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structure of river ecosystem in the watershed of the Seom River and Hoengseong Reservoir located in Hoengseong of Kangwon Province from February to October 2007. Topics of the survey were mainly rainfall, discharge, water quality in abiotic factors and attached algae, benthic macroinvertebrates, fish, birds and mammals of flora and fauna in a biotic factors,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Seom River could be seen as a typical flow rate of the stream is controlled to the effect of the dam. Basic water qualities were great to seasonal effects, it was relatively clean. Diatom Achnanthes, Cymbella, Gomphonema, and Navicula were distributed predominantly in the periphytic algae.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mostly aquatic insects and freshwater shellfish, the aquatic insects were abundant Ephemeroptera and Trichoptera. Freshwater fish was the dominant Zacco platypus, fish species varied toward the downstream. Birds were mainly observed in four species, and species Egretta garzetta, which was distributed in a wide area of the Seom River. In mammals, Lutra lutra of Mustelidae was identified that the number of inhabit widely. In aspects of the ecological trophic level, the Seom River was maintained at a relatively stable state i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useful data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lotic and lentic ecosystems.
        4,300원
        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농촌 소하천의 적정 환경유지용수 산정을 위한 기초조사로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와룡리에 위치한 봉현저수지를 수원으로 하는 봉현천과 하이저수지를 수원으로 하는 석지천을 시기적 우기이면서 농번기인 2011년 3월에서 9월까지 총 7회에 걸쳐 8개 지점을 선정하여 하천조사와 수문,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관개기와 비관개기로 구분하여 유량측정을 분석한 결과, 관개기는 선행강수량이 비교적 많았으나 7월을 제외한 기간에 대부분의 측점지점에서 유량을 측정할 수 없을 만큼 하천이 메말라있었고 비관개기에는 선행강수량이 적거나 없어 전 측점지점의 계측이 불가능했다. 유량의 차이가 수질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질항목들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수질관측지점별 pH, BOD, COD, TOC, SS, T-N, T-P 등 총 7항목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이저수지의 경우 탁도와 T-N, 및 탁도와 BOD의 상관계수가 각각 0.771 및 0.781로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함을 나타내었고, 봉현저수지의 경우 TOC와 T-N의 상관계수가 -0.769로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체 조사기간 중 7월만 전 하천지점에 대해 수질시료를 채취할 수 있었고 그 외 기간은 결측값이 존재하여 정밀한 분석이 불가했다. 이는 농촌 소하천의 건천화 현상으로 하천유지용수의 부족을 나타내며 향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농어촌환경용수 공급을 위한 적정 유지유량 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ivil consciousness for reducing odor by increasing the flow rate with the Gulpo river which has been played a major water course in Incheon area were investigated with the survey of odor related questions for the citizens neighboring the river. The citizens suferred from odors generated from the river and factories has shown that the increase of the flow rate had good effect for reducing odors from the results of survey.
        4,000원
        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thods of reducing odor by increasing the flow rate with the Gulpo river which has been played a major water course in Incheon area were investigated with the measurement of odor concentration using air dilution sensory methods in the flow river. The odor concentrations were diminished with the rise of the flow rate and the optimal condition of maintaining the flow rate were determined from those results.
        3,000원
        7.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biota research and analysis for Close-to-nature stream restoration planning of Shinchun.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vascular plants in research area recorded of 45 species and insect fauna recorded of 34 species of 8 orders. As a result of table of community classification, the communities were two group; Quercus variabilis community(I), 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Quercus dentata community(II). 2) As a result of analysis on correlation of tree species, the level of significance in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ercus dentata and Corylus heterophyll aindicated 1% and between Pinus densiflora and Lespedeza bicolor also indicated 1%. 3) As a result of DBH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dentata will dominateover other species in competition and its succession continuously maintains from now on in community I. In community II,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hanging into community of Quercus such as Quercus mongolica, Quercus dentata, and Quercus variabilis. 4) As a result of analysis on insect fauna, insect fauna consists of 94% of whole species as 32 species, 23 families, 8 orders. And 7 species, 7 families 4 orders was found in highly urbanized area, the vicinity of Sang-Dong bridge. 5) As mentioned above, Based on A biota fundamental research, Close-to-nature stream restoration planning were full of suggestions: i) Designating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i) Making Close-to-nature stream revetments, iii) Making pool-and-riffle, vi) Making decks for observation and walks for nature experience, v) Creating wetland biotope. Through these methods, it is necessary to promote bio-diversity and lead people to the space for eco-learning.
