전에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터널 주행시 나타나는 안정적인 속도유지 곤란과 졸음운전 가능성의 증가, 사고발생 시 높은 치사율 및 운전자가 경험하는 주관적인 불안감 등으로 인하여 설계 단계부터 시공에 이르기까지 교통심리학 및 인간공학적인 측면에서 숙고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10km 이상의 장대터널(고속국도 60호선 춘천~양양간 건설공사 제14공구 내인제터널) 기본 설계안에 대한 운전자의 주행안정성을 평가한 후, 터널주행에 따른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사고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위험구간 및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양양 및 춘천 방면 모두 도로선형이 바뀌는 변곡점을 전후하여 주행안정성이 저하되고 운전부하가 높아 위험구간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4,000원
        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장대 철도터널 및 철도사고와 관련하여 기존 국내 소방대응체계 및 해외 소방대응체계를 분석하고 Golden time안에 소방관이 신속히 사고현장으로 접근하여 인명 구조 및 소방대응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주목표라 할 수 있다. 국외 선진국에서는 매해 철도사고(도심철도 및 일반철도, 고속철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철도사고에 대응하기 위하여 초장대터널 주변에 화재진압열차를 배치해 두고 있으며 일반 철도 사고발생시 출동이 가능하도록 Rail road형 특수소방차량이 개발되어 철도인근 소방서에서 즉각적인 대응을 하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있다. 그러나 국내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는 구조적으로 외부접근을 차단하기 위해서 방벽 및 고가다리에 위치하고 철도터널의 경우 소방법규에 적용을 받지 않아 소방 설비가 미 구축되어 터널내부에서 화재사고발생시 대형인명사고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도심철도 또한 대부분이 지하에 설치된 초/장대터널 구조로 되어 있어 사고발생시 탈출하는 인원과 농연으로 인한 시야제한, 다양한 장애물로 인하여 외부에서의 소방관의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국외에서처럼 철도 및 철도터널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특수소방차량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며 특히 노후화된 도심철도에 대한 소방대응기술의 개발 및 적용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