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사업내용 중 하나인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으로 준공에 이른 농촌 커뮤니티 시설의 주민조직 직접 운영에 따른 운영성과와 농촌 커뮤니티 시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 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전라북도 농촌중심지활성화사 업으로 준공에 이른 농촌 커뮤니티 시설 중 주민조직에 의해 운영되고 예산이 비슷하며, 비교가 가능한 부안군 보안면, 김제시 금구면, 임실군 강진면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배포 후 회수하는 방법으로 수집하였으며, 일반현황과 독립변수의 측정지표에 근거한 리커트 7점 척도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결과는 설문에 대한 응답자의 일반현황, 빈도, 백분율 분석, 측정 문항의 신뢰 도 분석을 위해 크론바흐의 알파 값 계수법 분석, 세부 측정지표별 설문조사 분석,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세부 운영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과 리커트 7점 척도를 통한 연구의 결론은 측정문항의 신뢰성이 인정되었으며, 농촌 커뮤니티 시설의 주민조직 직접 운영은 시설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성공적인 운영과 운영성과를 제 고 및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계층들의 이용에 있어 편리하도록 환경관리 및 시설의 설비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시설 운영의 주체인 주민조직의 기능을 강화하여 지역의 공동체 교류공간 이 되도록 주민조직과 지역주민이 직접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여 주민조직만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시설의 편리성과 개발의 유연성을 유지하여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이 이용함 으로써 운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다양한 운영 주체 중 주민조직 직접 운영을 통한 주민들의 역량 강화 및 지역사회 발전과 공동체 의식을 공고히 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것이다.
        4,500원
        2.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analyze main factors of siz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that were created as part of development of a rural area, the present condition of factors deciding size of community facilities was analyzed, factors that influence size planning by the type of community facility were drawn with Delphi anays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ize planning factors of community facilities show that facilities have been generally planned as multi-purpose and multi-functional facilities. And on the basis of the purpose of facilities, their functions and organization, and their operation programs,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community-centered, agritourism-centered, and combined ones. Using Delphi analysis, major factors that could affect siz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were drawn on 26 community-centered, 28 agritourism-centered, and 30 combined. And the factors tended not to be applied well for siz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3.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구의 고령화는 세계적인 현상일 뿐만 아니라, 선진외국에 비해 고령화 속도가 빠른 우리나라의 특성이기도 하다. 특히 1960년대 도시 산업화에 따른 도시집중화 이래 도시 이주자의 대다수가 나이가 들고 은퇴를 한 후에도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 없이 도시에 지속적으로 거주하는 도심거주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시설에 거주하는 것보다는 현재 의 주택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다는 aging in place에 대한 선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도심 아파트에 도입 된 커뮤니티 공간의 물리적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아파트 거주 노인들의 변화하는 요구인 aging in place를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고령친화적 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서울 지역 내 노인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2개 지역을 대상으로, 2004년 이후 입주 아파트 단지를 선정하여 고령친화적 아파트 단지 커뮤니티 현황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고령친화성 정 도가 가장 좋은 항목은 신체적 측면 중에서 건강증진에 관한 것으로, 실내·외 구분 없이 비교적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건강관리 측면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설은 전무하였는데 향후 노인들의 도심 아파트 내 aging in place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자가건강관리실과 같은 시설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들의 심리적 측면 중 자연접촉 과 심신휴식의 니즈를 지원할 수 있는 커뮤니티 시설의 고령친화성 정도가 양호하였다. 하지만 시설이 대부분 외부에 위치 했는데 노인들은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하므로 겨울 등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자연을 접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실내휴 게공간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측면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설 설치는 전무했다. 특히 교양교육과 취미 여가를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전문성이 낮았다.
        4.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munity facilities in most rural villages have many problems in the aspect of their size or functions as well as they are generally too superannuated to support diverse community activities; which results in a low degree of inhabitants' satisfaction with community facilities, and inconvenience for using them. Therefore, it may carefully be said that it's time to need the established studies that are necessary with consider to community facilities which can reflect inhabitants' diverse activities. In this study, 5 places which the most common events among the major monthly events of total 25 rural villages were held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place for survey; and then investigated, by means of the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the using behavior of inhabitants who used community facilities. Focusing on size, factors, and layout that were being faced by community facilities in most rural villag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mber of users,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line and behavior, and the using behavior by group; through considering their correlation with the physical setting of community space, it deduced the problems of use; and it propos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n the basis thereof. Therefore, this study will serve in the future as useful basic materials for designing a rural village's community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size, factors and layout which can appropriately support inhabitants' community activities.
        5.
        200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aims to find processes for developing the design language for the visual notes and design meaning of street furnitur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sign language implies to get how to represent condensed symbols of the street furnitures. 2) The configuration of the street furnitures has their visual note and design meaning of community identity, represented their own detail design languages. 3) The detail design languages are useful to solve the matters of what design elements of the street furnitures can be composed of the visual notes and design meaning. 4) The detail design languages can be applied to the pattern of tools of Microsoft Office Word.
        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lmost community facilities in korean rural village have being showed signs of decrepitude, and have a lot of problems on scale and function, it hasn't made full use of almost community facilities. To resolve these problems, it is time to make different plan considered of elements, scale and function in community facilities. In this study, after being researched the present condition and interviewed local residents on target 25 administrative districts, it was sought diverse problems about community facilities and researched satisfaction measurement, activity of local residents. With Being based on this, we also drove from essential element about community facilities in korean rural village and sorted problems of community facilities as general disposition-structure-outdoor facilities-behavioral use. Therefore, it was applied to study area and ascertained the existence of problem. Thus, we found out the improving way for appropriate community facilities in korean rural village. It will be useful to make different plan for community facilities in korean rural vill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