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2.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 the multiple practices of bone graft using different artificial bone regenerative substitutes, the bone graft procedures have been widely performed to increase the bony stabilization of dental implant. Xenogenic bone graft materials have been well developed because of their good biocompatibility and abundant source of bone material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histological findings from excellent bony remodeling in xenogenic bone graft biopsies compared to those findings in autogenous bone graft. For the graft bone biopsies which were usually done in 5-9 months after graft bone insertion, five types of histological grades including excellent, favorable, partial, degenerative, and poor bony remodeling could be assessed to give prognostic information for dental implant. However, recently the xenograft bone materials have been much improved and produced strong osteogenic effect. Among 239 cases of trephine bur-supported core bone biopsy the excellent bony remodeling was found in 20 cases (13.1%) out of 153 xenogenic bone grafts and in 13 cases (43.3%) out of 30 autogenous bone grafts. They produced abundant new bones on the surface of the graft bones in 5–9 months, and the graft bones were partly resorbed and also surrounded by the repetitive deposition of new bone. The osteophytic new bones showed strong birefringence under polarizing microscope, and were gradually elongated and anastomosed with each other to form trabecular bony networks which became proper stress-baring structures for dental implant. Their marrow stromal tissues were composed of loose connective tissue which was well vascularized but rarely infiltrated with inflammatory cells.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histological features of excellent bony remodeling between xenogenic and autogenous bone grafts. Although the ratio of excellent bony remodeling in xenogenic bone graft was still low, 13.1%, the recent advance of xenogeic bone products was remarkable in biological aspect and almost comparable to the autogenous bone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xenogenic bone graft will be applicable to the bone regeneration procedures for dental implant with beneficial output in the near future.
        4,000원
        3.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57 years old female received xenogenic bone graft for the extraction socket augmentation of right maxillary molars and for the sinus floor elevation six months ago. The bone graft sites were healed uneventfully and showed marked radiopacity in the postoperative X-ray view. Before dental implant insertion the bone biopsy was made using trephine bur and examined pathologically. The graft bones showed minimum new bone deposition with dysplastic epithelium. The epithelium was proliferative on the surface of graft bones forming epithelial strands and nests, similar to the odontogenic epithelium.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was performed using different antisera of odontogenic markers, growth factors, oncogenes, etc. The epithelial cells were strongly positive for pan-keratins, EGF, pAKT, and HSP-70, consistently positive for PCNA, p53, EGFR, 14-3-3, and survivin, slightly positive for ameloblastin, but rarely positive for amelogenin. Particularly the matrix of graft bone was slightly positive for EGF. Taken together, it is presumed that the abnormal epithelium on the graft bones was derived from odontogenic epithelial elements, Malassez epithelial rests, distributed at the periodontal tissue of maxillary molars, and that they might undergo dysplastic proliferation affected by the release of growth factors and osteogenic proteins from the graft bone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graft bone substitutes inserted for the dental implant possibly have a potential to induce the proliferation of odontogenic epithelial rests leading to the pathogenesis of odontogenic cysts and tumors.
        4,000원
        4.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두 편으로 구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설계에 대한 논문 중 두 번째 논문으로 첫 번째 논문에서 구조해석 비 교연구를 통하여 그 구조적 성능이 확인된 새로운 임플란트 구조모델에 대하여 시험 설계도면을 작성하여 완성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실제로 CNC 공작기계 등을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가공․제작하고, 이를 평가함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 설계를 완성하였다. 설계도면 작업은 전용 Tool인 MDT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가공작업은 CNC 선반, 범용밀링머신, Wire EDM 등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표면의 가공 상태를 최종 평가 확인하였다. 평가 결과 매우 양호한 상태의 임플란트 시험제품을 설계 제작하였다.
        4,000원
        5.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두 편으로 구성된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설계에 대한 논문 중 첫 번째 논문으로 먼저 치과용 임플란트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하여 조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사용 중인 대표적인 치과용 임플란트들의 장단점들을 비교분 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임플란트 구조모델을 제안하였다. 특히 제안된 새로운 구조형상의 임플란트에 대하여 기존의 대표적인 임플란트들과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이용한 구조해석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조해석 비교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적 성능의 우수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조해석 비교연구를 수행한 치과용 임플란트 제품은 3i 임플란트 제품과 Sargon 임플란트 제품이다. 이들은 모두 수입 제품들인데 임플란트 종류 및 특 징 조사 결과 현재 임상으로 사용 중인 임플란트들은 대부분 골내식립형인데 이들도 그들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4,300원
        6.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hanges of growth factors and bone matrix proteins during the bone healing processes using immunohistochemistry and in situ hybridization. Especially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changes of bone matrix and growth factors around the titanium implant. Threaded implants were introduced into the long bone of tibia. Time dependent changes of several bone associated protein and and its mRNAs were observed. Protei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re collagen, osteonectin(ON), osteopontin(OPN), osteocalcin(OC). Expression of the proteins were measur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VEGF and ON were measured using in situ hybridization, and northen blot technique. Bone regeneration were observed as early as the third day of experiment. Matrix proteins and growth factors observed around implant were identical to the proteins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the ON, OC and VEGF were observed mainly in the osteoblast-like cell on the surface of new bone around the implant and the cells lining the margin of bone defect apart from the implant. The observation may not result from direct osteoconducting activities of titanium but by passive adsorption of extracellular factors which has bone inducing capacities. These passive adsorption results in the immobilization of the growth factors and consequent prolongation of the activities.
