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 온실 내부의 방대한 환경인자를 활용하여 판별분석을 실시하고 딸기의 재배 베드 단수에 따른 온실 내부의 환경인자를 분석함으로 써, 딸기 분야에서 계측된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인자별(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EC 및 pH) 동질성 검정의 유의확률은 각각 0.0001, 8.2788E-38, 4.3310E-85, 1.3001E-16 및 0.0001로서 설정한 유의수준 0.05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분석결과 판별함수식은 F(x)1 = –60.5664 -0.1339×Temperature –0.0087×Humidity +0.0018×CO2 +0.1014×EC +8.3860×pH, F(x)2 = –12.4928 +0.1963×Temperature –0.0024×Humidity +0.0254×CO2 –0.0187×EC –0.3651×pH로 도출되었다. 판별함수식의 정확도는 대상 온실 A (81.1%) 및 B (96.1%)보다 대상 온실 C (100.0%)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 가능한 대상 온실별(A, B 및 C) 분류함수는 각각 – 1836.7035 – 2.8733×Temperature + 0.1355×Humidity + 0.4186×CO2 + 7.4351×EC + 484.5901×pH, – 1710.8369 – 2.7701×Temperature + 0.1550×Humidity + 0.3937×CO2 + 7.2482×EC + 468.1477×pH, – 2291.7125 - 3.9756×Temperature + 0.0723× Humidity + 0.4177×CO2 + 8.1961×EC + 546.8476×pH로 나타났다. 특히 판별함수식을 근거로 환경인자별 새로운 측정값이나 자료를 입력하였을 때, 특정 그룹으로 분류가 가능함으로써 데이터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인자는 식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환경인자 측정값의 활용도를 높여주는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agriculture of strawberry cultivation, it is necessary to loosening and breaking up of the intertwined coco peat and strawberry root in order to cultivate strawberry again.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strawberry rotary device for using breaking up of coco peat and strawberry root. In order to perform crushing coco peat on the bed, the rotary device was designed under the weigh 20kg with the speed 11.75m/min, and it can operate on bed width from 250~310mm. Due to different depth of bed, the body of device also was designed screw holder to adjust the hight from 0~120mm. To evaluate the safety of structure, body device was analyzed in static and free vibration state by using Abaqus program. The device was applied maximum load 1177.2N, and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was reached 41.9MPa. The free vibration analysis of two rotating cutter showed minimum natural frequency mode 338.58Hz and 339.9Hz.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signed rotary device was satisfied and has enough strength under design and simulation conditions.
        4,000원
        3.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movable bed cultivating system for strawberry cultivation that enables to increase crop yield and save labor through high-density cultivation.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raised-bed system, the best feature of the system is a culture bed moving freely, left, right, up and down. This system consists of four devices; longitudinally- and laterally-moving device, nutrient solution supply device, and a control device. A comparativ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trawberry growth between a conventional raised bed and the movable bed cultivation systems. In addition, the change of growing environment to high-density cultivation did not influence strawberry growth, which proved the applicability of the movable bed cultivation system. Additional finding of this study showed that about 1.7 times more plants can be planted in movable beds. High-density cultivating using movable beds enables to plant more strawberry within the same cultivated area, which eventually contribute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per strawberry.
