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various accidents have occurred in underground spaces, we aim to improve the quality validation standards and methods as specified in the Regulations on Producing Integrated Map of Underground Spaces devis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a high-quality integrated map of underground spaces. Specifically, we propos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assurance of pipeline-type underground facilities, the so-called life lines given their importance for citizens’ daily activities and their highest risk of accident among the 16 types of underground facilities. After implementing quality validation software based on the developed quality validation standards, the adequacy of the validation standards was demonstrated by testing using data from two-dimensional water supply facilities in some areas of Busan, Korea. This paper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reducing the time and manpower required for data quality inspection and improving data quality reliability by improving current quality validation standards and developing technologies that can automatically extract errors through software.
        4,000원
        2.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소 관련 미래 산업의 확장으로 새로운 주소체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특정 사물에 주소를 부여하는 체계인 사물주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현행 사물주소는 행정안전부가 제작 및 배포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제작 등 사물주소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현행 사물주소는 하향식 방법으로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수요자 응답형 정보제공 대응에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향식 방법으로 운영 중인 포켓몬 고 DB와 사물주소 DB의 공간적 분포를 탐색함으로 써 사용자 참여형 주소정보 생성 및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각 DB의 지점별 티센 폴리곤을 생성한 뒤 ANOVA 분석을 수행한 결과 두 DB간의 면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니 계수를 산출하여 분포 불평등성을 확인하여 DB를 통합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물주소의 확산과 알기 쉬운 대국민 주소정보체계 확립에 정책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4,300원
        4.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가 발전하고 위생적이고 안전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지하 공간의 활용은 필수 불가결한 사항이다. 지하 공간의 개발이 진행될수록 시설물의 위치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관리하고자 다양한 기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정확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하시설물의 정보를 정확히 관리하고, 신뢰성에 기반한 현장 작업이 가능하도록 지하시설물 정보 품질 등급제의 세계적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관리 선진국의 경우 지하시설물 정보에 대한 등급제를 통해 신뢰성에 기반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활발한 현장 적용이 가능하였다.
        4,000원
        5.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dustry Foundation Classes(IFC)는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을 위한 표준 데이터 스키마로 정보의 상호운 용성 확보를 위한 핵심이지만, 건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토목 시설물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기존 IFC 에 토목 시설물을 위한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상용 소프트웨어가 해당 기능을 추가하기 전에는 새 로운 스키마를 활용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 시설물에 적용하기 위한 IFC 데이터 스키마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토목 시설물을 위한 확장 요소와 기존 IFC 요소와의 정보 매핑을 통한 확장 IFC기반의 토목 시설물 정보모델링 방법을 제시하였 다. 그리고 철도의 궤도 및 침목에 대한 IFC 확장 스키마를 제시하고 제시한 방법을 적용하여 그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4,000원
        6.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가의 사회기반 시설물 중 지하시설물은 중요한 관리대상이며, 정부 및 유관관리기관에서는 매년 많 은 예산을 들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시행착오와 지하시설물의 종합적인 관리정보의 부재로 서울 아현동가스폭발사고(1994.12), 대구 상인동 가스폭발사고(1995.04) 등 대형 사고가 발생한 바 있으며, 지 형공간정보구축사업이 진행되기까지 많은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고를 계기로 정부에서 는 국가중요시설물들의 종합적인 정보관리와 이를 위한 기반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국가 GIS구축 사 업이 시행되었으며, 지하시설물 통합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업을 시행 중에 있다. 특히, 공간정보를 현장에서 취득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유비쿼터스 개념의 공간정보관리 기법이 점차 도입 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시설물의 상태나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원 공급 방법과 정보 취득 방법에서 실용화 및 보급에 한계가 있다. 