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망 작물에서 점박이응애 및 칠레이리응애의 수직 분포 및 확산 정도를 알아보고, 주간 브릿지를 이용한 칠레이리응애의 확산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확산은 점박이응애의 접종 밀도 및 위치에 따라 달랐다. 점박이응애를 상위엽에 주당 10 마리 접종하였을 경우 방사 5일까지도 하위엽보다는 상위엽에 머무는 경향을 보였으며, 주당 100 마리를 접종했을 때 이미 방사 1일차에 하위엽까지 이동하였다. 반면에 하위엽에 주당 10 마리 접종 후 1일차에 중·상위엽으로 이동하였고, 3일차는 상위엽에만 존재하였다. 주당 100 마리를 접종한 경우 접종 1일차에 상위엽까지 이동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위엽보다는 상위엽에 더 많이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박이응애를 접종한 이후 칠레이리응애의 접종 위치에 따라 이들이 확산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 점박이응애가 없을 경우 칠레이리응애를 하위엽에 방사하여도 상위엽으로 이동하였고, 상위엽에 방사하면 방사 후 3일까지 는 상위엽에 머물러 있었다. 점박이응애가 있을 경우 칠레이리응애는 방사 이후 먹이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망 세개 주를 상부 또는 하부에 실로 연결하고, 2, 3번 작물에 점박이응애를 접종한 후 1번 작물의 상·하위엽에 각각 칠레이리응애를 방사하였을 경우 연결된 실을 통해 이웃 작물로 이동하였다. 따라서 방사되는 칠레이리응애의 확산을 증진하기 위해서 가능하다면 작물체 간격을 좁혀주거나 작물체를 인위적으로 연결하여 준다면 더 넓은 지역으로 확산 가능하여 방사된 칠레이리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 방제효과도 크게 증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은 콩과, 배추과, 가지과, 벼과, 광엽석 자물, 화훼류 등 120여종을 이상을 가해하는 광식성 해충이지만, 산란 시 난괴를 인편으로 덮어 알기생봉의 방제 효율이 떨어지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충 내부기생봉인 예쁜가는배고치벌(Meteorus pulchricornis)을 이용하여 피망 온실에서 담배거세미나방의 생물적 방제를 시도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의 기주 작물인 피망을 비닐하우스(72㎡)에 각 85주를 정식하고, 1달 뒤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을 접종하였다. 방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은 처리구(2령충 200마리)와 혼재구(2령충 100마리, 5령충 100마리), 무처리구(2령충 200마리)로 나누어 접종하였고 실험구 당 각 2반복을 두었다. 천적 방사는 해충 접종한 다음날, 우화한지 3일 지난 예쁜가는배고치벌 암수 각 20마리씩 접종하였다. 방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매주 피망의 피해잎수와 유충수를 조사하였다. 천적 방사 후 7주뒤, 처리구와 혼재구의 피해잎수는 각각 주당 3.71과 3.85개로 조사되었으나 대조구는 주당 35.36장의 피해잎이 조사되었다. 처리구와 혼재구에서는 2세대 유충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대조구는 주당 평균 4.66마리의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충기생봉인 예쁜가는배고치벌이 담배거세미나방의 천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4.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피망의 동결 전 가열처리 조건을 선정하 기 위해 열수침지, 과열증기 및 볶음 처리 조건에 따른 품 질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피망의 외관, 색도, 경도, 미세 구조 관찰 등의 결과로 각 방법별 두 가지 조건을 선정 후 영양학적 품질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열처리 후 피망의 ΔE 값은 처리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볶음 처리시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침지 및 과열증기 처리에 따른 pH 변화는 적었지만, 볶음 처리 후 감소하였다. 경도는 가열처리 후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고, 열수침지 및 볶음 처리 시간이 길수록 경도 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피망의 일반성분, 비타 민 C, 유리당 및 유기산 함량은 가열처리 방법 및 처리 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다. 비타민 C 함량은 열 수침지>과열증기>볶음 처리 순으로, 처리 시간이 길수록 감소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피망의 수용성 성분인 유리 당 및 유기산 함량은 볶음 처리에 비해 열수침지 및 과열 증기 처리시 감소량이 많았다. Peroxidase 활성은 짧은 시 간의 열수침지(2분) 및 과열증기(3분) 처리에도 약 90% 이 상의 불활성화율을 나타냈지만, 볶음 처리시에는 peroxidase 활성 억제 효과가 20% 이하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피망의 가열처리 조건은 색도, 경도, 비타민 C, 유리당 등 변화는 적고 peroxidase 억제 효과가 높은 증기처리법으로 3분간 처리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larval density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to damage in greenhouse sweet pepper. Laboratory experiments, cage experiments by artificial release and field investigation were carried out in 2008. The leaf consumption rate increased greatly with larval development. The damaged leaves had several round or oval shape holes on the surface or lost certain parts of them, and the fruit damaged had a conspicuous hole on the surface or scar marks around the calyx. In the field investigation, fruit damage was highly correlated with larval densities and reached 3.5% damage at maximum. Cage experiments showed that numbers of non-marketable fruit increased as increasing larval densities released. The larval density at two weeks before harvest had a high relationship with the percentage of damaged-fruit at harvest. Corresponding larval density caused 1, 3, 5% of damaged-fruit was 0.2, 0.5, 0.8 larvae per plant, respectively.
