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7

        61.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유로부터 glycomacropeptide(GMP)를 분리하였으며, 각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의 혈소판응집 억제 효과를 in vitro 상에서 알아보았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의 GMP는 분자량이 모두 약 20 KDa이었으며, sialic acid 함량은 각각 36.86±2.36, 37.98±1.27 및 31.19±1.87㎍/mg이었다. 또한 모든 개체의 GMP에서 tyrosine이 검출되었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 의한 혈소판 응집 억제율은 반응 30초에 4.02, 5.51 및 12.77%로 각각 나타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소판의 현미경 관찰 결과 가수분해물 첨가 후 혈소판 수가 증가하였으나, 첨가 후 30초가 경과한 시점부터 혈소판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120초 후에는 관찰 할 수 없었다. 본 실험 결과 bovine 및 caprine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small peptide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러한 연구는 심근경색증 및 뇌혈전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리활성 물질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4,000원
        64.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palmitoyl phosphatidyl choline and p-nitrophenyl palmitate were directly sonicated in acidic water for 6 minutes to give clear stock solutions. The catalytic hydrolysis of p-nitrophenyl palmitate was studied at 30-50℃ in the presence of unilamellar vesicle and mixture of unilamellar and multilamellar aggregates. The difference of reaction rate between unilamellar and multilamellar was observed. The rate of unilamellar reaction compared to the rate of mixture reaction showed more catalytic effect.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of vesicle was measured at 37-44℃.
        3,000원
        67.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ormation of aluminum hydroxide by hydrolysis of nano and micro aluminum powder has been studied. The nano aluminum powder of 80 to 100 nm in diameter was fabricated by a pulsed wire evaporation (PWE) method. The micro powder was commercial product with more than in diameter. The hydroxide type and morphology depending on size of the aluminum powder were examined by several analyses such as XRD, TEM, and BET. The hydrolysis procedure of micro aluminum powder was different from that of nano aluminum powder. The nano aluminum powder after immersing in the water was transformed rapidly to a nano fibrous boehmite, accompanying with a remarkable temperature increase, and then further transformed slowly to a stable bayerite. However, the micro powder was changed to the stable bayerite slowly and directly. The formation of fibrous aluminum hydroxide from nano aluminum powder might be due to the fine cracks which were formed by hydrogen gas pressure on the surface hydroxide layer during hydrolysis. The nano powder with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small size reacted more actively and faster than the micro powder, and transformed to meta-stable hydroxide in relatively short reaction time. Therefore, the formation of fibrous boehmite is special characteristic of hydrolysis of nano aluminum powder.
        4,000원
        69.
        200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o cubes with high catalase activity were synthesized by reduction of freshly prepared Cu in distilled water at and their catalase activities of were studie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observation showed that most of these nanocubes were uniform in size, with the average edge length of 30 nm.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of TEM revealed that the nanocube consisted of single crystalline , but it changed to CuO phase. The catalase activity depends on the amount of both cuprite phase and surface area.
        4,000원
        75.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조류 조직을 가수분해시켜 기호성 및 응용성이 높은 액상원료로 가공하는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우선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로서 산, 논, 밭, 해변 및 어판장에서 약 200종류의 미생물군 시료를 수집하여 해조의 조직파괴가 인정되는 8군의 미생물 시료를 사용하여 돌가사리, 톳 및 가시파래의 조직파괴와 가수 분해 가능성에대하여 검토하고, 추출액 중의 전당과 환원당을 측정하여 추출율과 분해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돌가사리, 톳 및 가시파래의 전당 추출량과 추출율은 각각 담수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 (No. 27번), 부식한 식물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 (No. 8번) 및 담수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환원당의 추출량과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환원당의 추출량과 추출율에서는 각각 8번, 8번 및 27번 미생물 군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분해율은 전당의 추출율도 상당히 높으면서 환원당의 추출이 가장 높았던 실험구들이 각각의 해조에서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이들 자연계에서 채취한 미생물군 시료중에 해조 조체를 파괴시키고, 또한 해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당을 비롯한 유용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며, 해조를 가수분해시키는 효소를 가진 미생물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또한 이들 미생물군에서 단일 또는 복합 해조가수분해 미생물 및 효소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4,000원
        76.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lkaline hydrolysis of alkyl alkylphosphinate and alkyl phenylphosphinates have been studied at room temperature. The hydrolysis proceeded as an one-stage reaction(SN 2) and involved a nucleophilic attack of the hydroxyl ion on the phosphorus atom. And the length of the alkoxy group in the phosphinate esters affected on hydrolysis. Therefore, the alkaline hydrolysis may be used as a method to decompose the chemical agents.
