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re are two ways of segmenting Chinese characters: form-based segmentation and etymology-based segmentation, which have come up with different conclusions. They, with their own theories and value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serve Chinese character teaching in different way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Form-based segmentation may produce the minimum form units of characters, which can be arranged into the basic form units. Basic form units can help character learners to get an initial knowledge of the form of characters, and thus to lay a good foundation for character learning.
        4,900원
        2.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을철 수경재배에 알맞은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19개 품종을 대상으로 선발 실험을 하였고 그 중 가장 우수한 '아트라스'를 대상으로 생육 및 수량 실험을 수행하였다. 선발 실험결과 직립형태이면서 발아율 90%이상, 초장이 25cm 내외인 '아트라스'와 '딤플'이 가장 좋았고, 발아율은 다소 떨어지지만 '마호로바'도 비교적 우수한 생육을 보여 수출용 품종으로 적합하였고, 직립형태 중 초장이 20cm 정도인 '프리미엄'과 '플라톤' 품종은 내수용으로 적합한 품종으로 생각되었다. 정식시 재식거리를 12×9 cm, 12×11 cm, 12×13 cm, 12×15 cm로 하여 '아트라스'를 재배한 결과 초장 등 엽 생육은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다. 재식거리에 따른 초장의 차이는 12×11 cm가 24.1 cm, 12×13 cm가 21.5cm, 12×15 cm가 21.2cm에 비해 재식거리가 넓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한편 지상부의 생체중은 재식거리가 넓어질수록 증가되었으며, 1개체의 무게는 12×9 cm의 7.3g에 비해 12×11 cm, 12×13 cm, 12×15 cm이 각각 10.7g으로 46% 컸으며, 정식 1홀당 생체중도 재식거리가 넓을수록 증가되어 12×9 cm의 20.2g에 비해 12×11 cm에서 33.8g, 12×13 cm에서 29.7g, 12×15 cm에서 26.9g으로 각각 67~33% 증가되어 수량에 영향을 미쳤다. 수량은 12×11 cm가 14,890kg·ha-1으로 12×9cm의 8,900kg·ha-1에 비해 67%증가되었다. 따라서 가을철 시금치 수경 재배시 안정 생산을 위한 재식거리는 12×11 cm라고 생각되어 진다.
        4,000원
        3.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98년 9월부터 2001년 12월가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예취높이가 하번초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초지는 Kentucky bluegrass (Newport) 40%+tall fsscue(Reboil Jr.) 20%+perennial ryegrass(Palmer II) 10%+redtop (Barricuda) 10%+red fescue(Salem) 10%+creep
        4,000원
        4.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98년 9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내 초지시험포장에서 N 시비수준이 하번초형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초지는 Kentucky bluegrass(Newport) 40%+tall ftscue(Reboll Jr.) 20%+perennial ryegrass(Palmer II ) 10%+ redtop (Barricuda) 10% + red fsscue(Salem) 10% +
        4,000원
        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2000년 4월부터 8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실험축사에서 수행하였다. 시험에 공시된 목초는 1999년에 경운초지 조성방법으로 조성된 상번초형 혼파초지(tall type mixtures, 파종비율: orchardgrass, Potomac 40+ tall fescue, Fawn 20+ Festulolium braunii, Paulita 10 + perennial ryegrass, Reveille 10+timothy Climax 10
        4,000원
        6.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초지를 상번초형 및 상+하번초형으로 혼파조합하여 조성하였을 때 목초의 건물수량, 품질 및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1999년 9철부터 2002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된 혼파초지는 상번초형 혼파초지{orchardgrass, Potomac 40+tall fescue, Fawn 20+Festulolium braunii, Paulita 10+perennial ryegrass, Rev
        4,000원
        7.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지각을 기준으로 유인방법을 달리한 시설 고추 재배에서 군락내 수광태세와 초고별 기관분포로 살펴본 군락생산 구조 분석과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여 생육 전반적인 군락생산 구조는 흡광계수, 군락 모식도 측면에서 45˚ 처리후 직립구에서 가장 좋았다. 초장은 직립구에서 가장 컸으며 1차분지 이후의 평균 절간장은 45˚ 처리구가 가장 짧았으나 경경, 엽면적, 식물체 무게는 45˚ 처리후 직립구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수량은 45˚ 처리후 직립구〉45˚ 처리구〉직립구 순이었으나, 수확 과수는 45˚ 처리후 직립구〉직립구〉45˚ 처리구 순이었다.
