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글 어스를 비롯한 인터넷 지도와 세계적인 지명관련 데이터베이스인 미국의 NGA의 GEONet지명 서버 같은 경우 정작 지명 사용자인 현지의 한국인이 이해하지 못하는 서양식 지명이 많이 발견된다. 특히 이러한 서양식 지명은 해안지명과 해저지명에 가장 흔하게 발견되고 있다. 그 지명들의 역사적인 유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면, 지명표준화라는 측면에서 오류 지명을 시정하고 정확한 지명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실제 18세기부터 한국해역에 자주 출몰한 서양 선박들은 통상을 요구하거나 선교의 자유를 요구하거나 아니면 단순히 포경을 비롯한 어업활동을 위해 한반도 해역을 통과하면서 언어의 장벽과 정부의 쇄금정책에 의해 현지지명을 알 수 없었고, 이러한 이유로 그들의 해도에 자신들의 명명방식에 따라 서양 명칭을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깊이 다루지 못한 러시아, 네덜란드 및 미국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4,000원
        2.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상의 만물은 고유의 성격을 나타내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땅에는 지명(地名)이 있으며, 바다에는 해양지명(海洋地名)이 있다. 또한 육지와 바다의 경계선에 있는 해안에도 독특한 지명이 있다. 지명은 고유 지명과 속성지명으로 이루어지는데, 해안에는 갑(岬), 각(角), 취(嘴), 기(琦), 두(頭), 등의 속성지명이 있다. 이 지명들의 명명유래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비극적 역사가 묻혀있다. 해안 지명이 어떻게 명명되었으며 오늘날 까지 여과 없이 사용되어 왔는지 옛 해도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항해용해도, 수로지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축척 1/50,000의 지형도에 사용한 해안 지명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안 지명을 비교, 검토하고 우리나라 주변 해안 지명의 표준화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