        4,000원
        77.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아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활성은 익은 동아 육질은 0.19unit/0.5ml, 어린 동아 육질은 0.56 unit, 익은 동아속은 24.35 unit, 어린 동아 속은 0.35 unit이었다. 생고기에 대한 활성은 익은 동아육질은 생쇠고기에 대해서는 13.0 unit, 생돼지고기에 대해서는 7.4 unit를 나타냈고, 동아속은 생쇠고기에 대해서는 30.2 unit, 생되지고기에 대해서는 24.5 unit를 나타냈다. 단백질 가수 분해효소의 열 안정성은 각 온도별에서 10분간 가열한 다음 70℃까지는 안정하였고, 80℃에서는 21%의 활성만 남고, 90℃ 이상에서는 활성을 잃었다. 분광광도 스펙트럼 결과는 280nm에서의 단백질 피크가 주이고, 다른 흡광성 물질은 없었다. HPLC 분석 결과, 익은 동아와 어린 동아 육질과 속은 모두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작용으로 casein을 작은 분자로 가수분해하였다. 1/10로 희석한 것은 카제인이 가수분해된 것과, 엉겨서 분자량이 커진 것 두 가지인데 반해 1/10 희석한 것은 원액을 사용한 것과 모습이 다르지만 익은 동아속은 원액과 패턴이 같았다.
        4,000원
        7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osphamidon의 가수분해속도상수는 25。C, pH 4, 7 및 9에서 각각 0.0020, 0.0022 및 0.0049이었고, 40。C에서 각각 0.0040, 0.0050및 0.0150으로 측정되었다 같은 pH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촉진되었으며, pH 9의 염기성조건에서는 15。C상승에 반감기가 약 3배 정도 빨랐다. 또한 같은 온도에서 산성(pH 4)과 중성조건(pH 7)에 비해 염기성조건에서 가수분해반응이 약 2∼4배 정도 빨랐다. Profenofos의 가수분해속도상수는 25。C, pH 4, 7 및 9에서 각각 0.0022, 0.0047 및 0.0860이었고, 40。C에서 각각 0.0031, 0.0086 및 0.1245로 측정되었다. Profenofos의 가수분해는 phosphamidon과 마찬가지로 같은 pH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촉진되었으며, 같은 온도에서 산성과 중성조건에 비해 염기성조건에서 가수분해반응이 약 15∼40배 정도 빨랐고 반감기가 모두 8시간 이내로 가수분해반응이 현저하게 일어났다. Profenofos의 가수분해속도가 phosphamidon보다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수분해에 의한 분해산물을 확인하고자 GC/MS분석을 한 결과 phosphamidon의 분해생성물은 m/z=153의 O, O-dimethyl phosphate(DMP)와 m/z=149의 N, N-diethylchloro acetamide로 추정된다. Profenofos의 분해생성물은 m/z=208로 4-bromo 2-chloro phenol과 m/z=240으로 O-ethyl S-propyl phosphate로 추정된다.
        4,000원
        80.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불용성 농축어육단백질(fish protein concentration, FPC)의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외여과막 반응기 (MWCO 5,000)를 사용하여 효소적 가수분해를 시도하였다. 막반응기에서 불용성인 FPC의 막힌현상(fooling)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회분식에서 pepsin으로 1차 가수분해하였으며, 그 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막 반응기에서 pronase E를 사용하여 2차 가수분해하였다. 회분식에서 FPC의 최적가수분해 조건은 45℃, pH 2.0, 기질 대 효소비 150 (w/w)였으며, 이때의 가수분해도는 약 89%였다. 회분식에서 반응속도 상수 Km 및 Vmax는 각각 1.25%, 0.89 mg/mℓ/min이었으며, 기질농도 1.5% 이상에서 기질저해가 있었다. 한외여과막 반응기는 순환속도 474 mℓ/min, 투과압력 15 psi로 작동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투과유속은 증가하였으나 pH에 대해서는 거의 일정하였다. 막반응기에서 기질과 2차 가수분해효소 pronase E의 비 (S/E)는 200 (w/w)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이때의 가수분해물의 생산량은 효소 mg당 702 mg으로 회분식 51 mg에 비해 13배 이상 높았다. FPC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은 1차 가수분해물의 경우 2,500~20,000 Da 영역에 분포하였으며, 2차 가수분해물은 700~10,000 Da 이었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