        4,000원
        8.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is the staple food of at least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Due to global warming, the weather is difficult to forecast nowad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reed various breeding to respond to such changes in th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QTL about plant form, culm length, ear number and ear length by using 120 lines by anther culture, a cross between the Indica variety Cheongcheong and Japonica variety Nagdong. DNA marker was selected on the QTLs gen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CNDH (Cheongcheong Nagdong Doubled Haploid) lines frequency distribution table curves about culm length, ear number and ear length exhibited showed a continuous variation close to a normal distribution. QTL analysis result, on culm length qPlL1-1 and qPlL1-2 were detected on the chromosome 1 and qPlL5 was detected on the chromosome 5. However, on ear length qPL2, qPL3 and qPL10, were detected on the chromosome 2, 3 and 10, while on ear number qPN1-1 and qPN1-2 were detected on the chromosome 1, qPN9 was detected on the chromosome 9. The QTLs related to culm length was found to chromosomes 5 and LOD scores were 3.81. The QTLs related to ear length was found to chromosomes 2 and 3 LOD scores were 7.13 and 3.20. The QTLs related to ear number was found to chromosome 9 and LOD scores were 4.27. Twenty two (22) Japonica cultivars and 12 Indica cultivars were analyzed polymorphisms, using selected 9 markers from the result about plant form analysis. RM5311, RM555 and RM8111 about the culm length, the ear length and number of ear were selected on the standard of Cheongcheong and Nagdong. Each rate of concordances about the culm length, the ear length and number of ear are 44.11%, 41.17% and 44.11%.
        9.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과제의 목적은 1) 양질 다수성 콩 기술 이전, 2) 양질 다수성 콩 품종 출원, 3) 고밀도 유전자지도 작성을 통한 다수성관련 QTL 동정 및 다수성 형질 연관 마커 개발, 4) 콩 품종 판별 마커 개발, 5) 기능성 콩 가공식품 개발이다. 이를 위해 당해연도는 양질 다수성 콩 품종 육성을 위한 생산력 검정 및 지역적응성 검정을 실시하고 초다수성 우량 계통 육성을 위해 1단계 사업에서 선발된 우량 계통들을 지속적으로 세대진전하고자 한다. 특히 다수성관련 형질연관 QTL 동정을 위해 길육69 x SS0404-T5-76 RIL 집단(400계통)을 육성하였고 이 집단을 이용한 고밀도 유전자지도 작성하고자 한다. 먼저 모부본 염기서열 변이 탐색 및 RIL들의 다수성 형질 표현형을 조사할 것이다. 한편, 품종보호 및 종자순도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분자 마커 개발을 위해 주요품종들에 대한 SSR 마커 분석을 실시하였다. 당해연도에는 1단계 사업에서 개발된 ‘CJ행복한1호’ 콩 품종 육성을 위한 채종포를 제주도와 괴산 등지에 조성하며 두부 장류용 우량 계통 SS408-T5-99 에 대한 제품 생산 가능성 분석하고 장류발효과정 중 아이소플라본의 성분 변화를 분석할 것이다.
        10.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잔디는 스포츠 경기장, 골프장, 조경분야, 공원, 묘지, 사방건설, 개인주거지 등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고부가가치의 경제성 작물이다. 본 연구는 제초제저항성 들잔디 JG21의 화분(pollen)과 금잔디(Z. meliloti) 암술(carpel)의 종간 인공수분을 통해 육성된 제초제저항성 교배종 잔디 계통(JG21-MJ)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genomic Southern blot분석에서 제초제저항성 교배종 잔디들은 모두 bar 유전자가 확인되었고, JG21과 동일한 혼성화 패턴(hybridization pattern)을 보여 주었다. PCR을 이용하여 교배종 가운데 제초제저항성이 없는 대조군 품종과 제초제저항성 품종에서 도입유전자 주변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이 실험은 들잔디(JG21)와 금잔디의 교배(F1)와 자가수분(F2) 과정에서 도입유전자 삽입위치 주변의 염기서열에서 상동재조합이 발생하였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제초제저항성 교배종의 도입유전자 주변염기서열은 JG21과 동일하였고, 제초제저항성이 없는 대조군의 삽입위치 주변의 염기서열은 금잔디의 염기서열과 동일하였다.
