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rment skin leather 표면 코팅에 사용된 폴리우레탄 수지는 polyethylene glycole(PEG)의 함유를 [NCO]/[OH] mole % 비로 달리하면서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폴리우레탄 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SEM, FT-IR, UTM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비이온성을 띄고 있는 PEG(poly ethylene glycol)의 [NCO]/[OH] mole % 비가 증가함에 따라 내굴곡성(건식, 습식)의 변화는 없었으며, 내마모도, 인장강 도수치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반대로 연신율 물성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점도 변화 측정 결과에 는 PEG의 [NCO]/[OH] mole % 증가에 따라 점도가 묽어짐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g nanoparticles are extensively studied and utilized due to their excellent catalysis, antibiosis and optical properties. They can be easily synthesized by chemical reduction methods and it is possible to prepare particles of uniform size and high purity. These methods are divided into vapor methods and liquid phase reduction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Ag particles are prepared and analyzed through two chemical reduction methods using solvents containing a silver nitrate precursor. When Ag ions are reduced using a reductant in the aqueous solu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g particle size by controlling the formic acid ratio. In addition, in the Polyol process, Ag nanoparticles prepared at various temperatures and reaction time conditions have multiple twinned and anisotropic structures, and the particle size variation can be confirmed using field emission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by analyzing the UV-vis spectrum.
        4,000원
        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PG와 PTMG의 몰비를 달리하면서 첨가하여 합성된 폴리우레탄 수지의 물리적 특성을 SEM, FT-IR, UTM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4개의 메틸렌기를 포함한 PTMG의 몰비 가 증가함에 따라 내마모도(60.26 mg.loss), 인장강도(5.24 kgf/㎟)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반대로 연 신율(297 %)은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톨루엔을 이용한 내용제성 물성측정 결과로부터 PTMG 의 반응 몰비 증가에 따른 물성 증감 효과는 없었다. 또한 PTMG의 몰비가 증가함에 따라 점도(4.8 cp) 가 상승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000원
        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cobalt nanopowder is fabricated by sonochemical polyol synthesis and magnetic separation method. First, sonochemical polyol synthesis is carried out at 220oC for up to 120 minutes in diethylene glycol (C4H10O3). As a result, when sonochemical polyol synthesis is performed for 50 minutes, most of the cobalt precursor (Co(OH)2) is reduced to spherical cobalt nanopowder of approximately 100 nm. In particular, aggregation and growth of cobalt particles are effectively suppressed as compared to common polyol synthesis. Furthermore, in order to obtain finer cobalt nanopowder, magnetic separation method using magnetic property of cobalt is introduced at an early reduction stage of sonochemical polyol synthesis when cobalt and cobalt precursor coexist. Finally, spherical cobalt nano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22 nm is successfully separated.
        4,000원
        5.
        2014.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ynthesize Sn nanoparticles (NPs) less than 30 nm in diameter, a modified polyol process was conducted at room temperature using a reducing agent,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pH values of the initial solutions on the morphology and size of the synthesized Sn NPs were analyzed. tin(II) 2-ethylhexanoate, diethylene glycol, sodium borohydride, polyvinyl pyrrolidone (PVP), and sodium hydroxide were used as a precursor, reaction medium, reducing agent, capping agent, and pH adjusting agent, respectively. It was foun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at the morphology of the synthesized Sn NPs varied according to the pH of the initial solution. Moreover, while the size decreased to 11.32 nm with an increase up to 11.66 of the pH value, the size increased rapidly to 39.25 nm with an increase to 12.69. The pH increase up to 11.66 dominantly promoted generation of electrons and increased the amount of initial nucleation in the solution, finally inducing the reduced-size of the Sn particles. However, the additional increase of pH dominantly induced a decrease of PVP by neutralization, which resulted in acceleration of the agglomeration by collisions between particles.