        4,000원
        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ge experiments by artificial infestations with different initial densities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were conducted to analyze damages and develop control thresholds of F. occidentalis on greenhouse eggplant in 2005 and on greenhouse sweet pepper in 2007. In the eggplant experiment, the infestations of F. occidentalis resulted in direct damage on fruit surface and non-marketable fruits which had several thin or thick lines or bleaching patches on the surface. F. occidentalis adults were frequently found on the flowers of eggplants, while nymphs were mainly observed on leaves. The fruit yield of eggpla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xperimental plots with different initial density of F. occidentalis. Relationship between % non-marketable fruits among harvested fruits of eggplant and sticky trap catches of F. occidentalis (no. thrips/trap/week) at two weeks before the harves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Using the estimated relationship, the control threshold of F. occidentalis on greenhouse eggplant was estimated at 10 adults per week at two weeks before the harvest when 5% of non-marketable fruit was applied for the gain threshold. In the experiment of sweet pepper, the direct damage by F. occidentalis was observed on the fruit surface and calyx, and the marketable grade of the damaged fruits decreased. The significant yield loss of marketable fruits was found in plots with high initial introduced-densities. There was a high relationship between thrips density and percentage of damaged fruits. Assuming 5% yield loss (non-marketable fruit) for the gain threshold, the control threshold of F. occidentalis on greenhouse sweet pepper was 4.8 adults per trap and 0.9 individuals per flower at two weeks before harvest.
        4,000원
        7.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시설재배 피망에서 발생하는 꽃노랑총채벌레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요방제수준 설정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2007년에 농가포장조사 및 망사케이지를 이용한 시험구별 밀도구배 시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얻었다. 시험기간 동안 황색끈끈이트랩과 꽃조사를 통하여 꽃노랑총채벌레 밀도를 측정하였고, 피망 수량 및 과실 품질 조사등을 수행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에 의한 피해는 피망 과실표면, 꽃받침에 뚜렷하게 나타났고, 과실에서 피해가 심할 경우 상품성 하락을 유발하였다. 무접종구에 비해서 접종구에서 밀도 증가가 많이 일어났지만, 접종구내에서는 접종수준별로 밀도 구배가 뚜렷하게 유지되지는 않았다. 접종 수준별 피해과율 구배는 다소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품과를 대상으로 접종 수준별 과실 갯수 및 수확량의 유의성은 발생밀도가 높은 시험구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확 2주전에서 피망에서 꽃노랑총채벌레 밀도와 피해과율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피해과율 5%를 기준으로 꽃노랑총채벌레 밀도수준은 끈끈이트랩 조사에서는 4.8마리, 꽃에서는 7.2마리 수준이었다.
        10.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피망(Capsicum annuum L.) 플러그 육묘시 초장 조절을 위해 주야간 온도차(DIF)에 따른 16조합 처리를 50일간 실시한 뒤 각각의 묘소질에 따른 정식후 생육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주야간 온도차 처리에 따른 피망 플러그묘의 초장은 주간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같은 일평균 온도에서는 -DIF에 의해 억제되고, +DIF에 의해 촉진되었다. 엽전개 속도는 DIF처리 효과보다는 일평균 온도에 의해 좌우되었고, 생체중 및 건물중은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야간온도에 비해 주간온도가 크게 영향을 미쳤다. 엽면적과 줄기직경은 주야간온도가 16℃부터 24℃로 증가할 때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였다. 육묘시 온도처리에 따른 제 1번화의 착생 절위는 일평균 온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나 화뢰의 퇴화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망육묘시 DIF를 조절하여 육묘시 초장조절이 가능하며 -DIF 처리로 초장이 억제된 유묘일지라도 정식후 +DIF 조건에서 재배함으로써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엽전개 속도(생육속도)와 제 1번 화의 화아 분화도 일평균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며, 적온 범위 내에서 일평균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화아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4,200원
        11.
