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3.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ERA5 재분석자료 중 우리나라 지상 온도 자료의 신뢰성을 검증할 목적으로 종관기상 관측소(ASOS) 관측자료와 비교를 수행하였다. 새롭게 생산되어 배포 중인 ERA5 재분석자료는 높은 시·공간적 해상도를 가져 여러 분야에 활용성이 매우 높다. 자료의 분석 기간은 ASOS 61개 관측소가 1999년 이후로 결측률이 매우 낮으며 시간평균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1999-2018년 기간으로 설정하였다. ERA5 격자 자료는 격자 내 90-m 수치표고모델(DEM) 분포로부터 내륙, 해안, 산악 지역에 해당하는 지형학적인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ASOS 지점 자료와 비교되었다. 분석 기간 전체에 대한 평균 지상 온도는 ASOS와 ERA5 모두 공간 분포의 패턴과 값은 큰 차이없이 유사하였다. ASOS와 ERA5의 산점도 비교를 통해 전체 기간, 특히 여름, 겨울 기간에 대해 계절 변동성을 가진다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달별 두 자료 사이의 매시간 차이 확률밀도함수(PDF)의 시계열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두 자료 사이의 차이를 통계지수인 NMB, RMSE를 계산하여 정량화시켰을 때, 각 값에서 지역적인 특성을 보였으나 모든 지수에서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었으며, 상관성을 보기 위해 R과 IOA를 통해 구한 값은 모두 0.99에 근접하였다. 특히 일평균 산출에 있어 1-시간-평균 값 24개를 이용한 일평균의 경우가 최고와 최저온도의 평균을 이용 하는 일평균에 비해 오차가 작게 나타났고, 두 자료 사이의 상관성도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두 자료의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으로 ERA5 격자 내 지형 효과가 가장 클 것으로 판단하여 수치표고모델을 활용하여 각 지역별 PDF를 이용해 첨도 및 왜도를 구하고, 이를 온도 차이 파워 스펙트럼의 1년 주기 변동 크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양의 상관성을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형 효과가 두 자료 차이의 원인이라고 설명하는 결과이다.
        4,900원
        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ording to the structure, solenoid valve can be categorized as spool valve or poppet valve. While various research on spool valve which has simple structure and fine susceptibility to contamination has been conducted, poppet valve which has less susceptibility to contamination and advantage in a long time operation still need much research because of its complicated structure. In order to design the poppet valve,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diameter of the poppet, the angle of the poppet, the diameter of the disk, the spring stiffness, the spring preload and flow path structure should be considered. Conventional studies on poppet valve usually take only one design parameters and did not much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parameters on flow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the change of the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poppet valve for 3/2Way solenoid valve is analyzed.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results of initial model analysis was referred for the selection of the design parameters. The effects of design parameters on maximum pressure, minimum pressure, and pressure drop was examined using analysis of means(ANOM).
        4,000원
        5.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재분석 자료(reanalysis data)를 이용하여 동아시아 계절별 평균 기상장을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주요 화산체 분화 시 화산재 확산에 따른 피해 위험 지역을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FALL3D 모형으로 임의의 과거 6개월 간 가상의 백두산 분 화에 따른 화산재 확산 결과를 모의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화산재 확산 패턴을 클러스터로 유형화하였다. 마찬가지로 FALL3D에 이용된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기상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상장 클러스터를 정의하였다. 화산재 클러스터와 기상장 클러스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화산 분화 당시의 기상장이 화산재 확산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000원
        6.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산지전용 타당성 평가기준인 평균경사도 산출을 위한 프로그램별·방법별 평균경사도 수치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평균경사도 산정방식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평균경사도 산출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ArcGIS 프로그램과 함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PowerKS와 AutoSlope를 서로 비교분석하여 방법별 경사도 수치의 차이 및 산정시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격자 크기에 따라 평균경사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산지전용 타당성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균경사도 산출방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평균경사도 수치분석 결과 거리기반 방식에 비해서 면적기반 방식은 다른 방법들과의 평균경사도 수치의 편차가 크며, 프로그램별 및 방법별 평균경사도 수치도 거리분석방법의 등고선 직각방향 방식이 최소 0.2도에서 0.9도의 가장 작은 편차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10m, 5m, 1m 격자크기에 따른 평균경사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격자가 작아질수록 경사도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평가기준의 산출 및 검증을 위한 명확한 제도적 장치 마련과 함께 평균경사도 산출시 거리방법에 대한 명시와 격자생성의 기준과 면적을 경사도 계산 시에 반영하도록 하는 방식을 제시하여 방법 간 평균경사도 수치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4,000원
