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3.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polis possesses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aesthetic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eight propolis ethanolic extracts form different region in Korea.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ight Korean propolis was investicated by absorption spectrophotomety and UHPLC. Total penoli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 ranged between 21±1.5 and 31±1.8 gallic acid g/100 g and 7.2±0.9 and 24.4±1.9 quercetin g/100 g, respectively. The p-coumaric acid as standard components content ranged between 0.29±0.00 and 2.34±0.02 mg/g using UHPLC. Cinnamic acid content between 0.43±0.00 and 1.33±0.01 mg/g. 80% ethanolic extract of propolis against H. pylori was evaluated by using the disc diffusion method. Ethanol was used as a control. Mean diameters of H. pylori growth inhibition using 10 μg/mL, 50 μg/mL or 100 μg/mL ethanol propolis per disc were 0, ranging from 0.9 to 2.1 mm and from 1.9 to 3.5 mm, respectively. In conclusion,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propolis were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referred regional plants visited by honeybees. Also Korean propolis possesses considerabl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 pylori. There was not confirmed a correlation between the chemical composion contens and anti-H. pylori effect. The potential of propolis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 pylori infection is worth further extensive evaluation.
        4,000원
        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논산딸기시험장에서 시설하우스 내에서 시험 중인 시설딸기에 대하여 프로폴 리스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경도, 당도, 산도 및 잿빛곰팡이의 이병과율을 비교하였 다. 경도는 Propolis처리 1일 후 1,000배 처리시 무처리대비 증가하였으나 7일후에 는 유의성이 없었고, 고온기 처리시 250배와 500배처리에서 무처리 대비 7일정도 경도 증가하였다. 당도는 Propolis처리 1일 후 무처리대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 나 7일 후에는 증가하였고, 고온기 처리시 무처리와 큰 차이는 없었다. 산도는 Propolis처리 1일후에는 무처리와 유의성이 없었으나 500배처리는 7일후 감소하 는 경향을 보였다. 과실의 착색은 Propolis처리시 무처리 대비 L은 같았으나 a(적 색)와 b(황색)는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다.
        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프로폴리스는 기원전 300년부터 약용목적으로 활용되어 온 물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에서 프로폴리스 연구개발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분 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NCBI를 활용하여 2008년부터 2010년 사이 해외에서 양봉과 관련하여 발표된 논문은 총 1,282건으로 이중 프로폴리스 관련 논문은 20.9%인 268건이었다. 이중 대부분인 240건이 효능과 관련한 것이며 효능 중에는 항암과 관련한 내용이 가장 많은 41건이었다. 특허는1991년부터 2010년 사이에 750여건이 출원되었으며 중국이 384건으로 특허 출원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한국, 미국, 일본, 유럽 등의 순으로 출원되었다. 특 히, 중국은 2000년대 이후부터 특허 출원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최근까지도 이어 지고 있다. 기술 생명주기(life cycle)는 일본의 경우 성숙기로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 재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중국은 발전기에 접어들었고 미국은 발전기 초기, 한국은 발전기 후기에 근접해있다고 분석된다. 사업매력도 평가(BMO)에서 식품분야에선 차와 음료 그리고 건강기능식품이 화장품분야에선 피부노화억제와 여드름, 아토피 억제제가 의약품분야에서는 동 맥경화용제 등 5개 분야가 가장 매력도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프로폴리스는각 기후대별로, 국가별로 산재해 있는 식물 특히, 수종에 크게 영 향을 받으므로 원료에 대한 국제적 표준화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누군가 국제적인 표준화방안을 찾아내고 기술적으로 선점 할 수 있다면 산업을 크게 일으키면서 앞 서 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6.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smetic and toiletries are necessary health care & household for common life. However we need antiseptic which is effecting harmlessly to the human body. There are propolis, Lavender, Lemon, essential oil in the natural antiseptic materials. This work proceeded design Natural-antiseptic system with three materials as above-mentioned. Natural-antiseptic system was accomplished with propolis (2%), Lavender essential oil (0.3%), Lemon essential oil (0.3%) safety out of Polysorbate 20 (0.5%), Polysorbate 80 (0.5%), PEG (60) hydrogenated castor oil (0.45%), ethanol (5%). The antimicrobial test was experimented on E. coli and Bacillus stearothermophilus. In this antimicrobial test, we found that the effect of antisepsis against E. coli and Bacillus stearothermophilus with propolis 0.3%, Lavender essential oil 0.045% and Lemon essential oil 0.045% was improved. Therefore could expect Natural-antiseptic system product for moisturizing skin toner for face, nourishing essence and wet tissue for clean other things.
        4,000원
        9.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에 식품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어졌던 방법들의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고 보다 효과적인 식품저장을 위해 전통적으로 식용되어 왔으며 그 안전성이 확보된 프로폴리스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식품 부패 미생물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탐색하고 건강 지향적인 식품보존제로서 이를 식품에 적용하여 보다 좋은 품질의 가공식품개발에 활용코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를 보면 19.41% 수분, 0.39% 조단백, 5.12% 조지방, 0.15% 조희분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프로폴리스는 에탄올 60%, 에탄올 80% 추출물에서 높은 추출율을 보였다.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항균성은 100% 에탄올 추출물로 실험한 처리구에서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이를 사용하여 유해 미생물들에 대한 농도별 항균 효과를 살펴보았다. 프로폴리스 추출물로 유해미생물을 처리했을 때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luteus는 1~2mg/mL로 처리 시 생균수가 1~4log 감소하였고, E. coli는 3mg/mL로 처리 시, Bacillus cereus는 1~2mg/ml의 농도로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해 생균수가 2log 감소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와 Shigella sonnei의 사멸효과는 0.1~3mg/mL의 농도에서 생균수가 2~4log 감소하였다. Erwinia rhapontici의 사멸효과는 2mg/mL 농도로 실험했을 때 2log 정도 생육저해효과를 보였고, Salmonella choleraesuis, Vibrio parahaemolyticus에서의 사멸효과는 크게 관찰할 수 없었다. 프로폴리스 그램양성균에 대한 사멸효과가 그램음성균에 대한 효과 보다 더 우수하였다.
        4,000원
        10.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의 다양한 효능을 이용한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해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에탄올 추출농도(50, 60, 70, 80, 90%)와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 플라보노이드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다가 80%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시간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