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남자고등학생의 교복바지에 대한 착용만족도를 높이고 맞음새가 좋은 교복바지의 패턴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사이즈코리아(2015)의 직접 측정 데이터 중 BMI 지수가 18.5이상인 17~19세 남자 745명의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비만 남자고등학생의 체형분류를 위하여 표준체형과의 신체치수 비교를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비만 남자고등학생의 체형분류를 위한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등의 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비 만 남자고등학생의 체형분류 요인으로는 하반신 부피요인, 하반신 길이 요인, 복부 부피요인, 밑위 길이요인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 군집 분석의 결과로 4가지의 비만체형 유형이 분류되었다. 유형1은 분류된 비만체형 유형 중 하반신의 길이가 가장 짧고 왜소한 비만체형이며 유 형2는 비만 유형 중 허리둘레가 가늘고 복부의 부피가 작아 약간 왜소 한 비만체형이다. 유형3은 하반신 길이는 보통 이상이며, 하지와 하반 신 둘레, 복부의 부피 등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큰 값을 보여 부피가 큰 고도 비만체형이다. 유형4는 4가지 비만 유형 중 하반신 길이는 가 장 길고, 복부의 비만 정도가 유독 큰 복부 비만체형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비만 체형의 특징을 반영한 교복바지의 설계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5,400원
        2.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satisfaction with, perceived ease of movement of, and perceived fit of high school girls’ uniforms according to the uniform design. “P” high school, with a one-piece dress-type uniform, and “H” high school, with a two-piece type uniform,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ixty-five female students from each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1 questions about the school uniforms’ purchase behavior, design, fit, ease of movement, and modification and participants’ demographic information. Students from both school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uniform design. However, in the open-ended response section, many “P”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the fact that the one-piece dress pulled up when sitting or raising the hand made it uncomfortable. On the other hand, “H”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the skirt was uncomfortable, because it left the body or underwear exposed when the wind blew due to the many pleats in the skirt. In the assessment of the ease of movement, “P”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describe the uniform as uncomfortable than “H” high school students. Man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modified their school uniforms, and the length of the skirt and one-piece dress was the main part that was modified. This study suggests that growi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re unsatisfied with the school uniforms’ design and fit. Additionally, the perceived fit and satisfaction levels depend on the uniform design.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