        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속적인 젖소의 능력개량과 사양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우리나라 젖소의 우유생산 능 력이 점차 향상되는 추세에 있다. 2000년에 8,086kg이었던 검정 유량이 2010년 9,638kg 으로 증가되었고, 검정농가의 비율도 2000년에 25.8%에서 2010년 55.2%로 사업에 참여 하는 농가의 비율이 빠르게 증가되고 있다. 또한, 농가별 사육규모도 점차 증가되어 2000년에 호당 40.7두에서 2010년 67.7두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근래에 기후변화, 경영 의 복잡화, 우유 생산량과 호당 사육두수의 증가 등으로 농가에서 젖소의 번식관리에 상 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번식관리의 어려움으로 번식 성적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도태 산차가 단축됨으로써 농가의 경제적 손실을 크게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젖소의 평균 보유산차는 2.5산, 평균 도태산차는 2.9산으로 우유생산 능력이 최대로 발휘하기 전에 도 태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젖소의 도태 유형을 분석 및 비교하 고, 농가별 평균능력우의 보유 수준에 따른 경제수명 연장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 행하였다. 평균능력우의 보유 비율에 따라 80% 이상(80% 이상구)인 농가 15호와 80% 이하(80% 이하구)인 농가 14호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평균능력우의 비율이 80% 이상 인 농가는 896두, 이하구의 농가는 785두 총 1,681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평균 보유 산차는 80% 이상구의 경우 2.7산, 이하구의 경우 2.4산으로 평균 2.55산이었고, 평균 도 태산차는 80% 이상구의 경우 2.9±0.2산, 이하구의 경우 3.0±0.2산이었으며, 평균 도태율 은 80%이상구가 17.7%. 이하구가 17.0%였다. 주요 도태 유형을 보면, 번식장애가 34.5 % (101/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질병이 17.1%(50/293)로 나타났다. 번식장애의 경 우 80%이상구 및 이하구가 각각 33.3%(53/159) 및 35.8%(101/293)였고, 질병의 경우 각 각 20.8%(33/159) 및 12.7%(50/293)였으며, 유방관련 도태의 경우 각각 12.6%(20/159) 및 15.7%(21/134)였다. 주요 번식장애 유형별로 보면, 저수태의 경우 80%이상구 및 이하 구가 각각 41.5%(22/53) 및 72.8%(35/48)였고, 무발정의 경우 각각 39.6%(21/53) 및 16.7% (8/48)였다. 질병의 유형별로 보면, 소화장애가 30.0%(15/50)로 가장 높았고, 대사 장애가 26.0%(13/50)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유방관련 도태에 있어서는 유방염으로 인 한 경우가 85.4%(35/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립불능 유형으로 보면, 원인불명이 47.7 %(21/ 44), 운동기관 장애가 20.4%(9/44) 및 사고가 15.9%(7/44)였다. 주요 도태원인별 산차를 보면, 번식장애가 2.7산, 질병이 3.0산 및 유방관련 도태가 3.8산이었다.
        9.
        2008.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alysis of Means(ANOM) is a visualization tool for comparing several means to the grand mean like control chart type. This paper reviews five ANOM methods for continuous data such as ANOM, ANOME (ANOM for Treatment Effects), ANCON (Analysis of Contrasts), ANOMV (ANOM for Variance), ANOMC (ANOM for Correaltion). Three ANOM tools for discrete data such as ANOMNP (ANOM for Nonconforming Proportions), ANOMNC (ANOM for Nonconforming Unit), ANOMNPU (ANOM for Nonconfirmities Per Unit) are also developed.
        4,200원
        1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통사고 분석구간 선정은 유사한 사고유형을 하나의 동일집단으로 처리함으로써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고, 효과적인 개선 사업을 위해 그 순위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작업이다. 기존에는 도로이정에 기초하여 균등하게 분할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는데 사고간의 유사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도로이정보다는 사고간의 유사성을 고려하여 구간을 선정하는 방식인 Slider length 적용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lider length 적용기법의 한 방법론으로써, 군집분석에 사용되는 비계층적 분류기법인 K-평균법을 사용하여 가장 인근거리에 발생된 사고들이 최대한 하나의 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의 검증을 위해 경부고속도로 부산방향으로 총연장 25.6km구간에 대하여 균일간격에 의한 분할방식과 K-평균법을 이용한 분할방식에 대해 상호 비교를 통해 그 효율성을 검토하였으며, K-평균법이 사고의 유사성이나 인접성을 감안하여 효율적으로 분석구간 선정에 적용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4,000원
        11.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ower spectral analysis is made seasonally for the data of daily mean temperature and pressure at Seoul(37°34'N, 126°58'E), Chupungnyong(36°13'N, 128°00'E), Kwangju(35°08'N, 126°55'E) from March 1961 to February 1986. The time sequences of the power spectra for the daily mean pressure show that power spectral density is generally high at the period of 20-30days and 10 days in winter, 15-20 days and 8.6 days in spring, summer and autumn. For the daily mean temperature, the power spectral density i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pressure and changes largely following the seasons, high in winter and low in summer. The time sequences of the' power spectra are much the same pattern as that of pressure in spring and autumn, but in winter show high power spectral density at the period of 5.5-7.5 days, much the same period as '3 cold days and 4 warm days' which is the popular weather lore on the winter temperature fluctuations in Korea. Judging from the phase differences between observation stations of temperature and pressure changes, which is less than 20 degrees, the phase changes of temperature occurs in sequence of Seoul, Chupungnyong, Kwangju and in case of pressure much the same as in the temperature at the period of above 15 days, but below the period of about 15 days in the opposite sequenc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interannual changes of seasonal mean of weather elements and the power spectral density at each period are investigated to show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 is between the power spectral density at the period of above 20 days and temperature in summer, that at below 4.5 days and precipitation in spring, that at below 6.7 days and temperature in winter.