        11.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mainstem, branch and leaf characteristics related to canopy for development of high yielding cultivar using 70 Korean soybean cultivars developed from 1913 to 2000. Variations of canopy width, branch length, and canopy width/length ratio were higher compared to other characteristics among 12 mainstem and branch characters. Variations of petiole angle, leaflet width/length ratio and compound leaf dry weight were higher than other characteristics among eight leaf characters related to plant canopy. Three classifications of soybean cultivars were used based on usage: I)soy sauce and tofu, II)bean sprout, and III)cooking with rice. Canopy width/length ratio was higher in group III, cooking with rice than group I, soy sauce and tofu, and group II, bean sprou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 I and group II. The total branch length/main stem height ratio was higher in group II, bean sprout and group III, cooking with rice than group I, soy sauce and tofu. Mainstem and branch characteristics related to plant canop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ratio of canopy width/length and total branch length/main stem length, respectively. Soybean cultivars with narrow canopy and high dependence of mainstem were Danweonkong, Keumkangkong, Shelby, and Shinpaldalkong. Soybean cultivars with broad canopy and high dependence of mainstem were Kanglim, Keumkangdaelip, and Jinyulkong, and a cultivar with broad canopy and high dependence of branch were Geomjeongkong 2. Leaflet length/width ratio was lowest in cooking with ri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oy sauce and tofu and bean sprout. Compound leaf area was largest in cooking with rice and smallest in bean sprout. Leaf petiole length was short in bean sprou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oy sauce and tofu and bean sprout. Leaf petiole angle was highest in cooking with rice and lowest in bean sprout. Leaf typ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leaflet width/length ratio and compound leaf area, respectivly. Buseok and Taekwangkong had an oval leaflet and largest area of compound leaf. Eunhakong and Sohokong had extreme narrow leaflet and smallest area of compound leaf. Leaf petiole type was classified into three and four groups based on leaf petiole length and angle, respectively. A soybean cultivar with the shortest petiole length and smallest petiole angle was Eunhakong and cultivars with short petiole length and large petiole angle were Alchankong, Muhankong, and Pureunkong. A soybean cultivar with long petiole length and small petiole angle was Sinpaldalkong 2. Among a total of 70 Korean soybean cultivars, Eunhakong had an extreme narrow type in leaf, smallest compound leaf area, shortest petiole length, and smallest petiole angle of compound leaf.
        13.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입중에 따른 이상초형(ideal type)의 개발을 위해 광합성호율이 높은 안전 다수성 콩 품종육성의 엽형 모델을 찾고자 엽형 및 입중에 따른 잎기능에 관련된 몇 가지 주요특성 및 CO2 이용효율과의 관계를 조사했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두 단엽의 CO2 동화량은 소립품종에서 장엽형 잎을 가진 품종이 19.66 umolm2s1로서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18.29 umolm2s1)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대립품종에서는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이 19.17 umolm2s1로서 장엽형품종(17.45 umolm2s1)보다 높았다. 2. 기공전도도가 0.12-0.13범위에서는 주로 대립, 장엽형 품종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CO2 동화량은 17-18 umolm2s1정도로 낮았고, 0.14-0.15범위에서는 소립, 장엽형 품종들이 분포하였는데 CO2 동화량은 19-20 umolm2s1로서 높았다. 3. CO2 동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생성량은 대립, 환엽형 잎을 가진 품종들이 0.82-0.83으로 가장 적었으나 CO2 동화량은 18-20 umolm2s1로서 높았다. 4. 주당 CO2 흡수량은 나물콩에서는 장엽형 품종이 68.5ppm으로 환엽형(46.5 ppm)보다 크게 높았으며 장류콩에서는 환엽형이 70.1 ppm으로서 장엽형(63.1 ppm) 보다 약간 높았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