        4,000원
        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속이 도핑 된 산화아연 나노클러스터를 합성하기 위해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폴리올 공 정은 빠르고 경제적인 합성 방법이다. 디에틸렌글리콜은 높은 분극률과 마이크로파의 흡수 능력이 뛰어 나며, 높은 온도상승 비율과 반응시간을 짧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이 도핑 된 산화아연 나노클러 스터를 합성하기 위해서 첨가되는 seed의 부피비를 다르게 하여 얻었으며, 전구체로는 아세트산 아연 2 수화물, 도핑 금속은 아세트산 금속 염을 그리고 용매로서 디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였다. 금속이 도핑 된 산화아연 클러스터는 FE-SEM, XRD, Raman, PSA로 특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7.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에서는 투명비누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폴리올의 최적 농도를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짧은 사슬을 보유한 디프로필렌글리콜과 1,3 부틸렌글리콜은 비누의 투명도를 증가시켰으나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글리세린과 디글리세린은 비누를 불투명하게 하였다.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비누의 경도는 증가하였다. 경도, 투명도, 물의 흡수성 및 마찰 용해도는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설탕과 트리에탄올아민의 농도를 조절하여 최적화할 수 있었다.
        4,000원
        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developed functional synthetic lubrican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oil, which would improve engine oil performan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extend engine life. We made base oil by synthesizing nonanoic acid, 1.1.1-trimethylol propane (which has good bio-degradability) and pentaerythrytol ester. We synthesized catalyst using p-toluene sulfonic acid 0.15 wt% and coloring-prevention agent hypo-phosphorus acid 0.18 wt% at 180-190℃. Reac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at the rate of 10℃ for every 1 hour. When acid value reached below 3, reaction was completed. After cooling and deoxidization, we washed it by distilled water two times. After dehydration and filtering, we obtained trimethylol propane tripelargonate (TMTP) and pentaerythrytol tetrapelargonate (PETP) at yields of 96 % and 98 % respectively.
        4,000원
        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lyols and NaCl on the rheological behaviours of surfactant mixtures. Sodium lauryl ether sulfate (SLES), cocamidopropyl betaine (CAPB), disodium cocoamphodiacetate (DSCA), cocamide DEA (CDEA) and lauroyl/myristoyl DEA (LMDE) were used as surfactants. The polyols added into the surfactant mixture were 1,3-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glycerin, sorbitol, dipropylene glycol, PEG 1500 and PEG 400. The addition of amphoteric surfactant to SLES aqueous solution lead to increase the height of foam and the viscosity of the system. The addition of nonionic surfactant, LMDE or CDEA to the SLES aqueous solution increased the viscosity and the effect of LMDE was better than that of CDEA. The effect of adding polyols and NaCl into the surfactant mixture aqueous solution lea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iscosity of the system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NaCl and the kinds of polyols.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salting in or salting out of surfactant of the systems.
        4,000원
        1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DMT(Dimethylterephthalate), NDC(Dimethyl-2, 6-Naphthalene Dicarboxylate) were used to synthesize polyester polyol which shows enhanced storage stability, improved flame retardancy, and good compressive strength. If DMT and NDC react respectively with DEG(Diethylene Glycol) which is kind of linear diol, the obtained polyester polyols tend to crystallize easily after the reaction. In case of DMT, PA(Phthalic Anhydride) which has asymmetric structure was introduced to retard the crystallization. In case of NDC, DPG(Dipropylene Glycol) which has an methyl side chain was introduced to prevent the crystallization. It was found that to introduce DPG was much more effective method to prevent the crystallization than PA. NDC and DMT were reacted together with DPG for various compositions of NDC:DMT(8:2, 6:4, 4:6 mol ratio). The obtained NDC-DMT-DPG based polyester polyol showed improved flame retardancy, and good compressive strength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NDC.
        4,200원
        1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ventional additives were added to a newly synthesized base oil to create synthetic lubricants. Commercial polyol ester prepared in this laboratory were obtained as esterification of 1,1,1-trimethylol propane and respectively. This newly synthesized base oil had a variable chemical structure that could achieved the following properties; oxidation or thermal stability, low temperature fluidity, and higher flash points. When compared with commercial mineral lubricants, the synthetic lubricants show superior thermal and oxidation stability, and anti-wear properties.
