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곤충의 짝짓기는 흔히 떨어져 있는 암컷과 수컷이 서로 만나는 과정과 이들이 구애행동을 통해 생식세포의 결합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나뉜다. 첫 번째와 두 번째 과정에 작용하는 의사소통을 각각 원거리, 근거리 의사소통이 라 한다. 의사소통을 할 때 크게 빛, 소리, 화학 신호가 사용된다. 드물게 물리 신호도 사용될 수 있다. 빛이나 소리 신호를 이용할 때 주로 수컷이 신호자이고, 암컷은 수신자이다. 이에 비해 화학 신호를 이용할 경우 암컷이 신호자, 수컷이 수신자이다. 원거리 의사소통을 할 때 수컷이 신호자인 경우 신호는 과장되고, 반복적이며, 많은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암컷이 신호자인 경우 신호는 은밀하며, 적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짝짓기 의사소통 때 암컷과 수컷이 신호의 과장이나 사용 방법에서 많은 차이가 있는데 이것은 성선택의 결과이다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체크기는 다양한 동물그룹에서 짝짓기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유미양서류의 짝짓기 경쟁에 있어 수컷도롱뇽들의 신체크기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는 연구가 잘 수행되어 있지 않다. 우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짝짓기 행동이 알려져 있지 않은 고리도롱뇽(Hynobius yangi)을 이용하여, 큰 고리도롱 뇽 수컷이 작은 수컷에 비하여 짝짓기 경쟁에서 우세한지 여부를 연구하였다. 큰 수컷, 작은 수컷, 암컷 각 한 마리를 그룹으로 수행된 짝짓기 행동을 암컷에 대한 구애행동, 수컷간 경쟁행동, 알의 수정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큰 수컷과 작은 수컷 사이의 구애, 경쟁, 수정행동 어느 것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고리도롱뇽 수컷들 간 크기 변이 정도가 작으며, 암컷이 알을 산란할 장소가 서식처 내에 풍부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고리도롱뇽의 짝짓기 행동에 관한 첫 번째 보고이다.
        4,000원
        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일본, 중국, 대만에 발생하는 유해 해충인 호박꽃과실파리 Bactrocera (Zeugodacus) scutellata Hendel은 우리나라의 박과류에 피해를 주고 있다. 호박 꽃과실파리의 실내 사육에 있어 광 조건에 따른 짝짓기 행동을 관찰하였다. 실험 용 성충은 우화 후 약 10일이 지난 호박꽃과실파리 성충 암, 수이며, 광은 최대 2000lux를 주었고 20lux - 0lux 사이에서 관찰을 실시하였다. 호박꽃과실파리의 짝짓기 전 행동은 Wing vibration, Mounting과 Copulation 단 계로 이루어졌다. 인공광 아래 성충 수컷의 wing vibration의 광 조건은 20lux - 8lux였고, 20lux - 14lux가 가장 적합하였다. wing vibration 후 성충 암, 수의 mounting은 20lux - 8lux 사이에서 관찰되었으며, mounting의 경우 18lux - 14lux 가 가장 적합하였다. copulation의 경우 18lux - 10lux에서 관찰되었다. wing vibration을 한 수컷은 암컷과 copulation 성공률이 약 60%로 wing vibration 행동 을 통해 이끌려 날아온 암컷이 수컷의 앞쪽에 있을 때 대부분 copulation이 이루어 졌다. wing vibration을 하지 않은 수컷은 주변에 암컷이 있어도 copulation을 하지 않았다.
        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eld collected larvae inside the pumpkin fruit in Jinan, Chonbuk Province were kept in the laboratory at 24±2℃, RH 65±5%, and 14L:10D until they pupated and eclosed. Adults were fed with dry-milk based diet. Mating behavior was observed when they were 40 days old in a field cage at dusk in July and October, 2008. Wing vibration in male took place under the light intensity of 200 lux-20 lux, however, most commonly under 30 lux. Mounting between male and female was observed under 150 lux-30 lux after the act of wing vibration, also most frequently under 30 lux. Copulation occurred under 150 lux-20 lux. Females approached face to face to males which had been engaged in wing vibration and the copulation was successful for up to 64%. Copulation never occurred when a female positioned in front or at side of the male that was not engaged in wing vibration.
        3,000원
        5.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일본, 대만에 발생하는 유해 해충인 호박과실파리[Bactrocera (Paradacus) depressa] (Shiraki)의 짝짓기 전 행동을 사육실내에서 관찰하였다. 실험용 성충은 40일 지난 호박과실파리 암, 수이며 조도는 200lux - 0lux이었다. 호박과실파리의 짝짓기 전 행동은 wing vibration, mounting과 copulation 단계로 이루어진다. 성충 수컷의 Wing vibration의 광 조건은 200lux - 30lux었고, 30lux에서 활발하였다. Wing vibration 후 성충 암, 수의 mounting은 150lux - 30lux 사이에서 관찰되었으며, mounting도 30lux가 가장 적합하였다. Copulation의 경우 mounting 광 조건과 비슷한 150lux - 20lux에서 관찰되었다. Wing vibration을 한 수컷은 암컷과 copulation 성공률이 약 50%로 wing vibration 행동을 통해 이끌려 날아온 암컷이 수컷의 앞쪽에 있을 때 대부분 copulation이 이루어졌다. Wing vibration을 하지 않은 경우 앞쪽, 옆쪽, 그리고 다른쪽에 암컷이 있어도 copulation이 이루어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