        4,000원
        12.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xact average specific cake resistance in cake filtration. Using the new experimental method “filtration-permeation,” the average specific resistances were measured for various conditions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with changing pre-sedimentation time and the filtration of sedimen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dimentation on the average specific resistance. There was a wid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of αav with various sedimentation times. Regarding the variation in the pre-sedimentation time, there was maximum 2.9x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average specific resistances for the filtration of calcium carbonate suspension. The “filtration-permeation” of bentonite floc and that of biological flow were also performed to establish a method for obtaining the average specific resistance of flocs.
        13.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intra-seasonal fluctuation (ISF) of wintertime temperature change in East Asia was classified by a cluster analysis of complete linkage. A ISF of temperature change was defined as a difference of synthesized harmonics (1 to 36 harmonic) of daily temperature averaged for 30 years (1951~1980, 1981~2010). Eight clusters were gained from the ISF curves of 96 stations in East Asia. Regions of the cluster C, G and A1 seem to be affected by the Siberian High (SH) center, whereas the cluster A1, A2, D, B and F by the SH main pathways. Regions of the cluster E are apart from the SH main pathways and appear to be in the area of influence of other factors. Wintertime temperatures in Northwest China (clusters C, G) and Northeast China (cluster A1) were increased very largely. In most clusters, around late January there were less warming periods than the winter mean of the mean ISF of the clusters, before and after this time there were more warming periods than the winter mean.
        1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직접유출량을 산정할 경우, 유역의 유효우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NRCS-CN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유출곡선지수(CN)을 이용하여 유역의 유효우량을 산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유역의 평균 CN값을 산정하고 유효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가중평균 CN 방법이라 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유효우량을 과다 또는 과소 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NRCS-CN 방법을 통하여 우리나라 유역 특성에 적절한 유효우량 산정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유역의 경사효과를 고려한 CN값을 적용하여 유효우량을 산정하였으며, 유역의 유효우량을 산정하기 위한 2가지의 가중평균방법(가중평균 CN 방법, 가중평균 유효우량 방법)을 적용하였다. 강우-유출의 관측사상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관측 직접유출량을 추정하고, 통계학적 오차분석 및 Skill Score 분석을 통하여 여러 가지 수문조건 및 지형특성에 대한 유출곡선지수 및 유효우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경사도를 고려하여 CN값을 보정할 경우 유효우량이 전반적으로 크게 산정되었으며, 가중평균 유효우량 방법은 가중평균 CN 방법보다 유역의 유효우량을 전반적으로 크게 산정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계학적 오차 분석을 수행한 결과, 전체적으로 수문조건 및 지형특성을 고려하였을 경우 경사도로 보정한 CN값을 적용한 가중평균 유효우량 산정방법이 관측 직접유출량과 높은 정확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kill Score 분석에 의하면, 유역경사로 보정한 CN값을 이용한 가중평균 유효우량 방법이 기존의 방법(가중평균 CN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측값에 가까운 값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는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를 초래하여 수자원의 시공간적 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변화는 홍수 및 가뭄 등 수재해 발생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러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방법은 장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경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다만, 관측된 수문자료의 경우 국가 혹은 해당 관측소 지점마다 관측기간, 관측방법 등이 상이하여 자료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힘들며 신뢰성이 낮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 지역의 과거 관측자료 및 수문모형을 통해 생산된 수문자료를 이용하여 과거 기후 및 수문자료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관측자료는 APHRODITE 기온과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문모형은 VIC 모형을 이용하였다. 평가를 위해 대상지역을 쾨펜의 기후대로 구분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경향성 분석은 선형회귀식을 이용한 방법과 Mann-Kendall test를 이용하였다. 평가 결과, 아시아 전역의 연유출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후대 분석 결과 Af, Am, Bs, Bs, Cs, Cw, Dw, Df에서 감소 경향, Cf, ET 증가 경향, Aw, Ds는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연평균 유출량이 가장 높은 Af, Am 기후대의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Aw지역은 감소율이 적었다. 특징적인 것은 1∼2년에 한번씩 강수량이 많고 적은 해가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건조지역인 B기후대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그 중 Bs 지역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기후대에서도 여름철이 건조한 Cs지역과 겨울철이 건조한 Cw지역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건조한 기간이 없는 Cf 지역은 증가하였다. D 기후대(Ds, Dw, Df)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며, 그중 Ds 지역은 경년 변화가 점점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평균 유출량의 감소는 향후 아시아 지역의 가뭄 및 물부족에 더욱 취약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16.