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the types of verbal humor that occur during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n elementary-level English classes in Korea. Eighty-three videotaped ordinary English classes and interviews with seven teachers were analyzed. Spontaneous verbal humor was generally expressed in a mixture of English and Korean due to teachers’ and learners’ limited English proficiency. Wordplay was most prevalent, as learners often found Korean words that sounded similar to novel English terms. Teasing appeared quite frequently as well, with learners and teachers engaging in it to distract and gather attention, respectively. Senior students told the most jokes in order to save face. Narratives were found only in female teachers’ classes, as they shared personal anecdotes while their male counterparts did not. Meanwhile, hyperbole and self-deprecation were less likely to occur than other types of humor. Ultimately, humor is reaffirmed as a positive learning opportunity.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suggested for English teachers.
        7,800원
        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indoor air and health-related parameters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of subject of study (control group and sensitive group) in two schools. The school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of newly-built school and the school older than 5 years. Removal of indoor pollutant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volume rates (0%, 1.5%, 3%) of indoor plants inside 3 classrooms respectively. The chemicals of indoor environmental research were PM10,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luene and benzene), formaldehyde, temperature and humidity. ARIA (Allergic rhinitis impacts on Asthma) test was used to assess health effect for 151 students. Also, The variation of SBS symptoms for students in classroom was measured by intervention. With increasing volume ratio of classrooms, there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 results between the indoor pollutant and student's health score. Students showed improvement health score during the period of putting indoor plants, which was facilitated by the placement of indoor plants at newly-built school classroom of indoor plants volume ratio 3%. From the results above, it could be tentatively effective newly-built school classroom of indoor plants volume ratio 3% improve indoor air quality and student's health score.
        4,000원
        3.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0-week dietary education on elementary students in an after-school program in Seoul. Participants were 20 1-2 grade students and 283-6 grade students, and the dietary program consisted of dietary education and activities focused on children’s levels of understand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otal participant’s food habit scores and nutrition knowledg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fter dietary education. Food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scores of lower grade participants (grade) increased desirably (p<0.05). Meanwhile higher grade participants’ (grade) food habit scores also changed (p<0.05), but their nutrition knowledge scores were changed. Boy’s food habit scores significantly changed (p<0.05), whereas girl’s food habit score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urther, female participants’ nutrition knowledge scores did not changesignificantly after education. Participants’ obesity knowledge scores significantly changed after the education (p<0.05), but their attitudes on obesity increased insignificantly. Lower grade participants’ attitudes on obesity significantly and desirably changed (p<0.05), whereas higher grade participants’ attitudes on obesity changed insignificantly. Girl’s knowledge and attitudes on obesity significantly and desirably changed (p<0.05-0.01). This study revealed the correlation between food habit scores and attitudes on obesity (p<0.01), demonstrating that participants with high food habit scores have advisable attitudes on obes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lower grade participants’ food habit scores,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s on obesity changed desirably after dietar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mote the development of adequate nutrition education and materials focused on lower grade students and the need for systematic and continuous dietary education programs based on elementary school.
        4,000원
        4.
        2008.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irborne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formaldehyde, respiratory particulate for concentration in primary schools. The concentrations of major indoor air pollutants(VOCs ,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styrene, formaldehyde, PM-10) were observ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6. Sampling was undertaken at 81 primary schools. The sampling sites of air pollutants are classroom and hallway. VOCs with distribution of most of general environmental contamination material will be able to confirm that it shows the log-normal distribution which is similar exposure distribution. The exposure quality of VOCs and the place pollution level was indoor> hallway>outdoor, which whole is located in the metropolis and the industrial areas is higher than farm village area. It tried to observe the I/O ratio, it appeared highly from the interior of the material of most. The mean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respiratory particulate were 22.07㎍/㎥, 88.06㎍/㎥ respectively. Indoor and outdoor ratios(I/O) of formaldehyde and respiratory particulate were 3.6 and 1.4,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respiratory particulate is 27.2% higher than guideline for school hygiene(100㎍/㎥). From the comparison in the construction yea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is showed under one year. However, as time passed by the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become lower.
        4,500원
        5.
        2007.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surveyed to evaluate and recogni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pollutants(IAPs) such as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formaldehyde(HCHO), PM10, carbon dioxide(CO2), nitrogen dioxide(NO2), ozone(O3) and radon in 10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urban, rural, and industrial complex area from November 2005 to February 2006.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IAPs were 117.9㎍/㎥ as in PM10, 1,971ppm as in CO2, 486.6㎍/㎥ as in TVOC. These chemical's concentration was exceeded the indoor air standard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Korea. The indoor concentrations of ozone and toluene was lower than that of outdoor and other pollutants showed the opposite tendency. In schools located industrial complex area, the outdoor concentration of TVOC was higher than that of urban and rural area. Based on the results above, PM10, CO2, TVOC have to be in the order of priority to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in school. Also it should be performed in the detailed survey considered by the seasonal variation because this study showed cross-sectional results.
