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Soyoung. 2018. “An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English-Learning Motivation Change through Portfolio Assessment”.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6(1). 251~275. This study aims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English-learning motivation through making a learning portfolio. I conducted an experiment to know whether motivation could be changed by different assessment systems, a result-oriented assessment and a process-oriented assessment.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glish-learning motivation between the two groups subject to a result-oriented assessment and a process-oriented assessment by independent T-test. Second, the variable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significantly changed when students created a learning portfolio by paired T-test. Students showed their preferences for studying English through an authentic learning portfolio method. Therefore, even though the new assessment system such as a portfolio assessment brings us innovation, the assessment system had a partial impact on students' English-learning motivation.
        6,300원
        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spect how the portfolio assess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ffects the learning attitude and the improvement of motor skills. The experimental group of 40 students utilized the portfolio assessment and the control group of 40 students were tested with a traditional assessment. A test paper on learning attitude and a measure on assessment of motor skills was estimated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fter a vaulting horse-rolling instructions were practiced 11 sessions for 4 week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ested with portfolio assessment. The control group were tested with traditional assessment. Each group took a posttest about learning attitude and motor skill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posttest were analyzed with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listed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attitude of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portfolio assessment wa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Second, the motor skills of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portfolio assessment were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4,200원
        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a web-based model for English teacher evaluation, which purports to encourage a teacher to get actively involved in his or her own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critical reflection upon teaching. The evaluation model using portfolio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eacher should play a key role in the evaluation process in order to bring about change in teaching. Another theoretical premise of the model is that data on teaching should be gathered from multiple sources such as observation, student performance and self-appraisal. The web-based model encourages stakeholders, e.g., administrators, headteachers, parents, to take part in the evaluation process. The model reflects the findings of a questionnaire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er evaluation and their needs. It is suggested that a number of factors related to administration, technology and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model. Some suggestions are also made concerning evaluator training, time constraints, institutional support, and further research.
        6,300원
        4.
        200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포트폴리오 평가를 일선 초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지역과 성별에 따라 포트폴리오 평가가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과학 탐구 능력,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중부 지방의대도시와 중소도시 지역에서 각각 2개 초등학교를, 농촌 지역에서 3개 초등학교를 표집하였다. 표집한 각 학교에서 다시 5학년 2개 학급씩을 표집하였으며, 한 학급은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기존의 수업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 비교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한 학년에 한 학급 밖에 없는 농촌 학교는 비슷한 두 학교를 선정하여 한 학교는 실험집단, 다른 학교는 비교집단으로 삼았다. 이 연구에 참여한 총 학생수는 475명이다.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로 과학 성취도 검사, 과학 탐구 능력 검사, 과학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반 학교의 과학 수업에 대한 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 가능성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과학 탐구 능력, 과학 태도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탐구 능력과 태도에서 지역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과학 탐구 능력에서는 지역과 성별, 과학 태도에서는 집단과 지역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또한 과학 태도의 하위 영역 중에서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과학 직업에 대한 인식, 과학 활동에 대한 흥미, 비판성 등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포트폴리오 평가는 일반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 교수 학습 방법과 비교하여 과학 성취도 및 과학 탐구 능력에서 비슷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과학 태도의 하위 영역 중에서 과학 학습과 관련된 부분에서 의미있는 진전을 보이는 점으로 미루어 포트폴리오 평가를 장기적으로 실시하면 과학 성취도나 과학 탐구 능력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8.
        2014.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경험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충청남도 소재한 사립, K대학 부설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6명이다. 연구 기간은 2011년 3월 17일부터 2012년 2월 17일까지 12개월 교사면접과 관찰,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수집, 연간․주간․일일교육계획안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6단계로 수집된 자료 전사, 메모작업, 자료의 분류, 범주화, 자료의 해석, 분석 결과의 확인 단계로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는 첫째. K유치원의 교사들은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사의 망망함이나 두려운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시작으로 교사들은 포트폴리오에 대한 정확한 개념 없이 평가를 수행하게 되고,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여러 가지난제를 겪게 된다. 둘째. 어렵고 힘든 부분도 많이 있지만, 교사들은 포트폴리오 평가를 진행하면서 신임교사와 경력교사 모두 평가의 가치를 깨달았다. 셋째. 포트폴리오 평가는 교사들에게 어려움만을 주는 것은 아니다.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교사들은 수업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질적인 상호작용을 제공, 유아를 관찰하는 능력 발달,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제공, 유아를 이해하는 능력 향상을 가져다주었다.
        9.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아평가란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따라 교육 활동을 전개하면서 교육활동 전, 교육활동 과정 중, 그리고 교육활동 후에 나타나는 유아들의 발달 상황에 대한 이해를 말한다. 유아평가는 유아의 건강, 기본생활습관, 정서적 안정감, 사회적 적응, 창의적 표현, 의사소통능력 및 탐구심 등에 중점을 두고 유아 개개인의 발달에서 진보된 부분과 지연된 부분의 발견에 초점을 두도록 해야 한다. 또한 평가는 유아의 개인적 발달 수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학급에 속한 모든 유아의 발달 수준의 범위를 발견하기 위해서 그리고 학습의 효과 및 발달적 변화를 비교하고 다음 단계의 학습에 대한 준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교육부, 1995). 결국 유아평가의 목적은 각 개별 유아를 더 잘 이해하는데 있으며,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에게 긍정적 도움을 주어 유아의 발달을 돕는데 있다 하겠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유아평가는 주로 검사의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평가방식도 주로 표준화된 도구를 이용한 측정방식을 따랐다. 이러한 경향에 대해 많은 유아교육자들이 비판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 검사에서 제시하는 검사문항은 대부분 아동에게 기계적 암기만을 강조한다는 점, 검사가 유아의 능력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검사문항이 유아의 실제생활과 관련이 없다는 점 등을 지적하고 있으며, 아동의 상위사고기술(higher-order thinking skill)을 측정하지 못한다는 점도 약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더구나 표준화 검사는 학습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이 영향은 계속 누적된다. Paris, Lawton, Turner & Roth(1991)연구에 의하면 학습자가 검사를 받으려는 동기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 결과는 학습자가 검사 경험이 증가될수록 검사를 싫어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학습자는 표준화 성취검사에 대해서 불쾌하게 생각하거나 불안해하며 검사결과 자체를 인정하려 하지도 않는다. 더구나 낮은 점수를 받은 학습자는 다음 검사나 시험에 성공하려는 노력을 포기하는 방법으로 검사에 대한 불안을 줄이고 자아 존중감을 지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표준화 검사와 같은 검사에 대한 의존은 검사의 내용에 따라 교육과정의 내용이 결정되는 폐해를 가져왔다. 이러한 검사주도의 교육과정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고 학습의 기회를 제한한다(Shepard, 1991). NAEYC(1988)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유아들은 검사지 문항에 대해 한 가지 옳은 답만을 찾도록 배웠고, 생각하도록 격려되지는 못했다"라고 개탄했다. 이러한 전통적인 검사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좀 더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 이해를 교수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유아평가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성과의 하나가 포트폴리오 평가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이를 참 평가(authenticassesment), 대안평가(auternativessessment),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등으로 부른다. 포트폴리오나 수행 평가방법은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결과물이다. 포트폴리오 평가란 유아가 하고 있는 작업 활동과 그 활동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관찰하고, 기록하고, 진술하는 과정이며 이것은 유아에게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교육적 결정을 하게 될 때 기초가 될 수 있다(NAEYC & NAECS/SDE, 1991, p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