        4,200원
        12.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inevitable to use chemical germicidal agents like paraben, imidazolidinyl urea and phenoxyethanol to preserve the emulsions which is usually used in cosmetics. Although these chemical preservatives are good enough to reduce th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they are irritative, allergenic to the skin. Several kinds of polyols are used in cosmetics as moisturizer and solvent.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effects of polyols on anti-microbial activities, safety and resistant index. MIC(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polyols determined against 6 germs including Staphylococcus aureus. The order of MIC was PG ≅ DPG ≅ 1,3BG 〉 HG 〉 1,2-PD 〉 1,2-HD ≅ 1,2-OD. The 2~3 wt% of 1,2-HD(hexanediol) shows good anti-microbial effects in emulsions without allergenic response. Resistant index of 1,2-HD was less than 2 and this value was smaller than that of chemical preservatives. The mechanism of antimicrobilogical effect might be disturb the membrane of germs by investigating using electron microscope. Added to that, using this paradigm, low preservative contents, paraben-free system, and even preservative-free systems can be expected from these results.
        4,000원
        1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nodispersed flaky silver powder was obtained by controlling the ratios of and Agin in a mixed solution of ethylene glycol and ammonia with an addition of PVP. The effects of on its morphology and size were investigated. In molar ratio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reaction factor for the nucleation and crystal growth of Ag powder. The synthesis of flaky powder was optimized at over 6 of molar ratio increased, the size of precipitates was increased regardless of the amount of Pt. In the absence of , the morphology and size of reduced Ag powder were found to be irregular in shape in diameter. However, homogenized fine Ag powder was obtained due to heterogeneous nucleation when used as a cat-alyst, and flaky one was synthesized with the addition of Pt over of Pt/Ag.
        4,000원
        15.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도데카노닐-N-메틸 아미도 폴리올 카르복시알킬 에테르(DGC)/N-도데카노실-N-알킬글루카민(DG)/물 혼합계에서의 상도를 편광현미경, 시차주사열량계(DSC) 및 레올로지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편광현미경으로 계면활성제 농도와 온도의 함수로써 얻어지는 액정상의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고, DSC측정에 의해서는 비등방성 액정과 등방성 액체 사이의 상전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헥사고날과 라멜라 액정상 사이에서 레올로지에 의해 측정된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점탄성은 편광현미경과 시차주사열량계에서 얻은 결과와 일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DGC/DG(5:5 몰비)/물계의 상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25~65wt% 사이에서는 큐빅 액정상, 70wt% 이상에서는 라멜라 액정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6.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의 최외곽층인 각질층에 대한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은 피부장벽기능과 생물리학적 특성에 대한 피부 건강함, 유연함, 부드러움 등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평가자와 피험자와의 개인적인 차이와 측정환경의 변화에 따라 재현성과 반복성에 있어서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 각질층에 여러 종류의 제품을 사용 전후에 객관적으로 수분량을 측정하는 데에 있다. 40명의 건강한 자발적 피험자의 하박 내측을 피부의 전기용량 특성을 이용하여 수화정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량은 시험제품 도포 후, 3 h, 6 h 뒤에 측정하였다. 무도포 부위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수분증가율을 이용하였고, 5반복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수분량 측정에 가장 효과를 보이는 대표적 폴리올 종류인 글리세롤과 부틸렌 글라이콜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폴리올 종류는 피부 수분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에게 0 ~ 20%의 글리세롤을 표준제품으로 사용하여 보정하였다. 