        4,000원
        6.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근래 우리나라의 출산률 감소로 인해 초등학교 학급 교실에 학생 대비 유휴 공간이 점점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을 활용한 교육환경 개선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 공간 개선에는 현실적으로 비용 측면에 의하여 능동적인 개보수 시공 등으로 바로 대처하기가 어려운 상황을 색채디자인으로 공간 활용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교육 환경의 변화는 공간의 구분뿐만 아니라 공간 안에서 시각적인 영향이 차지하는 부분이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도 서울시와 서울시 교육청에서 “꿈을 담은 교실”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초등학교 교실 유휴 공간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색채 디자인 계획을 문-스펜서(P.Moon과 D.E.Spenser)의 색채 조화 이론을 기준으로 초등 교육시설에 적용된 색채와 색채 심리, 공간의 적용 사례를 분석 연구하였다. 교실에서 주로 학습 공간이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교실의 주된 역할은 학습공간임에 변함이 없었다. 적용된 색채는 노란색과 연두색 계열이 주조색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청록색과 자주색 등은 주요 공간 보다는 유휴 공간들의 강조되는 역할로 적은 부분면적에 사용되었다. 색채 선정에서는 사용자의 심리적, 정서적 안정과 쾌적한 환경을 고려한 적용이 중요한데, 노란색과 연두색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이고 밝고 따뜻한 동심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초등학교 교실의 주조색채로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교실에 적용된 주조색, 보조색1, 2, 강조색의 전체적인 색채 계획에서는 대부분 조화로운 결과값을 가지고 있었으나, 주조색과 공간별의 색채계획에서는 조화로운 결과값 이 낮았으므로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의 “꿈을 담은 교실” 프로젝트는 20개 학교의 사례를 각각의 전문가와 비전문가가 교실의 공간 구성과 색채 적용을 협동하여 선정하고 시공한 사례이기에 더욱 의의가 있다. 색채의 정량화는 비전문가의 색채 계획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초등학생들의 정서 발달과 수업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7.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자율체육활동 체험교실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학교생활 만족도로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G시 자율체육 체험교실을 운영하고 있는 4개 학교의 4개의 자율체육 체험교실 5,6학년 학생 2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 학교에서 자율체육 체험교실에 참여하는 학생 65명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 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2.0을 사용, 집단 간 및 집단 내의 차이 및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했다. 이러한 연구 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체육활동 체험교실 참여 전후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하위 요인인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규칙준수의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여부에 따른 학교 생활 만족도를 분석해 보면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 났다. 셋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학생의 주변 환경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하면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8.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학교 시기에는 성격의 틀이 형성되고, 자아개념이 싹트며, 여러 학교 친구들과 사귀면서 사회성을 키우는 시기이다. 그렇지만 학업부 진이나 부적절한 친구관계, 충동적인 행동, 학교생활 부적응 등의 정서적인 문제들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문제들은 성인이 되고 나 서도 지속적으로 부적응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초등학교 돌봄 교실은 저소득층 가정, 한 부모 가정 및 맞벌이 가정 자녀의 방과 후 안정 적 생활과 아동의 건강한 성장 및 발달을 위함인데 돌봄 교실을 이용하는 아동들의 수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 후의 돌봄 교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원예 활동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2017년 4월 17일부터 2017년 5월 22일까지 주 1회 2시간씩 총 10회기에 걸쳐 서울 노원구 ㅅ초등학교 돌봄 교실 1 학년 학생15 명을 대상으로 사회성 향상을 위한 텃밭 원예 활동을 실시하고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사회성의 경우 실시 전 90.4±23.71에 서 실시 후 90.07±13.50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0.964NS). 그 이유로 대상 1학년 학생들은 사회성평가 설문지 문항을 이해하고 표 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대상 학생 중 처음에는 단체로 협동하는 원예 활동 또는 개인이 완성해야 하는 활동 모두 에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던 학생이 횟수를 거듭 할수록 적극적으로 태도가 변하기도 하였고, 텃밭에서 학생들이 모둠으로 활동을 하며 역할 분담으로 텃밭에 식물 심기 텃밭 주변 잡초 제거 및 물도 주며 서로 도와주고 식물에 대해 대화도 하게 되며 사회성이 향상 된 것으로 판단된다. 