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염 5%를 첨가한 저염 오징어 젓갈을 10℃에서 8주간 숙성시키면서 핵산관련물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숙성발효에 따른 정미성분의 변화를 보면, 핵산관련물질 중 ATP 및 ADP는 소실되어 검출 되지 않았으며 초기에만 AMP가 존재하고 숙성중반까지 현저히 감소한 반면에 inosine 및 hypoxanthine은 숙성중반까지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하였으며 핵산관련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pH는 식염농도가 낮고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후반까지 계속 유의성 높게 증가하여 숙성이 촉진되었 으며 적정산도는 숙성후반까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처럼 저염 오징어 젓갈의 적정 발효조건을 추정 해 보면 발효온도 10℃, 식염 10%, 발효기간 5주로 추정되어 활용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4,000원
        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징어 먹즙을 첨가하지 않은 저염 오징어 젓갈은 숙성 발효에 따라 숙성 초기에 젖산균 총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Leuconostoc이 증가하여 숙성 적기에 최대량을 나타내고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Lactobacillus는 숙성 적기 이후의 총 균수의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균수가 많아지므로 숙성 적기 이후 품질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Streptococcus와 Pediococcus는 숙성 적기까지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Yeast는 숙성 중기 이후에 검출되고, 숙성 말기에 급격히 증가하므로 부패에 주로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징어 먹즙을 첨가한 저염 오징어 젓갈의 숙성발효에 따른 젖산균의 변화를 보면 총 균수는 숙성 중반까지 증가하다가 중반 이후 약간 감소하였으나, 최대치에 도달하는 기간은 무 첨가군에 비하여 길었고, 젖산균 중 Leuconostoc, Streptococcus 및 Pediococcus는 숙성 후반까지 증가하였다가 후반에 감소하는 반면에, Lactobacillus는 숙성 후반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Yeast는 숙성 초기에는 거의 증가하지 않다가 숙성 중반 이후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무 첨가군과 유사하였으나 젖산균의 수가 무 첨가군에 비하여 적었다. 오징어 먹즙을 첨가한 저염 오징어 젓갈에서 모든 균들의 수가 감소되어 오징어 먹즙이 균들의 성장 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hows the effect of 4% squid ink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squid during fermentation for 8 weeks at 10℃ or 32 days at 20℃ in 5% salt solution. Although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the squid fermented with squid ink continuous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e degree of decrease was smaller than that of squid fermented without squid ink. We can conclude that squid ink inhibited the ripening of the low salt fermented squid.
        4,000원
        4.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풍미발현물질을 구명하기 위해 SDE apparatus,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저염 우렁쉥이 젓갈 특유의 향기성분을 추출, 분리 및 동정하였다. 5℃에서 15일간 숙성시킨 저염 우렁쉥 이 젓갈의 pH는 5.17, 염도는 8.0%, 휘발성염기질소의 함량은 23.0 mg/100 g이었다.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향기성분으로 총 96 성분이 동정되었고, 총함량은 1,221.42 μg/100 g-cyclohexanol이었다. 이들 화합물의 종류와 함량을 group별로 분류하면 alcohol류 23종, acid류 16종, aldehyde류 15종, hydrocarbon류 29종, 방향족 화합물 6종, ester류 2종, 함질소 화합물 2종 및 기타 3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계수적인 측면에서 가장 많은 화합물은 hydrocarbon류였고, 양적인 측면에서 가장 많은 화합물은 1-octanol을 위주로 한 alcohol류였다.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향기발현에는 alcohol류를 위주로 여기에 aldehyde류, acid류, 방향족 화합물, ester류 및 함질소 화합물 등이 관여하며, 이들 성분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독특한 향기를 발현한다고 생각되었다.
        4,000원
        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quid ink was added to the low salt fermented squid by 4% of concentration and ripened at 10℃ for 6 weeks and at 20℃ for 28 days. The effect of the squid ink on the titrable acidity and free amino acid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itrable acidity in the salt fermented squid without addition of the squid ink was continuously decreased except for the salt fermented squid with 9% salt content till the latter stage of the ripening, had larger decreasing range than treatment groups. Seeing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 the major amino acids are proline,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nd glycine.
        4,000원
        7.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quid ink was added to the low salt fermented squid by 4% of concentration and ripened at 10˚C for 6 weeks and at 20˚C for 28 days. The effect of the squid ink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on-volatile organic acid in the salt fermented squid without addition of the squid ink was examin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lactic and acetic acids were the major organic acids even if very small amount of citric and oxalic acids were detected. In the squid ink added to the low salt fermented squid, total quantity of non-volatile organic acid in the latter part of the ripening was lower than no treatment group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