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대상자 중심 의사소 통역량, 긍정 간호조직문화가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서술적 조사연구는 전라남도 3개 시에 소재한 100 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5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89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 31일부터 9월 14일까지 자기 기입방식을 이용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 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 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류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Scheffé 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 다중 회귀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 수준이 높을수록, 간호사가 소속 부서를 긍정 간호조직문화로 강하게 인식할수록 인간중심간호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 되었다. 따라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대상자 중심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키고, 긍정 간호조직문화를 높이기 위한 전략과 프 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6,700원
        2.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조직지원인 식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SPSS 25.0을 통해 신뢰도를 확보했고, AMOS 25.0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타당도를 확인하고, SPSS Process Macro 3.0을 사용하여 부트스트랩 방식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리더의 코칭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 회복탄력성, 행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은 그들의 회복탄력성, 행복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조직구성원의 회복탄력성이 그들의 행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과 회복탄력성은 리더의 코칭리더십과 그들의 행복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이 긍정정서축적과 확장이론에 의해 조직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을 만들어 내고, 그들의 행복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실증연구 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조직효과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직지원인식 과 행복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코칭 프로그램의 도입, 코칭문화 형성 및 지원, 그리고 회복탄 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6,000원
        3.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경상도 지역의 중학교 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그릿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그릿, 회복탄력성, 지각된 학교조직문화와 창의적 교수행동으로 구성된 가설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성을 살펴보았다. 자료분석방법은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통해 측정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잠재변인들 간의 관계모형의 적합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랩핑 (Bootstrapping) 분석을 하였다. 측정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 분석결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측정요 인들은 수직적 개인주의와 수직적 집단주의와 낮은 상관분포를 보였지만 그릿과 회복탄력성 측정 변인들과는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형검증결과, 그릿은 창의적 교수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회복탄력성과 지각된 학교조직문화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모형이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 회복탄력성과 지각된 학교조직문화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자율적이며 수평적인 학교조직문화 맥락에서 그릿과 회복탄력성과 같은 교사의 개인특성들을 고려한 다양한 창의적 교수전략 프로그램아 개발되어야 함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