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2.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닭 정액의 주요성분인 glutamine은 정장의 주요 성분으로 정자의 생리 활성에 매우 중요 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류 정액 희석액의 주요성분으로 이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glutamine은 액상의 배양액에서 변성이 일어날 수 있어 세포배양에는 alanyl glutamine을 이용하 여 장기 세포배양에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anyl glutamine을 이용하여 개발된 희 석제를 이용하고 닭 정액의 냉장보존에 이용하였으며, 닭 정자의 장기 생존성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하였다.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사양관리중인 오골계 수탉 또 는 레그혼에서 복부 마사지법으로 채취된 정액을 이용하였다. 채취한 정액은 96 mM L- Glutamine 또는 Alanyl Glutamine을 함유하는 희석액에 각각 1:8의 부피비율로 상온에서 희석하 여 상업용 냉장고와 4℃로 조절된 BOD 배양기에 보존을 실시하였다. 냉장되는 온도의 저 하 속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온에서 희석하는 온도와 동일한 온도의 증류수 300 ml을 비이 커에 담고 물위에 1.5 ml E-tube에 담아서 파리필름으로 밀봉하였다. 희석된 정자의 활력은 상업용 냉장고에 보존할 경우, 4일차까지 75.6%의 활력정자가 유지 되었으나 5일 이후에는 급격히 생존성이 저하되었으며 6일째에는 활력 정자의 수가 18%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BOD 배양기에서 보존된 동일한 정자는 9일까지 약 73%의 활력정자가 유지되었으며, 10일 이후에는 활력 정자의 수가 급격히 감소되는 현상을 관찰하였으며, 15일째에는 약 20%의 정자 활력이 유지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정자의 활성 유지는 정자의 미토콘드리 아 에 필요한 글루타민 에너지 공급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에 의하여 유지 되는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hyper activated sperm의 비율을 줄여주어 정자군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므로 조류 정액을 냉장 보존할 때, 알라닐글루타민을 희석액의 주요 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3.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wing stages of the Korean Native Striped Bull (KNSB) on the freezability and fertility of frozen-thawed semen. First, we investigated the total motility (TM) and progressive motility (PM) according to the diluent used for semen freezing. Second,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age of KNSB on semen volume, TM and PM of fresh and frozen-thawed semen. Third, we examined the effect of frozen semen from the different age of KNSB on the fertilization rate, and the artificial insemination pregnancy rate. The diluent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Triladyl and Tris-egg yolk extender (EYE). Semen was collected from 5 KNSB in the growing stage (15 months) and 5 adult KNSB (36 months). When Triladyl or Tris-EYE extender was used for semen freezing,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mean TM and the mean PM. However, the mean T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ull No. 1885 than Bull No. 4283 ( <0.05). The mean volume of semen collected from the 15-month-old bulls (2.3 ml) was significantly lower ( <0.05) than that from the 36-month-old bulls (5.0 ml). The mean semen concentration was similar for the 15-month-old ( spermatozoa/ml) and 36-month-old ( spermatozoa/ml) bulls. For the 15-month-old and 36-month-old bulls, the mean TM of fresh semen were 93.7% and 88.3%, respectively, and the mean PM were 97.0% and 88.3%, respectively; the 15-month-old bulls showed a particularly high PM ( <0.05). For the 15-month-old and 36-month-old bulls, the mean TM (56.0% and 58.0%, respectively) and the mean PM (64.0% and 70.7%, respectively) of frozen-thawed semen did not differ. The development rates of embryos after fertilization and the pregnancy rate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using frozen-thawed semen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bull's age. In summary, semen volume differed according to the bull's age, but semen concentration and survival rate, the fertilization rate, and the pregnancy rate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stripe bull's age. Accordingly, semen from bulls in the growing stage can be collected and frozen for the preservation and multiplication of rare livestock.
        4,000원
        4.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염소 액상 정액의 활용에 적합한 희석액을 검토하여, 국내 염소 인공수정 실용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두 마리의 흑염소 수컷으로부터 전기 자극법으로 정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정액은 BTS로 희석하여 5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정장을 제거하고, BTS, Modena, Triladyl로 희석하여 냉장고나 온장고에서 8일간 보관되었다. BTS와 Modena로 희석된 정자의 운동성은 하루 만에 소멸되었으며, BTS로
        4,000원
        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3주 동안 장기간 냉각상태로 보관된 개 정자의 기능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두 종류의 정자 희석액, Glucose-BSA(G-BSA), Dimitropoulos-II(BIMI)가 정자의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개 정액을 수지법에 의해 채취하여 원심분리한 후 정장은 제거하였다. 정자를 G-BSA나 DIMI으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를 sperm/ml로 하였다. 희석된 정자를 정자 운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루지애나 주립 대학
        4,000원
        6.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돼지정액의 동결보존을 위한 희석액과 냉각속도 및 동해방지제의 적정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에서 까지의 냉각속도에서는 LEY 희석액에서 분당 로 냉각하는 것이 생존율과 정상 첨체율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얻었다. 2. LEY 희석액이 BF5와 M-Soejima 희석액보다 정자를 동해로부터 보호하는 능력이 우수하였다. 3. LEY 희석액에 첨가하는 glycerol의 농도는 3 또는 가 의 glycerol
        4,000원
        9.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돼지 액상정액을 인공수정용 100ml 플라스틱 병에 보존하면서 BF5희석액과 Butschwiler 희석액 간에 보존 온도별 차이를 조사하고, BF5 희석액에서의 글리세롤 농도의 효과를 조사하여 돼지 액상정액을 좀더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돼지 액상정액을 5 냉장고에 보존하면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37에서 0.5 및 2시간 배양후의 정자운동성은 전체 보존기간동안 BF5 희석액이 Butschwiler 희석액보다 유의하
        4,000원
        11.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적색장미의 변색방지 기술을 개발하고자 Al, AlK, Mg 및 CuSO4를 증류수에 0, 5, 10, 20 및 30%로 희석한 열탕(85∼90℃)에 장미 ‘카디날’ 꽃잎을 30초 동안 침지하여 건조한 후 자외선 조사에 따른 변색정도를 조사하였다. Al 용액 처리구는 a*값의 경우 5, 10% 처리구에서, b값은 20%처리구에서, △E*값은 30% 처리구에서 신선한 꽃과의 색차가 적었다. AlK 처리구는 5%와 30% 액에 처리시 신선한 꽃과의 헌트 a*, b* 및 △E*값의 차이가 적었다. Mg 처리구는 20% 및 30% 처리구에서 신선한 꽃과의 Hunter a*, b* 및 △E*값의 차이가 적었다. CuSO4 처리구는 5% 액에 처리시 신선한 꽃과의 Hunter a*, b*, △E*값 및 Munsell 표색계 H값의 차이가 적었다.
        12.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말똥성게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한 여러 가지 희석액의 보존 효과를 비교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포도당 용액, 인공해수(ASW)를 희석액으로 하여 정자를 4에서 보존하였다 보존효과는 정자 활성지수 (SAI), 생존율 및 말똥성 게 난에 대 한 수정률로 평가하였다. ASW와 1.2 M glucose액을 희석 액으로 하여 30일간 냉장보존하였을 때 가장 높은 운동성 및 생존율을 유지하였다.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한 희석액의 적정 pH는 7.0∼8.0 이었다. 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