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1.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Korea, the function of Jeong(亭), Jeongja(亭子), and Nujeong(樓亭) architecture is essentially rest. However, in China, where the name Jeong was first coined and used, Jeong was not only used as a place of rest, but also for a variety of functions depending on the time and region, such as building units for guard posts, policing, and mail delivery. But why is it that in Korea, Jeong is primarily perceived and used as place of rest? Starting from this ques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emergence of Jeong and its changing functions, focusing on the official history of China, and then examines the perception of Jeong in Korea through its connection to the dominant function of Jeong in China during the period of Jeong's emergence in Korean literature. This will help us to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Jeong architecture in Korea and Jeong architecture in China, and to further clarif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types of Jeongja and Nujeong architecture in Korea.
        4,200원
        3.
        2023.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은 지역이 넓고 민족이 많기 때문에 지리적 구역과 기후 조건에 따라 전통 건축 유형 계 보가 많다. 사회 문화가 풍부한 장인의 장인정신도 다양하다. 오랜 역사의 과정에서 중국 전 통 건축과 그 장인의 기예가 수시로 축적되고 변화하여 중국 전통 건축의 특징 형성에 영향 을 미쳤으며, 그 다원적이고 복잡한 특징도 연구와 요약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이 논문 은 중국 전통 건축의 분류와 그 장인의 계보의 특징, 그리고 고대 건축 장인의 조직 기구와 그 작업 법칙에서 시작으로 하여 중국 전통 건축과 그 장인의 기예의 근대 전환이후의 연구 과정 및 대표 성과에 대한 정리를 통해 중국 학계의 전통 건축과 그 장인의 기예에 대한 인 식, 현황과 연구의 단계적 성과, 그리고 향후 중국 전통 건축 장인의 기예 업무 연구 내용의 예비 전망을 설명하였다.
        8,400원
        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ombs at the royal level of the Western Han dynasties belong to the five kingdoms of Chu, Liang, Lu, Zhongshan and Changyi, representing the new forms and ideas of the tomb architecture. Taking Shanchuwang Tomb in BeidongShan, Xuzhou as an example, this paper analyzes th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tomb, and tries to discuss the concept of burial reflected in it.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of the tomb reveals the basic logic of the tomb imitating the palace on the ground, and the definition of the nature of the annex reflects its transcendence over the general form of the tomb.
        4,500원
        10.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인1)은 뛰어난 중국전통건축의 구체적인 창건자이자 실천자이고 기예의 계승자이다. 전통건축공장의 영건기예(營 建技藝)는 중국건축전통의 중요한 부분이다. 중국전통건축공장기예연구중심(中國傳統建築工匠技藝硏究中心, 이하 기 예센터로 약칭함)은 중국전통건축장인의 기예특징과 전승계보, 인재육성의 모델을 심도 있게 발굴하고 과학적인 연구 를 하기 위한 취지를 갖고 설립되었으며, 전통건축장인의 기예를 보존, 전승하는 종합적인 연구를 하는 중국 최초의 플랫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설계감리협회 소속 전통건축분과위원회의 중요한 연구기구이기도 하다. 여기서는 기예센터의 설치배경과 목적 그리고 업무내용에 대한 소개를 통해 기예센터가 목표로 삼고 있는 전통건축장인기예의 보호와 전승 그리고 발전의 장애요인 등에 해 살펴보고, 전통의 관점에 출발한 하나의 장작기예(匠作技藝)를 전반적 으로 연구하는 플랫홈이 장인의 문화, 역사, 인재 배출, 정책, 기예를 연구하는 출발점으로서 고등건축교육체계 속에 서 전통건축설계언어에 숙달된 설계자의 육성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전통건축설계가 시공과 어떻게 접목되어 야 하고, 전통건축장인의 육성 모델 등을 연구하는 플랫폼으로서 향후 중국건축의 발전을 위한 원점과 거점을 찾아 보고자 한다.
        4,000원
        15.
        2014.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과 중국은 근 20년간 수교를 하고 있고, 2001년 중국의 WTO가입으로 인해 양국 간의 금융산업의 교류도 확대되어 왔다. 한국의 은행들도 중국시장에 뛰어 들었고 현재 계속해서 그 수를 늘려가는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내에 한국계 은행의 사례조사를 통해서 건축적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먼저 한국의 문헌자료를 기초로 최근 발표된 연구논문을 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에서 발행된 저널과 통계연감 및 관련 보고서를 참조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내 한국계 은행에 관한 건축적인 자료가 부족해 은행 개설시 문제가 있음을 인지해, 중국내 한국계 은행을 개설할 때 도움을 주고 은행의 건축계획의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공간구성의 특성을 정리하자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지리적 입지 측면에서 영업점이 도시의 요충지에 있어 낮은 브랜드 인지도를 만회하고 있다. 이는 입점건물의 이미지와 관리수준을 중요하게 고려해야하는 이유가 된다. 둘째, 공간기능적 측면에서 고객을 우선시한 동선계획을 적용해 고객을 위한 서비스공간을 많이 배정해 휴식공간으로서 느낄 수 있고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업무를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내 한국계은행의 건축공간계획 특성에 대해 고찰하여, 은행점포의 건축계획 시 단순히 사용자에게 영업을 하는 공간이 아니라 공간사용자에게 결정의 변화와 행동의 변화, 아울러 심리적인 안정까지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4,600원
        17.
