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skin scuba marine tourism activity in Jeju Island. The economic value is estimated as consumer surplus using count data models including the truncated Poisson model and the truncated negative binominal distribution model. This study collects the effective 369 questionnaires from skin scuba marine tourists through three times in Jeju Island. The truncated Poisson model was statistically more suitable and valid than other models. The truncated Poisson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consumer surplus as economic value from skin scuba in Jeju Island. A consumer surplus value per trip was estimated as about 4,081,633 won. The annual economic value from skin scuba marine tourism activity was estimated as 8,428,571 won in Jeju Island. Consequently, skin scuba marine tourism activity has a very large economic value in Jeju Island.
        4,000원
        2.
        2013.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내 관광객수는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2년 12월을 기준으로 960만명을 돌파하였다. 서비스업의 전체 사업장 및 근로자 역시 최근 5년간 증가하였으며 서비스업 종사자의 경우 전체 근로자 173,996명의 47%를 차지하고 있다. 업무상질병자 중 근골격계질환자 수는 전체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2012년 12월 기준) 근로자의 신규유입이 적고 노령근로자가 많은 점을 감안하였을 때 업무상 질병 발생율은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제주도 내 관광객 수 증가에 따른 서비스업 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발생현황 분석으로 향후 제주도 내 발생되는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4,000원
        3.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의 발생원단위 산정방법은 처리구역 내 인구 대비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말한다. 생활폐기물은 실제 제주특별자치도민의 생활폐기물과 관광객의 관광폐기물이 모두 집계되고 있으며, 실제 도민의 발생원단위는 보고된 발생원단위에 비해 낮을 것으로 사료된다. 관광객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에 관한 기존 반영사례의 경우 관광객수, 관광객 체류기간을 반영하여 도민 1일 발생량과 관광객 1일 발생량을 구분한다. 산정식의 인자는 제주도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 제주도 인구, 제주도 방문 관광객수, 관광객 체류기간이며,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통해 2014년 기준 도민 1.26kg/인・일, 관광객 0.01kg/인・일로 발생원단위 산정이 가능하다. 기존연구는 도민이 관광객에 비하여 과도하게 많은 폐기물을 배출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확한 관광폐기물 발생원단위의 산정을 위하여 관광객의 여행 실태를 고려한 주요 관광폐기물 배출 발생원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관광폐기물량을 활용하여 처리체계 구축 및 감량대책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폐기물 관리 정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부인구 배출 폐기물 발생원을 각 업종별로 검토를 통해 선정하고, 이 중 운수업,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관광업으로 표본업체를 설정하였다. 각 표본별 폐기물량을 서면 및 방문조사하여 외부인구 배출 폐기물 발생량을 파악하고, 폐기물의 발생량 및 발생원단위 보정을 통해 제주특별자치도 도민 실제 발생원단위를 산정하였다. 클린하우스 배출 업체의 경우 폐기물 발생량 추정 불가로 인해 발생원 표본에서는 제외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펜션 등 소규모 숙박시설, 렌트카, 관광버스 등에서 분리되지 않는 재활용품 및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광지역 소재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주변 클린하우스에 다량 배출하여 클린하우스 넘침 현상 유발 등의 문제가 있다. 다량배출사업장 기준 관리 강화 및 실명제 관리, 클린하우스 배출 사업장 제한을 하고, 렌트카 이용자 및 관광버스 승객 대상 재활용품 분리배출 협조요청 교육실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그린텍스(Green tax) 도입으로 개별 배출자에 대한 오염자 부담원칙 제도를 시행하기 위한 기초 분석자료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4.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ole of rural towns as a leisure space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with changes in the consumption trends in domestic tourism. Based on the tourists visiting the town of Sunheul-ri, Jocheon-eup, a rural Village in Jeju Island, this study categorized the market according to the images formed by the tourists of rural towns, and analyzed the preferred mode of participation in rural field activities for each categor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images of rural tourism formed by the tourists, extracted three factors for cluster analysis, and then formed three groups: “Group of Rural Experience Activity” “Group of Rural Environment and Service” and “Group of Rest in the Rural” After analyzing the preferred activity in each image-category group,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ordinary activities such as viewing the scenery, experiencing and learning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ulinary experienc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regarding participation in experiential tour programs with the purpose of active tourism. The “Group of Rural Experience Activity” sought to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y programs, whereas the “Group of Rest in the Rural” comparatively had a weaker preference for such active programs. We thus learnt that tourists’ preferred activiti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images formed by the tourists visiting rural towns. Therefore,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rural tourist destinations of Jeju Isl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activity program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rural regions of Jeju and to accord with the expectations associated with each market segment category by positioning the progra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held by the tourists.
        5.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day, seaside village has been met with much difficulty from aggravation of fishing conditions including decrease of fishery resources, marine products market opening, reduction of coastal fishing ground. Thus, seaside village tourism can become an useful alternative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deals with on the tourism activities based on motive of tourist to Seaside Villages in Jeju Island. And it will be find out though the cross analysis of tourism motivation factors and tourism activities factors. With 298 effective responses gathered from an on-site surve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using techniques of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canonical analysis. The tourism motivation and activities were conformed by Chi-Square Analysis and ANOVA analysis. For the growth of seaside village, many tourist must visit four seasons and tourism facilities and programs will be develop as seaside village experience activities, marine leisure activities, and circumference inquiry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