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3.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팀 상호작용, 기본심리욕구, 공격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동시에 운동종목에 따른 요인 간 관계의 경로계수를 비교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대학 팀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남자 대학운동선수 26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팀 상호작용, 심리욕구, 공격성 검사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팀 상호작용과 기본심리욕구는 정적 관계 (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본심리욕구와 공격성은 부적인 관계(p<.05)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은 부적 관계(p<.05)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모델과 부분매개모델 간 차이가 유의하고(p<.05), 부분매개모델에서 팀 상호 작용과 공격성의 경로가 유의하여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는 부분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스하키는 팀 상호작용과 기본심리 욕구 간에 정적관계가 나타났고,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 간에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럭비는 기본심리욕구와 공격성 간에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대학 팀 운동선수들의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 및 기본심리욕구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X2의 변화량이 크지 않아 종목별 경로계수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종목에 따라 요인 간 관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4.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의 개발과 개발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스포츠 팀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중, 고등학교 단체종목 선수(축구, 농구, 배구)를 총 63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238명,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도 검증에 352명의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최종적으로 스포츠 팀 상호작용 척도는 다차원으로 구성된 총 5요인, 25문항으로 개발되었다. 타당성 검증 결과 5요인 25문항으로 구성된 스포츠 팀 상호작용 척도가 구조적으로 비교적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념타당도, 교차타당도, 수렴타당도 모두 제시된 기준치를 충족하는 결과를 보였다.
        5.
        201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eam cohesion and team work are the usual components for explanation of team performance in Korean sport psychological field which is somewhat limited. So for the purpose of systematic and effective explanation of performanc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concept of integral interaction among team members. Methods: Subjects of study were 255 middle and high schools elite players(soccer, basketball and volleyball). Results were extracted from often-ended questionnaires.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through a meeting of experts. Results: With regard to coach interaction, players of team sports represented assimilation, communication and role, and represented assimilation, communication and dependence in regard to colleague player interactio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has contributed to existing literature by providing basic resources to further develop the questionnaires in relation to team sports interaction. Furthermore,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may shed light on the scientific and objective knowledge in performance improvement of team s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