        201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distribution of fresh produce, the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combined with thermo electric materials (TEM) and phase change material (PCM) was studied. The PCM used this study was produced by in-situ polymerization technology which referred microencapsulation of hydrocarbon (n-tetradecane and n-hexadecane). In this study,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ll peppers in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combined with TEM and PCM were analyzed and control was placed in an EPS (expanded polystyrene) box. As a result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alysis, weight of bell peppers decreased and moisture content of bell peppers was 90.96~94.43% during storage. Vitamin C content of bell pepper decreased during storage and reduction ratio of control was higher than that of BPT-5 treatment(bell pepper in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with PCM which is kept the temperature at 5℃). The result of color value, on 21 day, ΔE value of BPT-5 treatment was 5.05 while that of control was 41.8. On 21 day, total bacteria count of BPT-5 treated bell pepper shown less than that of control. In conclusion, it suggested that the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combined with PCM improved quality of fresh produce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13.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dicting plant responses to changing atmospheric CO₂ and to the possibility of global warming are important concerns. The CO₂ concentration of the global atmosphere has increased during the last decades. This increase is expected to result in changes of global temperatures and this will also affec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bell pepper (Capsicum annum L.) and other crop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tmospheric CO₂ enrichment and high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bell pepper under three temperature regime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ays required from seeding to flowering between CO₂ treatments, whereas among three temperature regimes, high temperature plots of 35/25℃ showed the shortest days (52.5 days) required from seeding to flowering. The plant height of bell peppers 15 weeks after emergence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plots of 30/20℃ showed the highest plant height among the three temperature regimes. Time-course response of plant height to CO₂ enrichment was restrained in high CO₂ concentration (800ppm), at the same time higher temperature promoted plant height. Average leaf area per plant of 400ppm was 6,008.8㎠ and it was 5,225.1㎠ in the plots of 800ppm, showing 15% more leaf area compared to 400ppm CO₂ concentration. Leaf dry weight between CO₂ concentration and among temperature regime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verage leaf dry weight in the plot of 800ppm showed the highest (44.1g), which was 18.5% higher compared to that of 400ppm (37.2g) and among temperature regimes, it was the highest (49.8g) in the plot of 35/25℃. Above-ground dry weigh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CO₂ concentration and among temperature regimes. The average above-ground dry weight of 800ppm CO₂ concentration was 141.4g, 17.9% higher compared to 400ppm CO₂ concentration (119.9g). Among three temperature regimes, plots of 30/20℃ showed the highest average above-ground dry weight (168.9g), while plots of 35/25℃ were the lowest (102.3g). In the average bell pepper dry weight, 800ppm of CO₂ concentration showed higher bell pepper dry weight (59.5g) than that (44.3g) of 400ppm of CO₂ concentration. It was judged that high CO₂ concentration was profitable for bell pepper yield and there was a tendency that when there was high CO₂ concentration (800ppm), low temperature (25/15℃) was profitable for bell pepper dry weight, whereas it was the reverse (30/20℃), in the case of ambient CO₂ concentration (400ppm). In the specific leaf area according to CO₂ concentration, 800ppm showed 117.4, which was 35.5% higher compared to that (159.1) of 400ppm, showing that leaf becomes thicker as CO₂ concentration increases. Regarding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rop characteristics, leaf are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bell peppers per plant and bell pepper dry weight, showing that the higher the leaf area, the lower the bell pepper yield. Bell pepper dry weight per plant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bell peppers per plant and total above dry weight, which showed that the higher the number of bell peppers and the total above dry weight, the higher the bell pepper yield.
        14.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망에 대한 MA 저장에 적합한 포장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기체에 대한 투과도가 다른 cast polypropylene (CPP),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polyolefin (MPD), polyolefin(PD961) 및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포장재로 피망을 포장하고 1에서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고찰하였다. 저장 기간 중 포장 내부의 산소 농도는 4주까지 대체
        15.
        2002.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홍고추 및 생홍피망의 장기저장 방법으로 HDPE 및 LDPE포장내에 시료와 함께 서로 다른 양의 NaCl을 삽입함으로써 MA저장 효과를 조사하였다. HDPE 및 LDPE 포장내의 NaCl 함량은 0 g, 15 g, 20 g, 25 g이었으며, 대조구로 무포장이 사용되었다. 홍고추 및 홍피망의 각각 50일 및 35일간 MA저장 동안 주기적으로 중량 변화와 곰팡이 발생율을 조사하였고, 저장 초기와 말기에는 색도와 경도를 측정·비교하였다. NaCl을
        16.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MA) storage for fresh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were investigated with storing in polyethylene film with various fine holes. During the storage of the both pepper fruits, the weight loss, color change, mold emergence, and firmness were evaluated. The weight loss of pepper fruits packaged without holes on film was less than 3%, even though it was each 50% and 25% for non packaged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The rates of mold emergence of red chili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were reached to each 60% and 50% at the end of storage period as stored in film without holes. However, the rate of mold emergence of pepper fruits was lowered when fruits were stored in MA with low relative humidity (70∼80%). The color and firmness of pepper fruits were not much changed when fruits were stored in MA with high humid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