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중국 운남성 라평현 명가촌(中國雲南羅平縣明格村)대상지로 명가촌의 생태보전 및 지역발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운남성 라평현의 독특한 계단식 밭 경관(梯田景觀)은 중국의 중요한 농업문화유산이고 매우 높은 보존 가치를 가지고 있다. 운남성 라평현 면가촌에서 살고 있는 포의족(布依族)은 중국의 소수 민족에 속하며, 그 민족의 전통문화와 풍습은 중국의 중요한 무형문화유산으로 보전가치 크다. 중국은 고대부터 다민족 국가였다. 수천 년 간 다른 민족문화와 지역문화가 서로 융합되어 상호 영향력이 중국의 전통문화를 형성했다. 소수 민족의 전통문화는 중국 민족의 전통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운남성 포의족(布依族)은 독특한 의상, 음식, 건축, 무용, 공예 문화를 가지고 있지만 현대문명의 통일화에 따라서 운남 포의족 전통문화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중국 독특한 소수 민족 문화가 시간에 흐르면서 잊혀지고 없어지는 것은 세계 문화사에 커다란 동정이다. 그래서 포의족 문화의 전승과 보전에 대한 내용도 핵심 내용이다. 현재 명가촌의 농촌마을계획은 장기간 단일화 발전 모델로 이 지역의 보전가치가 큰 계단식 밭경관과 포의족(布依族)의 문화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여 점차 사라지고 있다. 본 연구는 명가촌의 경관보전 및 지역발전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내용은 명가촌의 생태마을설계와 무형문화유산의 보전을 기반으로 지역 발전의 활성화 계획을 다루고자 한다. 첫째, 명가촌 생태마을설계에 대한 내용이다. 우선 기존의 농촌마을계획을 진단하였다. 생태마을설계 방향은 자연생태환경과 포의족 전통건축 복원 및 계단식 밭의 보전이다. 둘째, 마을의 무형문화유산 보전방안이다. 농업문화유산은 현대 농업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과학 기술이 꾸준히 발전함에 따라 수천 년 동안 지속되어 온 전통적인 농업은 사라질 위기에 있다. 명가촌 계단식 경작지의 경제적 가치, 생태적 가치, 미학적 가치, 문화적 가치, 과학적 연구 가치 및 사회적 가치와 같은 여러 가치를 가지고 있다. 반면, 면가촌 전통적인 농법은 단지 1차 산업에 국한되어 있고, 계단식 경작지는 경사가 급하고 협소한 폭으로 기계경작이 어려워 농민의 소득과 생활수준을 제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한요소는 오히려 녹색농업, 유기농업 및 생태농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회요소가 되고 있다. 계단식 경작지와 연계한 생태관광의 개발을 장려하고, 다자간 경제 보상을 통한 유기농업과 특색 있는 농업을 촉진한다면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명가촌 Permaculture 및 생태관광 모행 도입이다. 1). 전통적 단일농업 → 다양한 산업구조 퍼머컬쳐로 전환(유채 재배업, 유채씨 기름 가공업, 양봉업, 유기농산물 판매 산업) 2). 생태관광 개발 (포의족 전통문화 홍보, 지역수익증가, 생태경관보전)
        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익산시는 KTX역세권, 국가식품클러스터, 고도지정 등에 의한 대규모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해 도시경관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므로 종합적인 경관계획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익산시에 내재되어 있는 경관자원을 도출하여 자원의 보존, 연계방안을 설정하고, 둘째, 시가지 환경개선과 지역특색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바람직한 경관계획을수립하며, 셋째, 주민과 함께하는 경관계획 실행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연구는 도농통합시 익산의 중심시가지인 15개 동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경관자원을 도출하고 자원의 가치및 중요도를 펑가한 후, 계획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경관유형은 자연경관, 시가지경관, 가로 및 철도경관으로 구분하였다.자연경관에서는 배산, 탑천, 대간선 수로의 보존 및 녹지의 네트워크화 방안이 모색되었다. 주거지, 상업지, 공업지및 KTX 역세권에 대해서는 주요 지역에 대한 특정경관계획과 건축물 및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설정하였다. 가로 및 철도경관에서는 하나로, 송학로의 선형공원화를 통해 녹지 네트워크를 강화하였으며 철도변 경관저해요소 제거방안을 제시하였다.계획의 실행은 경관사업과 병행하여 주거지 경관정비는 주민 주도형 경관협정을, 탑천, 폐선부지, 하나로의 공원화사업은용도지구 지정을, 배산, 역세권, 대학로는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함으로서 규제 및 인센티브가 상호 보완적으로 나타날수 있게 하였다.
