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xamine the continuity of the English textbooks of the elementary school 6th grade and the middle school 1st grade by analyzing the readability and vocabulary difficulty of their reading passages. It investigated the continuity between textbooks of the two grades and among chapters of each textbook. For the analysis, Flesch-Kincaid Grade Level Index was used to measure the readability of reading passages, whereas vocabulary difficulty was measured in terms of TTR (type-token ratio) and frequency by using VocabProfi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dability of middle school textbooks was one point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Given that the readability index is based on the American school system, the increase in readability index between grades can be seen as large gap. In terms of vocabulary difficulty, the total amount of vocabulary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was three times as much as that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Second, readability index fluctuated across the chapters of each textbook, while the TTR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former chapters than in the latter chapter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ll these could lead to learning difficulties for student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6,100원
        2.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2학년 국어와 수학 교과서의 한자어를 구성하는 한자를 조사하여 그 실태를 파악한다. 한자어 조사 방법은 학년별로 국어와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한자어 총수를 조사한다. 그리고 1음절 한자어, 2음절 한자어, 3음절 한자어, 그 이상 음절 한자어의 수와 종류를 분류한다. 그 다음은 한자어를 구성하는 한자의 난이도를 조사하는데, 그 기준은 교육부 선정 한문교육용 중학교 900자와 고등학 교 1,800자, 이 1,800자를 벗어난 한자로 구분한다.
        7,800원
        6.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학교 1학년은 전이의 시기로서, 또래와 교사는 아동들의 사회적 관계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또래와 교사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 아동 154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행동과 지각된 인기의 관계에서 사회적 선호와 교사 선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또래 지명법을 사용하여 공격성, 사회적 선호, 지각된 인기, 교사 선호를 측정한 후, Mplus 7.0을 사용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과 친사회성 모두 지각된 인기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회적 선호와 교사 선호는 지각된 인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친사회성과 지각된 인기의 관계에서 교사 선호의 매개효과가 나타난 반면 공격성과 지각된 인기의 관계에서는 교사 선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사회적 선호는 공격성과 친사회성이 지각된 인기와 가지는 관계를 모두 매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전이시기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참조자로서 또래와 교사의 역할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8.
        2014.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예술 및 체육 활동을 확대하는 것과 관련하여 필요성, 확대방안, 확대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을 외국의 예술·체육 활동 사례와 학부모 및 교사 의견 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교사와 학부모들은 예술·체육 활동의 확대될 경우 학교생활이 즐거워 지고, 학생의 인성과 사회성 및 협동심이 함양될 것으로 보았다. 초등학교 1, 2학년의 수업시수 를 증대할 경우 확대될 필요가 있는 교육과정은 교과보다 음악, 미술, 체육 등의 활동으로 나 타났다. 교사와 학부모간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양자 모두 국어, 수학,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 활보다 음악, 미술, 체육, 놀이, 기타의 예술·체육 활동이 더 확대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인식 하였다. 이것은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예술·체육 활동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업시수를 증대하는 방법으로 예술·체육 활동을 확대하는 것에 대하여 학부모들은 찬 성하였으나 교사들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예술·체육 활동 확대의 필요성에 원 론적으로 찬성하지만, 현실적으로 업무 부담을 우려하여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 업시수 증대는 장기적 차원에서 고려하되 현실적으로는 방과후 활동의 일환으로 예술·체육 활 동을 확대하는 방안이 더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예술·체육 활동을 확대 운영할 때 예상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시설이나 공간이 미비하거나 프로그램이 빈약하다는 것이다. 특별교실이나 체육관, 운동장 등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예술· 체육 활동을 할 적절한 장소를 확보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따라서 학교의 현실적 여건을 반영 하여 예술·체육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알맞은 시설과 공간 및 관련 프로그램이 제안되 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