        4,000원
        10.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대구시(大邱市)의 주요 하천(河川)인 이천(梨川), 범어천(汎魚川), 칠성천(七星川), 신천(新川), 달서천(達西川) 및 공단천(工團川)의 오염상태(汚染狀態)를 조사(調査)하여 도시하수(都市下水)의 효과적(效果的)인 처리(處理)와 금호강(琴湖江)의 오염방지책(汚染防止策)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코자 하였다. 시기별(時期別) 각(各) 하천(河川)의 pH, DO, COD, 질산염 및 인산염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각(各) 지점별(地點別) 평균치(平均値)는 pH 7.3~8.2, DO 흔적~6.5ppm, COD 20.4~116.9ppm, T-N 23.2~31.7ppm, -N 18.3~27.7ppm, -N 0.08~1.89ppm, -N 0.19~1.51ppm, -P 2.50~17.28ppm이었다. 2) 지점별(地點別) 오염도(汚染度)가 가장 높은 곳은 공단천(工團川)이었으며 12개월(個月)동안의 평균치(平均値)는 pH 8.2, DO 흔적, COD 116.9ppm, T-N 23.2ppm, -N 18.3ppm, -N 1.89ppm, -N 1.51ppm, -P 17.28ppm이었다. 3) 시기별(時期別)로 비교(比較)하면 pH, DO, COD, T-N, -N의 함량(含量)과 pH는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높았으며 -N and -P의 함량(含量)은 여름철이 다소 높았다.
        4,000원
        12.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e are weaknesses of water-pipe buried at river because of difficulty like to invisible exposure by scour. These weaknesses cause flotation, deformation and damage of pipelin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survey instrument applying GNSS that KISTEC has recently introduced. Also, we has verified reliability by discovering exposed water-pipe on field
        13.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의 다목적댐 운영은 기존의 홍수조절, 용수공급, 수력발전과 같은 수량뿐만이 아니라 수질, 생태환경 등 다양한 이해관계를 고려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암조절지댐의 저온 심층수 방류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수온을 조사하고, 수온변화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암조절지댐, 하류하천, 순천만 지역에 대해 장기간에 걸쳐 수온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3차원 수치모형(EFDC)을 활용하여 방류량과 같은 다양한 외부 인자들을 고려하여 하류하천 및 순천만에서의 수온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및 수치모의 결과 댐의 저온 방류수 영향은 대체적으로 4월~9월 기간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댐 저온수 방류 영향이 방류시기, 방류수온, 방류량, 기상, 조위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복잡한 형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댐의 저온수 방류로 인한 하류하천 및 연안지역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댐 운영 개선방안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4.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를 대표하는 모래하천 낙동강에서 하안식생의 분포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시의 낙동강 일대에서 자연제방 5곳을 실험구간으로 선정하고 84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식물상, 식생피도, 평수위기준상대고도, 토양의 수분함량, 유기물함량, pH, 전기전도도 및 토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식생단면조사의 피도값과 환경자료를 바탕으로 정준대응분석(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각 식물종은 평수위기준상대고도, 유기물함량, 모래함량 등에 의하여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하천의 식생분포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환경인자는 평수위기준상대고도로 나타났다.
        1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홍수, 폭우, 태풍을 포함한 극한 현상이 빈번히 관측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1980년대 후반부터 수재해에 따른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국내 하천은 외국의 주요 하천에 비해 유량변동계수가 큰 특징을 가지므로 하천 및 하도관리 여건이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하다고 할 수 있다. 하천의 유지·관리에 있어서 정확한 하천지형조사는 필수적인 요건이며, 정밀 하천지형제작을 위한 선진화된 조사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하천측량방법을 보완하는 유·무인 수심측량을 수행하여 고품질의 하천지형조사 자료를 획득하고자 한다. 또한 하천 유지·관리업무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체계 구축방안으로써 측량 성과물을 입력자료로 하는 하상변동 자료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프로그램은 체계적인 자료 관리 측면에서 하천지형조사 자료의 현황 조회 기능을, 효율적인 자료 활용 측면에서 DEM 기반의 하천단면 조회 및 변화분석 기능을 탑재하여 유관기관에 배포 시 측량자료 제공의 표준화, 전산화 및 고도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6.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하천공학적 접근방식을 통하여 식생생육과 자연환경과의 연관성을 밝히고 차후 자연형 하천을 이해하고 설계․시공함에 있어 건전한 생태적 환경 복원과 생물다양성 증진에 그 목적을 두었다. 평창강, 복하천 그리고 경안천의 식물상은 평창강 51과 202종, 복하천 33과 142종 그리고 경안천 42과 175종으로 하천 길이가 가장 긴 평창강이 출현식물 종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성상별 출현종은 관목 및 만경류가 44종, 일․이년생 초본류가 102종, 다년생 초본류가 137종으로 다년생 초본류가 풍부하게 존재하고, 목본류도 많은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토양산도(pH)는 평창강은 6.98이었고, 복하천은 5.18, 경안천은 6.61로 경안천의 pH가 낮은 경향이었다. 토성(ST, soil texture)의 모래(ST3) 구성비는 평창강이 평균 67.68%이고, 복하천의 평균은 66.90%, 경안천의 평균은 65.37%로 3개 하천의 구성비가 유사한 경향이었다. 세사(ST1) 100㎛이하 입자의 구성비는 평창강이 평균 8.66%로 하류로 갈수록 세사(ST1)의 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