텃밭 프로그램을 통해 식물에 대해 더욱 애착을 느끼며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모습과 채소류를 수확하는 기쁨을 서로 나누며 결과물을 가족에게 선물도 하며 원예 활동 관심도 및 사회성이 향상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의 특성에 맞는 돌봄 교실 활동으로 지속적인 텃밭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9.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실 친화’란 학생 존재의 가능성의 지속적인 계발을 목표로, 교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교사-학생, 학생-학생 상호작용 현상의 이해와 탐구, 실천을 위한 행동양식이며, 교실 친화적 교사란 이러한 행동을 실천하는 교사이다. 초등학교 체육지도교사로서 가져야 할 교실 친화적 특성은 크게 보편적 소임과 특수한 소임으로 나눌 수 있다. 초등학교 체육지도교사로서 가져야 할 보편적 소임은 의미 있는 배움의 경험을 계속적 원리에 따라 조직하는 교사, 학생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이해하는 교사, 충실한 교육활동을 전개하는 교사, 민주 성향을 가진 인격적 촉진자로서의 교사이며, 특수한 소임은 교사 연구자로서의 교사, 체육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꾀하는 교사, 스스로 운동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는 교사, 열정적으로 성장을 추구하는 교사이다. 이와 같은 교실 친화적인 초등학교 체육지도교사를 기르기 위해 교원양성 기관에서는 실천적 지식 형성자로서 교사 연구자를 기르기 위해 현장 교사와의 만남을 정례화하거나, 탐구 능력을 키우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다양한 재능으로 무장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인문·철학적 소양을 골고루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해야 하며, 또한 여러 종류의 운동을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10.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교실친화적 교원을 양성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사례기반 교수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사례기반 교수법과 관련된 문헌 분석을 토대로, 확장된 의미로서의 사례기반 교수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초등수학교육에서 사례기반 교수법을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지 전반적인 방법과 핵심적인 구성 요소들을 분석한 후, 구체적인 개발의 예를 제시한다. 또한 사례기반 교수법의 활용 방안 및 초등 교사의 수학과 전문성 신장 측면에서의 기대 효과 등을 논의한다.
        11.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교육 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격려하는 교실 친화적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의미를 해석하여 초등학교 국어 수업의 전문성, 초등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 교육과 관련하여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문제 중의 하나는 대학 중심의 이론 지식과 학교 현장 중심의 실천적 지식 간에 연계와 통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실습 시기부터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교실 친화적 관점의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국어 교육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기회를 갖게 해준다. 교육 실습은 예비교사에게 학습자의 관점에서 드디어 교사의 관점으로 변화해가는 실제적 과정이다. 대학에서 배운 이론과 현장에서의 실제에 대한 차이를 인식하고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구성해가는 시기가 바로 교육실습 시기이다. 반성적 사고 내용은 2004년부터 2007년에 이루어진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3학년 2학기 교육실습 내용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생들은 국어 수업을 한 차시하고, 자신의 수업 과정과 자료를 작성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였는데, 여기에는 자신의 국어 수업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 기술되어 있다. 교생들은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국어 수업 의도 및 계획, 적용 모형, 수업 분석, 학생 반응, 국어수업 협의회 및 수업자 소감, 수업 동영상 관찰, 기록하고, 교육 실습 후에 수업자가 반성적 점검 내용을 발표하고 협의하였다. 초등학교 국어 수업 전문성에 대한 개념 공유를 위하여 먼저 초등국어교육의 본질을 탐구하였다. 그동안 초등국어교육의 본질 규명에 대한 이론과 현상을 학문적으로 분석하고 체계화하는 시도를 함으로써 초등국어교육은 양적, 질적으로 학문적 성장을 가져왔다.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초등국어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다루어지는 여러 교과 중에 하나이자 국어교육이라는 현상 아래 흐르고 있는 하나의 줄기이다. 따라서 초등교육과 국어교육의 측면을 모두 살펴볼 필요가 있다. 초등국어교육은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국어 교육이며, 그 목적은 초등교육의 목적에 닿아있다. 초등국어교육은 타교과학습의 기반이 되는 기초 교육, 의사소통 교육, 인성과 정서 함양의 문학 교육의 특성을 지닌다. 초등 예비교사의 국어 수업에 대한 반성적 점검 내용으로는 국어과 동기 유발과 목표 제시, 국어 교수 학습 모형과 절차, 국어 수업 활동, 언어적 상호 작용 및 피드백, 자료 활용 및 평가, 수업 계획과 실천의 상황 대처의 반성적 점검을 수업 단계별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실 친화적 교육 실습을 통한 초등국어 수업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초등국어 수업의 의미로는, 초등국어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학습과 실천적 지식의 중요성 인식, 구성주의 관점의 초등 국어 수업 지향,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재 분석 및 탐구, 자신의 초등국어 수업에 대한 반성적 점검에 대한 필요성 인식, 초등국어 교과의 특성 이해, 초등교사의 보람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