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효과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준설과 각종 수리구조물의 영향에 의한 하상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대규모 준설과 대형수리구조물의 건설은 본류뿐만 아니라 지류의 하상안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호강이 유입하는 낙동강 강정고령보∼달성보 구간에 대해 하도준설과 보 건설 및 운영에 따른 본류와 지류에서의 장기하상변동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HEC-6모형을 이용하여 유사이송 및 장기하상변동 양상을 모의하였으며, 그 결과 준설 및 보 운영으로 인해 본류뿐만 아니라 지류에서도 하상변화량이 증가하고 가속화되었다.
        2.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본류의 하도준설로 인해 본류에 유입되는 지류하천의 하상고와 본류와의 하상고간의 높이차가 과도하게 발생함에 따라 지류하상의 안정화 기법을 검토하게 되었다. 지류하천의 하상고와 본류와의 높이차가 크게 발생함에 따라 하천을 직강화한 첩수로를 만들게 되고 하상 경사의 폭은 커지게 된다. 이 경우에는 유량과 하상 재료사이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Lane식에서 우변 하상 경사의 증가는 자연히 좌변의 증가를 가져오므로 유사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실제 하천 개수 사업에서 직강화는 하상의 세굴과 저하보다는 통상 하폭의 확대를 가져온다. 기준면의 저하는 지류 입장에서의 본류 수면이 일종의 기준면이 되므로 지류 에너지 경사의 증가를 의미하게 된다. 이 경우 Lane 관계식에서 하상 경사의 증가는 좌변의 증가를 가져오며, 하상 재료가 일정한 상태에서 이는 유사량의 증가를 가져온다. 즉 지류의 하상 경사와 유사량 증가는 하상의 침식을 의미하며, 이러한 침식은 상류로 진행된다. 이를 두부 침식이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천 본류하도 준설에 따른 지류하상의 하상변동과 지류유입 토사량에 대해서 검토하겠다.
        3.
        200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하천 하류부에서의 하상퇴적토 준설에 따른 수직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유한차분법을 사용하여 목표년도 하수의 차집율에 따라 목표수질 달성에 대한 기여정도를 분석하였다. 도시를 관류하고 있는 11.2km의 하천구간내에 21개 지점을 선정하여 시추를 실시하였으며, 용출시험을 통한 하상퇴적토의 오염정도을 조사하였다. 하상퇴적토 준석에 따른 주요지점별 COD 변화를 갈수량, 저수량 및 평수량에 대해서 검토하였고, 그 결과 오염된 하상퇴적토의 준설이 수질개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