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면적평균강우량의 산정은 가용 수자원의 정확한 양을 파악하고 강우-유출해석에 필수적인 입력자료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면적평균강우량의 정확한 산정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은 강우관측망의 균일한 공간적 분포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향상된 유역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관측망의 공간분포 평가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5대강 유역에 적용하였다.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최근린 지수(nearest neighbor index)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유역별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분포가 면적평균강우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5년~2014년의 강우사상에 대해 산술평균법, 티센가중법, 추정이론을 이용하여 면적평균강우량을 산정하고 각 경우에 대해 추정오차를 평가하였다. 적용 유역에 대해 수문학적 유출특성을 고려하여 분할된 중유역을 바탕으로 강우관측소의 공간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국토교통부의 강우관측망은 최근린 지수가 1이상으로 공간적 분포가 상당히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토교통부의 강우관측소 설치 목적인, 즉, 강우-유출 해석의 입력자료인 면적평균강우량을 정도 있게 추정하기 위한 목적에 상당히 배치된다. 아울러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오차를 공간분포가 우수한 중유역과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중유역에 대해 산정한 결과 공간분포가 떨어지는 중유역에서 상대적으로 면적평균강우량의 오차가 더욱 크게 산정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공간적 변동성이 큼으로 인해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에 큰 오차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면적평균강우량 산정 방법별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공간분포가 우수한 유역에서는 가중치의 편차가 작아 공간적 변동성이 작음을 재확인하였다. 향후 관할 기관별 목적에 의해 강우관측망을 평가한다면 보다 설득력이 있는 관측망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17.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found that, in 1984, there was a climate regime shift in April mean precipitation in Gwangju of Jeollanam-do province, Korea using a statistical change-point analysis. During the period of post-1984(1985-2013), the April mean precipitation in the years post-1984 showed a distinct decrease, compared to the pre-1984 period(1954-1984). This regime shift was also observed in China and Japan, excluding southern China. One of the major causes for the decreasing April mean precipitation during the recent three decades was the increased snow depth in the mid-latitude regions of continental East Asia. The increased snow depth resulted in strengthened cold and dry anticyclone anomaly over continental East Asia and a relatively weakened subtropical anticyclone anomal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The anomalous synoptic conditious supported a continuation of the typical winter pressure pattern of ‘high-West and low-East’ over East Asia in April. The intensified northerly winds from this zonal pressure pattern anomal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stricting the northern movement of the subtropical anticyclone and there by preventing the inflow of warm and humid air into Korea.
        18.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강릉 지역에서 동일 기간에 기록된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의 교차 상관 지수 pDCCA를 DCCA cross-correlation coefficient(DCCA p)방법으로 구하여 교차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를통해 다음의 사실을 알았다. 첫 번째,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사이 pDCCA는 일(4~7일), 달(30일), 계절(90일), 년(360일)에서 0.57~0.48, 0.39, 0.34, 0.26, 공간 감마선량률과 일조시간 사이 pDCCA는 일, 달, 계절, 년에서 –0.20~-0.23,-0.22, -0.17, -0.13, 공간 감마선량률과 평균풍속 사이의 pDCCA는 일, 달, 계절, 년에서 –0.10~-0.12, -0.11, -0.05, -0.05이다. 두 번째, pDCCA를 통하여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은 교차 상관성이 있으며 공간 감마선량률과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에는 교차 상관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9.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가 지각하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검사지(Coach Athlete Relationship Questionnaire; CARQ)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와 개방형 자료를 토대로 구성개념을 정립하고 예비문항을 제작한 후 250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양호한 요인적재치와 안정적인 신뢰도 수준을 보였다. 교차타당화를 위해 250명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전반적 적합도 지수가 높게 나타나 구조적 타당도가 확보되었다(CFI=.938, TLI=.931, RMSEA=.067). 512명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다집단 분석을 통한 동일성 검증 결과 CARQ는 다양한 계층의 단체종목 선수들에게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검사지임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잠재평균 분석을 통해 상호작용 요인에 대한 성과 수준별 잠재평균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서는 노하우 요인에서 남녀 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고, 수준별로는 대화요인과 노하우 요인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간에 차이를 보였고, 기술지도 요인에서는 고등학생과 대학생 선수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는 CARQ가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는데 안정적이며, 다양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