        4,000원
        7.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연역조직 회학 방법 및 in situ hybridization 법을 이용하여 골 치유 과정중의 골성 장 반응 빛 골 기질 단백질 형성이| 관여하는 여러 성장인자 및 골기질 관련물질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임 플란트 배식 후 티티늄 표연과 인접한 주변 골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 골 성장과 관련한 성장인지들의 변화를 관칠하고자 히였디 직경 3 -5mm의 thread - ed implan t를 백서 장골에 매 식한 후 시 간적 변화에 따른 골기질 관련 물질 및 관련 mRNA의 분포변호}를 관찰히였다 디1 상은 콜리 겐 . osteonectin(ON). osteopontin(OPN). osteocalcin (OC) 동의 분포의 변호}를 연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보고 이와 힘께 골기질 형 성관련 성장인자인 VEGF와 ON 의 l알헌을 in situ hybricli za tion 법을 이용해서 관찰하였다 3일째 소견에서 는 골 내부에 형성된 나사 산과 잉프란트의 강제적인 접 촉으로 인해서 높은 접촉률을 나티내고 있었으나‘ 부위에 따라서는 혈벙으로민 둘러씨인 부분도 관칠되었 다 7일째 소견에서 는 이 같은 인위적인 접촉부위에서 골 흡수가 일어니연서 골접촉이 크게 감소하였다 7 일과 14일에서 골의 형성은 이주 낮은 정도로 나타났으마. 14 일째에 는 골 집촉의 증기기 다소 나타나지만 골 밀도는 골의 게조로 인해 김소하는 소견을 나타내 었 다 연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대조균은 콜라겐이 결합조직 에 서 항상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반면 실험군에서는 신생 골에서 일부에 서만 약한 양성 반응을 보였다 OC은 신생골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기존 골의 손상부위에 부분적으로 양성 만응을 보였다 OPN은 결함조직 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신생 골의 골양 조직과 골소공 주변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ON은 기존골의 일 부와 신생골에서 관찰 되었다 특히 골모세포와 골세포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 었다 대조군과 실험군들 간의 연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의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OC은 대조군에서와 마찬가지로 신생골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인접 골 주변부에서 부분적 으로 양성 반응을 보였다 OPN은 대 조군과 실험군 동일하게 결합조직 에서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신생골의 골양 조직과 골소공 주변에서 발현되는 것도 유시하였다 ON의 말현 OJ상도 대조군의 경우와 통일하였으며 골모세포나 골세포 에서 양성 반응을 나티 내 띤 서 골질에 대해서 는 신생골이니 골 게 조 후의 골보다 석회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골 개조 이전의 골에서 뚜렷한 양성을 보였다 ON 의 발현잉상에서 연띄조직화학 염색소견과 달러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내 mRNA의 발현은 임플란트에 보다 근 접힌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히는 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얻은 겔론은 다음과 같다 i 소형 임플린트의 떼식 시 나타나는 조직 띤응은 정싱크기 의 임 풀란트에서외 동일힌 소견을 나타내았다 2 골재생은 3일 째부터 관칠되었으며 14 일이후 골재소가 나티니 21 일까지 지속되었다 3 임플란트 주맨에서 나타냐는 골재생관련 성장인자외 골기질 단백질은 골결손으로 인한 재생 시와 동일한 소 낀을 니 타내 었다 4 띤약조직화흐l 염색소견과 달리 골기질 단백질의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세 포내 mR NA의 발현은 임플란트에 보디근접한 세포에서 발힌이 증가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임풀란트 제 료의 표면이 골형성 유도능을 가진 것이기 보다는 골형성 유도 능을 가진 세 포외 인지들이 티타늄 표띤 애 수동적으로 홉착됨으로 잔존 기간이 증가하고 이동성이 감소함으로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5. 티타늄 인 플렌트의 표띤은 특띨힌 처리 없이 도 곧형성 유도른 증가시 키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