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C 플랫 플레이트 시스템은 공기단축, 시공성 향상, 층고 절감 등의 장점이 있으나, 장스팬 적용 시 슬래브의 작은 휨강성 으로 인해 균열 손상 및 과다 처짐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시공 중 슬래브 자중에 의한 과하중의 작용이 슬래브의 장단기 처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자중 저감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는 중공 슬래의 사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슬래브 처짐에 대한 중공 슬래브의 자중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변수연구를 수행한다. 콘크리트 강도, 슬래브 시공주기, 동바리 지지층수, 압축철근비, 인장철근비 등의 변수조건들을 포함하여, 시공단계, 콘크리트 균열, 장 기 효과를 고려한 시공하중 및 처짐을 산정한다. 일반 슬래브와 중공 슬래브에 대한 시공 중 단기처짐과 완공 후 장기처짐을 비교하고, 슬래브 처짐에 대한 중공 슬래브의 효과를 분석한다.
        4,000원
        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in topics in this study is a new structural detail for connection between H-Steel or SRC column and flat plate slab. W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unching shear performance of H-steel or SRC column + RC slab system for vertical load and lateral load. From the test resul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 yield moment, yield rotation, maximum moment, deformation capabilities ect. - are obtained and evaluated. In this paper as a shear reinforcement for supporting region of plate closed stirrup type and shear band are used, and their test results are compared.
        4,000원
        3.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unching shear performance of H-steel column + RC slab system for vertical load. Three specimens were constructed for interior column-slab system. All specimens were the same configuration and material properties except for columns such as RC column+flat plate slab and H-Steel column+flat plate slab. From the test resul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maximum proof stress, maximum displacement, deformation capabilities and so on) are obtained and evaluated.
        4.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플랫 플레이트 시스템은 기둥 주위의 국부적인 응력집중 현상으로 인한 뚫림전단 파괴에 대해 취약하다. 이를 보강하기위하여 전단보강재로 철근 스터럽을 사용하지만 부재에 높은 전단력이 작용할 경우, 배근이 조밀해지고 자중이 증가하고, 골재가 고르게 배치되지 않아 구조물의 성능저하를 유발한다. 철근과 달리 FRP는 높은 내부식성과 경량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철근 스터럽의 대체재로서 선택하였다. 전단보강재를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판의 형태로 제작하고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에 매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 보강, 스터럽, GFRP 판으로 보강된 3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GFRP 판으로 보강된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의 역학적 거동 파악 및 전단내력을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샌드위치패널은 시공상의 용이함과 비용대비 높은 단열효과를 가지는 장점으로 공장 및 창고등 많은 분야에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지난 안성 냉동창고 화재사고에서 볼 수 있는 가연성 패널이 가지는 화재확산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어 대형 화재사고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소방활동을 하는 일선 소방관들에게 큰 위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샌드위치패널의 화재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연성 패널과 글라스울 패널의 비교실험을 실시 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ISO 9705에서 제시된 구획실을 구성하였으며 내부에는 목재크립을 적재하여 화재를 모사하였다. 실험결과 가연성 패널의 경우 화재발생 후 약 2분후에 플래쉬오버가 발생하여 붕괴가 진행되었으며, 내부 최대온도는 976℃로 고온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시편크기의 시험에서는 평가하기 어려운 구조적 안정성등 종합적인 화재 안전 평가를 위한 실규모의 화재 성능 평가법(KS F ISO 9705등)의 도입이 적극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된다.
        6.
        200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는 플랫 플레이트 구조에서 직사각형 외부기둥-슬래브 접합부의 뚫림전단강도에 관한 실험결과에 관하여 다룬다. 직사각형 기둥의 형상비 증가에 따른 뚫림전단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위험단면의 길이를 일정한 값이 되도록 기둥 단면크기를 산정하고 총 8개의 실험체를 계획하였다. 두 수준의 콘크리트 압축강도(f'c=24, 40MPa)에 대하여 기둥단면의 형상비(βc=C1
        7.
        200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플랫 플레이트 구조에서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함에 따라서 접합부의 전단강도와 같은 구조성능을 향상 시켜서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단점을 보완하여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70MPa급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기둥․슬래브 접합부 실험체를 제작한 후에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의 조합하중을 가력하여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기둥․슬래브 접합부에 대한 전단강도를 비롯한 주요한 구조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실험변수는 슬래브의 철근비와 슬래브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의 비율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