        4,500원
        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역의 자연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물종 및 식물군락에 의한 평가수법을 검토하였다. 대양(1979), 중서(1980), 오전과 중촌(1989), Haber et al. (1991)의 시스템을 기초로 식물을 종속, 군락레벨로 나누어 평가항목의 시안을 제시하였다. 평가항목은 종속레벨에 대해 총 9항목, 군락레벨에 에 대해 총 15항목이었다. 이들 항목은 종속레벨에 대해 세가지 다른 카테고리로 군락레벨에 대해 네가지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이들 평가방법은 지역의 환경평가에 즈음하여 공간계획을 증진하고 행정적 문제를 완화하는데 응용될 수 있다고 시사되었다 또 식물종이나 식생의 보전등급 설정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500원
        6.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village project for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of rural tourism village. So, in this study, the current rural tourism village and storytelling planning are examined and the village project presented in village planning is also examined. And this study propose the storytelling implementation of the village project through the case study related with the Susanri in Jeju.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is important that each village projects are storytelling for tourism resource and improve rural tourism villag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fine story range, action planning, and management agency of village projects. Thirdly, it is desirable that the village projects should be carried out as reviving the local community. Comparing to the storytelling tourism plan, there are few rural tourism plans so far, so, it is difficult to applicate the system of the village project, but, continuous studies in this line can help the rural tourism plan to ensure practicality.
        7.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를 전제로 식물원마다 지역경관자원이 잘 반영되기 위한 방향제공과 식물원 조성 시 비교적 적은 예산과 인력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 지역경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 계획지표를 개발하고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상위계층(1계층)에서는 ‘자연자원(0.624)’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역사문화자원(0.203)’, ‘사회자원(0.172)’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간계층(2계층)에서는 ‘문화자원(0.592)’, ‘생태자원(0.454)’, ‘역사자원(0.408)’, ‘공동체자원(0.408)’, ‘산림자원(0.400)’의 순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하위계층(3계층)에 있어서는 ‘식생(0.688)’, ‘마을전통(0.641)’, ‘축제(0.581)’, ‘숲(0.557)’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중요도가 높은 것은 ‘식생(0.195)’, ‘숲(0.139)’이 높게 나타났으며, ‘초지(0.058)’, ‘습지(0.056)’가 다음 순이었다. ‘마을전통(0.053)’, ‘산(0.052)’, ‘지형지세(0.050)’도 계획 시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그 외 ‘마을 상징물(0.050)’, ‘전설(0.044)’, ‘축제(0.041)’ 등의 항목도 중요한 지표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지역 경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 조성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자연자원’의 ‘생태자원’, ‘산림자원’과 ‘역사자원’의 ‘마을전통’과 ‘문화자원’의 ‘전설’, ‘마을 상징물’과 ‘사회자원’으로서의 ‘축제’ 등이 중요한 계획지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경관자원을 활용한 식물원의 계획 시 기존의 자연자원 뿐만 아니라 지역의 정체성을 담을 수 있는 역사문화자원과 함께 사회자원을 수용할 수 있는 노력이 수반되어 할 것으로 사료된다.
        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 plan for the Jeju Sanghyo Botanical Garden construction, and it is prepared to maintain the identity of the local landscape by composing the garden using the local landscape resources. The goals of becoming one of world's best, garden centered botanical garden and at the same time one that represents culture of Jeju. Unusual species are included in the collection and with the general collection, special collection and exhibition by different kinds are planned to be offered to the public. The garden will demonstrate the world's various types of gardens in a compressed way. It is our endeavor to become center of culture beyond plant education and exhibition, drawing a large number of people to our garden. Moreover, conservation of Jeju's unique botanic resources will be carried out and the garden will show the garden culture. Due to the size of the site, different themes will be exhibited in one zone in a parallel. Unique combination of each local landscape resource will create own theme. The display will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stages: the 1st stage is an educational exhibition, assisting more understanding of distinguishing different locations, the second is exhibition by various species and the final stage will show an ideal way to develop a garden with harmony of various plant species.
        9.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erms of the indicators by the type for the landscape plan per the district nit, geographic ecology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water, water system, topography and climate, while biological ecology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green zone size, green zone ratio, biotope size and distribution. The sensory and visual indicators were the items such as view point, view axis and skyline, and the accessibility indicator items for the green zone were applied as the socially used indicators. As for the application method according to each indicator, the water or water system was expressed and applied through the slopes and elevation topographic analysis drawings, the climate was expressed and applied through the main direction of the wind and the cold wind pass alley drawings. As for the green zone size and green zone ratio, the land use according to the status and housing area development was compared to present the measured figures. In case of the biotop size and the distribution item, the range was limited to the preparation of the biotope drawings for the focused preservation. As for the view point and view axis, the view point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view point to prepare and apply the view analysis drawing in which the view area to be preserved is analyzed. As for the skyline, its landscape photo was composed with the housing area shape, and then skyline photography was applied as the plan in order to propose and consider the various shapes of the skyline. As for the accessibility to the peen zone, the network drawing was drawn to reflect the users' accessibility and continuity of the green zone formed and preserved according to the land use plan and then the drawing was prepared and proposed as the applicable plan.
        10.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부산 북항 재개발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항만 재개발지역의 경관계획 특성을 알아보고 해외 항만재개발지역에서 경관계획사례를 살펴본 다음 북항 재개발지역의 경관현황을 분석하여 경관계획을 위해 선결해야 할 과제를 도출하고 마지막으로 경관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