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독과 외로움에 관한 한국어 단어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적합한 단어를 수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3종의 국어사전에서 두 정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어휘를 선별하였다. 이때, 자발적 고독을 추구 하는 사람들의 증가 현상을 특별히 반영하여 관련 단어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총 1,768개의 단어로 구성된 총집을 마련하였다. 이어서 모든 사람이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 기준에 근거해 총 684개의 단어로 선별한 후 6회의 반복적 선별 절차를 통해 총 243개의 단어를 선정하였다. 연구 특성상, 수집된 단어의 의미는 명확해야 하고 고독과 외로움의 전체적인 양상을 총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총 243개 단어에 대한 친숙성과 적절성의 평정치 가 공통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단어들을 중심으로 최종 선별하였다. 본 연구가 고독과 외로움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과 한국인의 실제적이고 보편적인 인식을 발달적 관점에서 파악하는 데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8,1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26 EFL college students’ familiarity levels with the visual information of TOEIC listening test items on test scores and test performance procedure. Data collected measured students’ degree of familiarity with the visuals via a pre-test and their listening test scores, and responses to the post-test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dat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locate the interdependency between the students’ familiarity levels with visuals and their test scores. Results foun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st scores regardless of the students’ levels of familiarity with the visuals. Additionall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amiliarity with the visuals and the students’ test scores were low. However, the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unfamiliar visuals while taking the tes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lthough test-takers’ familiarity with visuals does not predict their listening test scores, there is a need to tailor the visuals when developing listening test-items.
        4,900원
        3.
        202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후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문제로 인하여 환경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환경 교육 을 위한 식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생 121명에게 적용한 후 환경친화적 태도와 식물친숙도를 평가하였다. 식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프로그램 시간, 강사, 내용, 장소 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초등학생들은 프로그램 참여 의 사가 높으며, 만족도와 참여 의사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프로그램을 수행하지 않은 학생과 비교하면 식물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로 환경 지식습득, 기분개선이 높게 분석되어 식물 교육 프 로그램은 환경에 대한 인식의 제고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 환경친화적 태도의 하위 영역인 환경 보호와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에서 효과가 있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교육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저학년부터 다양한 환경 교육 활동을 경험하게 되면 환경 감수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식 물 교육활동은 식물 친숙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으며, 인지적 측면에서 지식습득의 효과 뿐 아니 라 정서적 측면의 향상에도 유리하다. 환경친화적 태도와 식물친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식물 교육프로그램의 참여도 향상을 위해서는 만족도를 제고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 시 간, 강사, 내용 등의 운영 및 구성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글 글꼴의 눈에 띄는 특성에는 세리프 및 네모틀 여부가 있다. 꺾임 또는 삐침으로 장식된 글꼴은 세리프(serif)로 분류되 며, 이러한 장식이 없는 글꼴은 산세리프(san-serif)로 분류된다. 반면 네모틀은 알파벳 글꼴에는 없는 특징 범주이며, 가상의 사각형 안에 자, 모음, 그리고 받침이 조화를 이루는 특징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온 세리프와 네모틀 글꼴 특성을 보유한 글꼴이 그렇지 않은 글꼴보다 친숙성과 선호도가 높을 것을 가정했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글 팬그램을 사용한 네모틀 및 탈네모틀 글꼴 그리고 세리프 및 산세리프 글꼴을 제시해 해당 네모틀 및 세리프 유무에 따른 친숙성과 선호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탈네모틀 글꼴에 비해 네모틀 글꼴에 대해 친숙성과 선호도를 모두 높게 평가했으나 세리프와 산세리프 사이에 이러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더 나아가 친숙성과 선호도 사이의 정적 상관은 탈네모틀 세리프 글꼴에 대해서만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네모틀의 특징을 보유한 한글 글꼴이 그렇지 않은 글꼴에 비해 더 친숙하고 선호될 가능성을 의미한다. 특히 본 연구는 한글 글꼴 사용자들에 있어서 익숙하고 편안한 글꼴로 네모틀 글꼴이 권장되며, 더 나아가 세리프를 동반한 네모틀 글꼴이 사용될 경우 이러한 긍정적 감성이 향상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4,000원
        6.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어 대인관계 단어 도구를 제작하는 것으로, 그 첫 과정으로서 대인관계 단어 목록에 포함시킬 적절한 단어를 수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먼저, 생소하지만 의미를 짐작해볼 수 있고 대인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모든 어휘를 3종의 국어사전으로부터 수집하였다. 그 결과, 총 2,725개의 단어로 구성된 대인관계 단어 총집을 제작하였 고, 중복되는 단어를 선별하여 총 910개의 단어를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도 문법적인 형태가 다를 뿐, 의미가 비슷하거 나 동일한 단어가 발견되어 이를 반영한 재분류 작업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절차는 총 7회 반복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 249개의 단어를 선별하였다. 한편, 대표 단어 도구를 개발하는 본 연구의 특성 상, 단어의 의미가 보다 구체화되고 집약되어 전체적인 대인관계 양상을 하나로 잘 나타낼 수 있는 단어 구성이 필요하므로, 단어의 수를 축약시킬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단어 선별의 마지막 단계로, 앞서 추출한 총 249개의 대인관계 단어에 대한 친숙성과 적절성 평가에 따라 재선별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친숙성과 적절성의 평정치 결과가 서로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단어들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6,100원
        7.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외직구를 비롯한 인터넷 구매 환경에서 소비자들은 실제적인 제품을 보지 못하고 제품의 사진과 제품 정보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게 된다. 제품의 사진은 제품의 형태만을 보여줄 뿐이므로 소비자들은 정확한 크기에 대한 정보는 제품 속성을 나타내는 텍스트에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크기나 양을 표시할 때, 같은 양이나 크기를 나타내는 데에도 여러 가지 단위와 그에 따른 다른 숫자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외 직구 상황에서 30ml 의 향수가 1 fl. oz.로 표시되어 있는 사이트를 발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같은 크기의 제품 이라 하더라도 표시한다고 하더라도 사용된 단위에 따라 크기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 즉 큰 숫자로 표현된 사물을 크게 지각하는 다수성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그 반대로 큰 단위가 사용되면 크게 지각하는 단위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다수성 효과와 단위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심리적 거리 중의 하나인 사회적 거리와 단 위의 친숙성을 제시하고 이들의 조절효과를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실험이 사용되었다. 우선 실험 1 에서는 사회적 거리가 가까울 경우는 다수성 효과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사회적 거리가 멀 경우에는 단위 효과 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 2에서는 단위친숙성이 낮은 경우에는 다수성 효과가 강해지고 단위친숙성이 높은 경우에는 그 다수성 효과가 약해짐을 알 수 있었으며 또 실험 1에서 나타난 사회적 거리의 조절효과는 단위 친숙성이 낮을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6,900원