지금까지는 UHF(Ultra High Frequency ; 900MHZ 주 파수대역을 사용하는 RFID태그의 종류)방식의 태그와, QR코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 13.56MHZ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RFID태그의 종류) 태그, 자기마커(강한자석을 관로상단에 매설하여 자 기탐사하는 방법) 등이 정보 전달 방법의 대안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정보를 스마트폰 및 블루투스활용 디바이스에 접목 가능한 저전력 블루투스방식 (BLE ; Bluetooth Low Energy)과 메탈 NFC를 이용한 시설물정보의 수집과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저전력블루투스 방식이란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으로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교신할 수 있으며, 5~10㎝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고 전력 소모가 적어 모든 기기가 항상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구현에 적합한 블루투스 방식의 한 종류로 향후 시설물의 상태에 대한 정보의 취득분야에 큰 활용이 기대되는 기술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의 주요 접합 관리부인 맨홀 시설물에 적용 가능한 비콘 장치의 설치구 조와 센서 및 형태 등, 적용과 활용방법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지하시설물의 연결 관로의 정보제공과 활 용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 하수의 경우 정확한 상태와 지하의 오수, 우수를 체계적으로 배 출하고 관리를 위해 활용한다면 하수역류, 침수 등의 피해를 줄이고 2차 피해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실시간 정보제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시가 현대화, 광역화됨에 따라 각종 시설물이 복잡화되면서 도시미관과 유지보수의 용이성, 위험방 지 목적 등으로 점차 지중화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도시시설물들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관련 유관기관과 함께 지형공간정보시스템 구축 및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활용 중에 있다. 또한 효과적인 시설물관리를 위하여 IT기술을 접목한 관리체계를 활용하는 단계에 와 있으며 최근 U-City의 등장에 따라 각 유관기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던 시설물 관련 데이터를 서로 연계하여 효율 적인 시설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도시 내 현장에서의 굴착관련 공사작업이나 외부 환경에 의한 회손, 자연적인 원인 등으로 인하 여 여전히 지하시설물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상·하수도, 전력, 가스, 통신, 난방, 유관 등의 지하시설물을 지형공간정보시스템 관리체계와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운영관리시스템의 형태로 진화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실제 적용에는 한계가 있어 개선 및 실용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센서와 정보표지마크 개발을 통한 지하시설물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지하시설물 공간정보를 현장에서 제공 받을 수 있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법과 위치표지 적용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기존의 지하시설물 위치표지를 개선하여 센서를 외부 환경에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하였다. 특히 기존 RFID 태그의 금속에 취약한 인식률을 개선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위치정보표지의 금속에 의한 전파차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구조 및 방안을 개발하였다. 둘째, 위치정보표지를 제작하여 적용성을 검정한 결과 UHF(902~928MHz) 방식의 태그와 NFC(13.56MHz) 방식의 금속의 전파차단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구조 및 방안을 개발할 수 있었다. 셋째, 태그의 별도 적용뿐만 아니라 정보환경 구축 및 효과적인 활용과 보안 및 서비스 개념을 함께 접목하기 위해서 복합태그 방식을 적용하였다. 특히 시설물 유지 및 관리 목적의 용도를 위해서는 보안성이 높은 UHF방식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실시간 정보서비스 제공과 활용성, 접근성 등의 측면에서는 NFC방식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UHF 방식과 NFC 방식이 결합된 태그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을 활용한 관리자 및 이용자 기반환경을 개발하였다. 향후 실제 외부환경이나 현장 여건에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지하시설물 적용표지의 개발과 인식률이 높은 복합태그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정보표지마크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연계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지하시설물관리의 적용에 따른 효용성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8.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 제정된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일정 규모 이상의 1종 및 2종 시설물을 대상으로 정기점검, 정밀점검, 정밀안전진단이 관련전문가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에 의하여 특정관리대상시설을 지정하여 주기적인 안전점검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한 안전관리 업무 수행과 점검 및 진단 결과에 대한 사후 관리로 관계 업무 주체들에게 과다한 업무가 부과되면서도 안전관리가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또한 관련 업무가 서로 다른 법령 및 기관에 분산되어 업무의 비효율성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지리정보시스템(NGIS)이 제공하는 시설물에 관한 지리정보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법령과 기관에 의하여 수행되는 시설물 안전관리 관련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설물 안전관리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4,000원
        10.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any of the facili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re being operated by each government departments and Act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hare and integrate data through the network because data standard codes are not established. In spite of these problems,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and maintenance imposes duties on the main agent of national infra structure management and the maintenance results should be integrated in Infra Structu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FMS). Thus we propose the structure classification standard codes for the FMS to integrate and analyze safety and management data.
        11.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as developed the port facility management system(POMS) that can be run systematically manage safety inspection and maintenance results about the mooring facilities, counter facilities and pier pavement in a national 60 port. This paper contains a description of the P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