        201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분지는 재생 가능한 천연건축자재로, 친환경일 뿐 아니라 적응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지만 국내에서는 기술력 등으로 인해 오랜 시간동안 보급되지 못했다. 최근 하얼빈 지역의 신축 마분지건축 실례를 분석하고 독특한 장점을 연구하며 마분지 활용에 걸림돌이 되는 문제 등을 연구하여 실행가능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한대지역 지속가능한 마분지 건축발전에 대한 발전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4,000원
        18.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racket sets which ar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roof, has to meet both requirements which are structural functions and act as an ornamental element. Therefore the bracket sets differ in many types from time and space and has done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with many studies being presented. The first form of the bracket set has been found in the bronze table relics in zhōng shān wáng líng (中山王陵). Through the Eastern Han dynasty (A.D. 25-220) it became more specific in the shique (石闕) and huaxiangshi (畵像石) in the Han dynasty (206 B.C.-A.D. 220). Afterwards, as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the bracket construction techniques shown in the Mogao Caves, Yungang Grottoes, and Longmen Grottoes has given much help for understanding the building techniques of wooden architecture. Especially the Xia-ang structure seen in the Mogao caves shows a vast development in wooden structure and a typical building would be the main hall of Fo Guang Shan monastery in Mt. Wutaishan from the Tang dynasty (A.D. 618-907). This accumulated techniques is inscribed in the 'Ying Zao Fa Shi (營造法式)' wooden structure designs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A.D. 960-1127) and many buildings were constructed following this technique after the publication. During this period, it is assumed that Baek-jae (B.C.18-A.D.660) in the Korean peninsula also used the Xia-ang technique, but there havn't been many studies on this field. In this thesis it is introducing the development of the building techniqu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Xia-ang wooden architecture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y.
        4,800원
        19.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 is closed to China in the geographical position and is related to China as two countries have developed similar culture, art, and social systems. Architecture is a kind of culture and has advanced in the wooden architecture with a considerable change. The study investigated a phylo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universality. With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common feature and difference of the beam and structure in the wooden architecture from the Koryo and Zhejiang Province(China), the systemicity of the wooden architecture was examined. The beam is a part of timber which is consist of the wooden structure frame and also a crucial subject to understand a development process of the wooden architecture.
        4,300원
        20.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focused on Damheonseo(湛軒書), an anthology written by Hong Daeyong, and I deal with Chinese Architectural views which he had experienced in his itinerary to Beijing, and the vivid pictures of Joseonkwan (called the Koryo or Joseon Embassy) located in Beijing at that time. He was a scholar of great erudition over astronomy, mathematics, military science, politics, and so on. He was interested in practical sciences at early time, and criticized secular scholars full of vanity who had presented purposeless articles. In his age of 35, Qianlong(乾隆) 30 (1764, Youngjo 41), he, a military escort, accompanied by Hong Uk, Joseon envoy and his uncle. Before his itinerary, he self-studied Chinese. Also, during a long journey he got new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round each area, deviating his group whenever he had some times. He could get more variant experiences than others because of his character full of curiosity, and his observations from the vivid lives of the time helped us get various views between Chinese and Korean architecture. Likewise, although he denounced Qing(淸) scathingly as a barbarian, he mentioned several point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rchitecture at that time. First of all, totally Chinese architecture had strong rational and practical points. Secondly, based on bountiful products, buildings along streets shown in Chinese city had sophisticated compositions, and luxurious and magnificent appearances. Thirdly, using the brick from walls to houses was so universal. Fourthly, the layouts of building with three- or four-closed courtyard had very orderly shapes, and the structure of street was also so arranged. Finally, because of stand-up lives, the scales and appearances of interior space were even more extended, and storages were less developed than those of Joseon. As another points, I found that Joseonkwan was moved next to Shushangguan(庶常館)from Huidongnanguan(會同南館) around Hanlimyuan(翰林院), and had been remodeled into a house with Korean custom in using the inner spaces, although it was followed by a closed courtyard style. Likewise, I recognized that Ondols were sure to be established in all temporary houses during the journey to Qing, and felt their strong traditional residential custom in such mentions. Now that the past pictures have disappeared and ways of life and our values have been largely changed, this study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comparing the ancient Chinese and Korean architecture.
        4,3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