피부 수분량은 낮은 농도의 글리세롤 범위에서 직선의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글리세롤의 농도에 따라 피부 수분량에 대한 피험자 각각의 표준화된 곡선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피부 수분량에 대응하는 글리세롤 농도값은 통계학적으로 재현성과 반복성을 보였다. 게다가 이렇게 얻어진 표준화 곡선은 피험자 개인의 피부특성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화장품과 같은 피부외용제품에 대한 미세한 피부 상태의 변화와 외부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같은 결과를 보였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계면활성제와 지질, 수용성 물질에 대한 제품 원료에 대한 피부 측정에 필요한 비침습적 방법과 병행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7.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립 메이크업 제품은 음식물과 함께 체내로 유입되므로 안전성에 대한 필요성이 다른 화장품보다 크다.또한 합성 안료인 타르계 색소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천연색소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되고 있으며, 많은 종류의 천연 색소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립메이크업 제품에 합성색소 대신 천연색소를 이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 천연 색소는 안토시아닌 계통의 친수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지만, 기존의 입술 화장료는 오일과 왁스로 이루어진 무수상태의 유분산 제형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립메이크업 제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인 무수제형이기 때문에 수용성인 천연색소를 사용할 경우에 색상발현도가 낮고 불안정하여 제형에서 색소가 분리되기 쉽다. 또한 천연색소는 pH, 열 및 일광 등에 의해 쉽게 변하는 단점이 있는데, 무수제형에서는 이에 대한 조절이 쉽지 않아 안정도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색소를 사용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 색상 표현력이 우수한 립메이크업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천연색소를 유중폴리올 에멀젼에 포집하여 색소의 안정도를 확보하였으며, 수분증발 시 생기는 건조함이 없는 우수한 보습력을 갖는 립메이크업 제품을 제조하였다.
        18.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s (WPUD) were prepared by poly(ethylene glycol) adipate as the polyester type, α,ω-hydroxyalkyl 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PDMS-diol) as the polysiloxane type,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isophorone diisocyanate, dimethylol propionic acid. The effects of PDMS-diol contents on the particle size, thermal and surface properties of WPUD were investigated. The structures of the synthesized WPUD were confirmed using by FT-IR. The surfac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contact angles, DSC, TGA and UTM. As PDMS-diol contents increased, the particle size, the contact angle, and the elongation was increased, while the tensile strength was decreased. Also the thermal stabilities of the synthesised WPUD were increased as PDMS-diol contents increased.
        1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화장품에는 제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paraben, 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페녹시에탄올, 클로로페네신 등의 화학 방부제가 배합되어 있다. 화학 방부제는 제형의 안정성 및 방부 유효성이 우수하지만, 독성, 피부자극, 알러지를 유발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배합량을 줄이거나 배제하고도 제품의 안정성 및 유효성이 높은 보존 기술이 요구된다. 종래부터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BG), 프로필렌글리콜(PG), 디프로필렌글리콜(DPG) 등의 폴리올류들은 보습성분 및 용매로 범용되고 있으며, 고농도로 사용할 경우 항균력이 있지만, 사용성을 떨어뜨리고,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등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폴리올류의 조성별 항균, 방부력 영향을 평가하고, 스킨케어 유화제형에서 방부제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올 조성을 도출하여 방부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사용성 및 안정성도 개선하는 것이다.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류의 항균 증가력을 측정한 결과 글리세린의 항균 증가력은 미미한 반면 BG, PG의 영향력은 유의(p < 0.05) 하였다. S. aureus를 대상으로 화학 방부제의 항균력 증가를 측정하고 상관성을 회귀분석한 결과 폴리올 1 %를 증량할 때 PG는 2.1 8.4 %, BG는 1.8 8.4 % 방부제의 항균력을 증가시킬 것으로 추정되었다. 로션, 크림 등 유화제품에서 폴리올에 의한 방부력 증가율을 측정한 결과 글리세린의 경우 5 %까지 함량을 증가시켜도 방부력이 증진되지 않았으며, BG 및 PG는 5.5 9.9 % 증가할 때 40 % 이상까지 방부력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폴리올의 항균, 방부 영향력 측정으로 유화 제품에서 폴리올 배합을 조정하여 방부제 사용량을 40 %까지 감소시키고 사용성과 안전성 그리고 제품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paraben-free, 저방부, 무방부 시스템 도입시 베이스 처방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