        10.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segment seafood market and find the factor and process that divide the segment market. Cluster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to identify meaningful segment market.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und three segment market such as seafood integration familiarity group, domestic seafood familiarity group, seafood unfamiliarity group. Seafood integration familiarity group is active consumer that consume both domestic and imported seafood at home. This group have high preference and familiarity about seafood. Seafood familiarity group purchase imported seafood for the reason that imported seafood is cheaper than domestic seafood and have similar quality level. Domestic seafood familiarity group consume mostly domestic seafood and not purchase imported seafood for the reason that imported seafood have low quality and safety. This group have high preference and familiarity about seafood. Seafood unfamiliarity group is low preference group about seafood and seldom eat at home. This study found that the main factor that divide segment market is seafood familiarity that formed by experiencing seafood in youth and seafood familiarity is main factor that determine consumption degree of seafood at home.
        4,600원
        11.
        201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영화 마케팅에 있어서 영화포스터 타이틀 로고의 서체적합도와 수용자들의 영화 친숙도, 그리고 영화포스터에 대한 태도 및 영화에 대한 태도, 마지막으로 영화 관람의도의 다섯 가지 잠재요인이 서로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1과 연구2로 구분되어 있는 본 연구는 먼저 연구1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고 다음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구조모형의 적합성과 각 요인 간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2를 진행하였다. 연구1의 결과, 실험 집단 간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연구2의 구조모형의 경우 영화포스터 타이틀 로고의 서체적합도는 영화포스터에 대한 태도와 영화 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화 친숙도의 경우 영화포스터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포스터에 대한 태도와 영화 자체에 대한 태도, 영화 관람의도 사이에도 서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다섯 가지 요인을 이용한 구조모형의 유의미함을 통해 향후 영화 마케팅에서 각각의 요인의 전략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6,700원
        12.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test-items using the same text and test-takers' text familiarity on the scores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 total of 312 third-grad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ook three different English tests, adapting types of test-items from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Each test included items using the same texts, presented in exam preparation books published by EBS in Korea, but different question types. To estimate levels of their topic familiarity, two surveys were carried out. Repeated measures ANOVAs reveal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among the items using the same text with different types of test-item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opic familiarity. The results indicate a greater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test-items than topic familiarity on the scores of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using the same text. Based on th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English teachers in Korea need to manage their reading classes by using various types of question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to prepare their students for the CSAT.
        6,300원
        15.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duct familiarity is vital to assess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In this study, a conceptual model was propo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c products familiarity, perceived value (measured by quality, emotional, price and social dimension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students. The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using questionnaire survey data collected from 235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reveal that organic products familiar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quality, emotional value, price value and social value. On the other hand, emotional value, price value and social value i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rchase intention whereas quality shows in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 Overall, the result shows students have positive outlook about their intention to purchase organic products.
        18.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친숙한 자극에 반응할 때 나타나는 측두 영역(T7과 T8)의 N170과 P250 그리고 측후두 영역의 P170과 N250을 분석하여 친숙한 자극이 선수의 인지정보처리(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12명의 남자 고등학교 레슬링 선수들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친숙한 자극은 레슬링 지도자의 사진을 자극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친숙하지 않은 자극은 면식이 없는 일반인의 사진을 이용하여 자극을 만들었다. 전체 200장의 사진(목표자극 40, 표준자극 160)을 무작위로 모니터에 나타나도록 하였다. 과제는 목표자극이 나타나면 왼쪽 버튼을, 표준자극이 제시되면 오른쪽 버튼을 가능한 한 빨리 누르는 것이었다. 뇌파는 Fz, Cz, Pz, T7, T8, P7, P8 그리고 O1에서 각각의 진폭과 잠재기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측두 영역과 측후두 영역에 대해 자극(2)×좌우반구(2)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측두 영역(T7과 T8)의 N170에서는 친숙한 자극의 잠재기가 친숙하지 않은 자극보다 잠재기가 더 길었으나, P250에서는 친숙한 자극이 친숙하지 않은 자극보다 잠재기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폭을 분석한 결과 측두 영역과 측후두 영역의 N170과 P170은 우반구가 좌반구보다 진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레슬링선수가 연습이나 면식으로 인해 과제에 익숙해지게 되면 정보처리가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을 뇌생리학적으로 밝혀 주었다.
        20.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실의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 군포, 양평의 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실에 참여하는 2~5학년의 학생들 41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23일부터 7월 9일까지 매주 1회, 회기 당 1시간20분씩 총 15회에 걸쳐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원예활동을 통합하여 실내․외에서 개별 및 집단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후에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를 검사하였는데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아동의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교육현장에서 교과목과 연계한 다양한 원예교육프로그램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한 교육영역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