        4,000원
        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의 2단 고설베드재배가 끝난 여름철 동안 수박재배 시, 베드 위치와 재식밀도가 수박의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고설 베드상자는 길이 102cm, 폭 22cm, 높이 13cm의 규격이고, 배지는 코코피트(coir)를 사용하였다. 수박은 베드 위치 및 재식밀도에 따라 베드상단 1주(A), 베드 상하단 각 1주로 상단(B) 및 하단(C), 상하단 각2주로 상단 2주(D), 하단 2주(E)로 정식 처리하였다. 수박은 2012년 5월 8일에 2단 고설베드에 정식하여 양액과 점적관수로 재배하였고 7월 25일에 수확되었다. 수박의 품질을 비교하고자, 과실 무게와 크기를 조사하였고, 과육 내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페놀화합물, 당도 및 산도 등의 기능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과실의 외관 품질인 과고, 과폭 및 과중은 A처리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특히 과중은 A, B, C, D, E처리 순으로 무거웠다. 식물체의 초장이나 엽수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줄기 직경과 엽면적은 A처리가 유의하게 컸다. 수박 과육 내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산도는 처리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한편 당도는 A, B 및 D 처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페놀화합물 함량은 A처리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과의 수박 생산을 위해서는 A처리, 소과의 수박 생산에는 D와 E의 처리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마토 코이어 자루재배시 습해의 원인을 구명하고 습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미니찰을 고시하고 단동형 2중 플라스틱하우스에서 실시 되었다. 배양액은 Yamazaki 토마토 전용배양액을 사용하였으며. 배양액 공급시간은 해뜨고 1시간 후 시작하여 해지기 2시간 전에 종료하였다. 자루당 I자형 찢기 및 L 자형 찢기는 6개씩 15cm 길이로 찢었으며, 밑 찢기는 3 개씩 15cm 길이로 뚫었다. 배액구 위치에 따른 배지무게는 포습 24시간 후 I자형 찢기는 14.2kg, L자형 찢기는 13.8kg, 밑 찢기는 12.8kg로 밑 찢기가 가장 가벼웠다. 포습 24시간 후 1일 관수하여 무게를 측정한 결과 I 자형 찢기는 14.5kg, L자형 찢기 14.2kg, 밑 찢기 13.3kg 로 역시 밑 찢기가 가벼웠다. 이것은 밑 찢기에서 배지 내 함수량이 가장 적은 것을 의미한다. 부정근 발생정도 는 I자형 뚫기 및 L자형 뚫기에서 160 및 170개 발생하였으나 밑 뚫기에서는 53개 발생하였다. 뿌리의 건물중 (5주)은 밑 찢기가 57g으로 I자형 찢기 23g 및 L자형 찢기 25g과 비교해서 2배 이상 높았으며, 뿌리길이도 밑 찢기가 31.4cm로 다른 찢기 방법과 비교하여 길었다. 상품수량은 밑 찢기가 26.5kg/20주 로 I자형 찢기 19.7kg, L 자형 찢기 24.0kg와 비교해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따라서 U자형 베드에서 코이어 자루배지를 이용하여 수경재배를 할 경우 배액구는 밑 찢기로 만들어야 습해를 방지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름철에 신선한 곤달비를 생산하기 위하여, 몇 가지 냉각방법에 따른 재배효과를 검토하고 베드의 구조물 및 냉각수단으로서 호스를 이용한 경제적인 팽연화왕겨 간이수경재배베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냉각방법별 곤달비의 생육은 냉수호스, 미스트, 무비가림 순으로 좋았으며, 13℃의 지히수를 약 240/hr의 유속으로 흘려 냉각시켰을 때 지온이 약 2~3℃ 낮아졌다. 여름재배 시 군락부위 부분냉방을 위해 개발된 호스베드시스템은 Φ15cm의 벽과, 유기배지로 팽연화왕겨가 이용된다. 냉수호스베드에서 냉수의 온도가 14~22℃ 범위에서 공급되었을 때 배지의 온도는 18~23℃로 유지되어 냉각효과가 양호하였으며, 스티로폼베드에 비하여 호스베드의 곤달비 군락부위의 온도는 약 0.5℃, 근권부의 온도는 약 3℃ 낮은 등 냉각효과가 있었다. 국부냉방을 위한 호스베드시스템은 곤달비와 같은 키가 작은 엽채류의 여름철 재배에 활용할 뿐 아니라 저온기에는 난방수를 순환하여 별도의 방열배관없이 국부난방에도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간이양액재배베드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8.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화 재배온실에서 사용되고 있으면서 수작업 시 많은 노동시간이 요구되는 국화 유인네트를 대상으로 작업의 소요시간을 대폭 절감시켜 재배 작기를 증가시킴은 물론 국화재배용 유인네트의 베드를 기존 및 신축 국화재배 온실에 보급할 목적으로 네트의 베드를 설계한 후, 베드 및 기존 온실의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총 15종류의 부재에 대한 단면의 특성과 역학적 성질을 검토하고 각각의 부재에 대한 응력비를 검토한 결과, 이들 파이프 중 ∅38.1×1.7t와 ∅38.1×2.0t의 경우, 응력비는 초과하지 않았지만 처짐의 제한 값인 10mm를 초과하였으므로 응력비와 처짐의 제한 값을 모두 만족하는 최적 파이프는 ∅48.1×1.5t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인네트의 베드를 중방에 설치할 경우, 베드 하중, 풍하중 및 설하중 때문에 중방은 트러스로 설계되어야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방을 트러스로 시공할 경우에도 풍하중 및 설하중이 작용하면, 베드의 유무에 관계없이 거창지역의 국화재배 온실의 경우, 기둥과 방풍벽에 발생되는 응력은 허용응력을 초과하기 때문에 적절한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inseng is becoming depleted of virgin cultivation area due to the problem of replant failure. Ginseng farmers have become more burdensome in operating expense because they are more likely to go out to other cities in search of virgin cultivation area. In addition, the quality and yield of ginseng cultivated in one place for many years depend on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every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ginseng in a facility by solving the problems of replant failure and investigating basic soil composi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ginseng for 2 - 6 years.