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2.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a wonderful source of inspiration for creative design. Tteoksal, the stamps used for making decorative patterns on traditional rice-cakes, have been used and passed on to generations to show the emotions of our ancestors. Numerous traditional patterns found in Tteoksal can be used to better understand and transmit tradition in modern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ashion cultural products with a modern sensibility by understanding the origi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teoksal and its pattern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hrough considering the proceeding studies and the references published by a specialist and museums having some information about further knowledge on Tteoksal. In line with the aforementioned study, neckties, eco-friendly bags and pouches were developed as fashion goods. Among the Tteoksal's patterns selected were lotus, bats, 樂letters and complex patterns. Using a computer graphic software program such as Adobe Illustrator CS5, archetypes of patterns were traced as vector graphics, and two design motives were developed in every pattern. The patterns were developed into two types: one was a basic pattern faithful to a basic motive pattern, and the other was a varied type that was changed and applied. The fashion products were developed as two styles for basic and varied patterns for neckties, eco-friendly bags and pouch items. Twelve products were made for each pattern, which totals 48 unique products. In conclusion, the study could be a critical step to better 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 and its influence to the patterns applied to modern fashion design.
        4,900원
        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4.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value of traditional floral wall patterns reflecting the distinct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n people and reinterpret the images of floral wall patterns in simplified forms. In addition, the study created new floral patterns to apply them to the design of neckties and scarves. In a methodological aspect, the computer design software programs Adobe Illustrator CS2 and Adobe Photoshop CS2 were used to make the traditional floral wall patterns motifs. Four basic motifs for a new formative image were set using graphical functions such as omitting, simplifying, overlapping, repeating, and/or reducing shapes based on floral wall patterns, and each motif was developed in two variations with different colors applied to them. Each of the set motifs was expressed in a repeated arrangement and in a modified pattern of 45 degrees. Necktie design with a floral wall pattern made use of the motifs developed through a variety of effects such as simplification, repetition, size variation, and gradation and the pattern modified at a 45°for application. Scarf design employed and applied the existing motifs in an appropriate manner for design purposes and reconstructed and expressed them through such effects as repetition, rotation, compositional variation and gradation.
        4,000원
        5.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화, 국제화, 글로벌화라는 단어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각국의 국가 경제가 세계경제로 통합되면서 문화적 정체성을 가진 상품을 개발하는 것은 세계시장에서 국가 경쟁력을 만드는 중요한 사항이 되었다. 경제의 시대를 넘어 문화의 시대로 표현되는 21세기에서 문화는 국가의 국제 경쟁력을 갖추게 하는 하나의 중요한 매개체가 되기 때문에 한국문화가 세계시장에서 주목을 받으며 활동 반경을 넓혀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문화를 상품화하는 연구는 필요한 과제가 되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문양을 이용하여 문화상품으로 가방디자인을 개발하고 제작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화상품과 전통문양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특징, 한국의 전통문양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전통문양 의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전통문양을 이용한 새로운 패턴을 개발하고, 이를 실크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하여 한국 전통의 복 소재인 주단에 리프린팅함으로써 새로운 패브릭으로 변형시켰다. 셋째, 리디자인한 패브릭을 이용하여 트렌드에 맞고, 실용성이 가미된 문화상품으로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고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자는 한국의 전통문양과 소재를 현 대적으로 재해석하고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가방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상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6.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문화상품의 대중화와 글로벌화, 현대화를 위한 디자인경영이 필요하며 소비자 요구를 접목한 공예상품으로의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전통문화상품은 제품디자인을 통한 감성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고 국내외 고객에 감동을 줄 수 있는 혁신적 디자인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한국 고유문화의 이해를 통한 디자인은 전통문화상품에 대한 인식 제고와 시장 쉐어 확장으로 표출될 것이다. 공예문화상품은 관광기념품, 생활용품, 장식품 등으로 지속적 수요창출이 가능하며, 새로운 소재 및 상품의 개발로 성장이 유망하다. 그러나 현재 전통적인 수공업 위주로 제작되고 있으며, 자체홍보물 제작이나 공동전시회 등을 통한 국지적 홍보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 생산과 유통의 전문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먼저 수요층이 정확히 파악된 시장성을 예측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와 트렌드에 부합되는 전통문화상품을 디자인하고 개발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는 고품질 상품개발로 안정성과 확산을 높이는 제품디자인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