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 90 ㎝ wide, 50cm deep and 22 m long bed made of sandwich panels in a 90% shaded facility for ginseng cultivation. In the lower part of the bed, a 100 ㎜ pipe for drainage and steam sterilization was installed, and the pearlite was filled at a height of 100 ㎜ as a drainage material. The soil for ginseng cultivation was put into the bed. Soil composition was tested in five combinations including virgin soil, yokto, peat moss, pearlite, and vermiculite with different composition ratios including control. The native seedlings were transplanted and grown from 2 years to 6 years. I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ginseng, the best treatments were virgin soil 55%, yokto 10%, Peatmoss 25%, Perlite 5% and 5% vermiculite. Also, the bulk density was reduced by 30% compared to the control. Soil pH and EC tended to increase slightly during all treatments. In the ginsenoside analysis, there were no unusual results for the soil composition and they were almost similar. Conclusion : As a method to continuously grow ginseng in the facility, we tried to grow ginseng by filling the soil in the bed. Soil composition should be within the range of chemistry and physics suitable for cultivation of ginseng, a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conomy and reduce the operating expense. In the future, researches on soil disinfection and nutrient management methods for continuous use should be continued.
        1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hyphal growth of Poria cocos are known to grow well under medium temperature(25 - 28 ℃) and acidic(pH 4.0 - 5.0) conditions. Also, it is known that a large difference in the yield of Poria cocos depending on the cultivation method and environment.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secure stable yield of Poria cocos using plastic house and bed soil. Methods and Results : The inoculation time was in mid-April 2016 and the inoculation amount was 3/4 lb each in pine trees of 60 (L) × 10 (D) ㎝. The inoculated wood was buried directly in the bed by soil composi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after cultivating in plastic house from April to September, 2016. The composition of the bed soil was 6 treatments using peatmoss, cocopeat and perlite. The combination ratio ranges of peatmoss, cocopeat and perlite were 0 to 80 %, 0 to 60 % and 20 to 60 %, respectively. We assumed that the combination ratio of peatmoss (organic material) 60 % : perlite(inorganic material) 40% is good for the growth of the Poria cocos. In this ratio, instead of peatmoss, the amount of cocopeat was replaced by 20, 40, and 60 %, respectively. The pH and EC range of bed soil was 4.8 - 5.6, 0.7 - 2.2 dS/m, respectively. pH and EC tended to be lower in treatments with only peat moss and perlite. On the other hand pH and EC tended to raise with increasing cocopeat content. Volumetric soil water content and soil temperature were in the range of 13 - 28 % and 20 - 29℃,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of July to September. Soil water content tended to be higher with increasing cocopeat and peatmoss content and soil temperature tended to be lower. The degree of initial hyphal development and sclerotia formation were good in all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However, the number of sclerotia was 6 times higher in the ②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The size of sclerotia was also the best at 12 (L) × 8 (W) ㎝ in the ② treatment. Conclusion : As a result of cultivating Poria cocos in plastic hous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omposition of bed soil. The first reason for this result is that the difference of soil moisture content depending on organic matter content affected the soil temperature. Actually, the average soil water content and soil temperature of ① treatment (organic material 80% ) showed 24% and 22℃ respectively during July to September, and no sclerotia was formed. However, in the ② treatment(organic material 60%), the average soil moisture and soil temperature were 14% and 26℃ during July to September, respectively and sclerotia formation was good. Another reason is that the pH of the bed soil affects the formation of sclerotia. Overall, the degree of hyphal development was good in low pH treatment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H and the formation of sclero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