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1.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4(2). Working with others in organizations, people often need to express conflicting opinions. An argument is the process of harmonizing and compromising conflicting opinions. Many researchers have recognized the value of argument and conducted research on interpersonal argument, ranging from specialized contexts with special issues to more general conversational contexts. However,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research conducted on this importan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spect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ts related to argument and personal success within organizations. Three personal traits - argumentativeness, argumentative flexibility, and verbal aggressiveness - were used to measu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wards argument; and, the time spent for promo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used to assess organizational succes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iscern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participants' personal traits toward argument according to the group they belong to. The participants' background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organization they work for, the type of work they currently do, gender, age, marital status was collected. The results of a survey administered to 202 office workers are discussed in light of implications.
        6,300원
        2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의 우발적이고 충동적으로 발생되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대처능력을 향상시켜 사회에 바람직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공격성 및 사회재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소재 S보호관찰소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 40명 중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대상자에게 6회기 구조화된 해결중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1주일에 1회, 매회 2시간씩 총 12시간을 실시하였다. 집단개입에 대한 분석은 비교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로 이루어졌다. 측정영역은 공격성과 사회재적응력 이었으며, 목표달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행동변화 목표가 집단프로그램을 통하여 성취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공격성 감소와 사회재적응향상을 나타내어 해결중심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들의 사회적응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목표성취에 대한 분석은 대상자들이 설정한 목표를 대부분 성취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입이 참여 동기와 목표성취 동기를 높이며 자신감을 얻게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에 나타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장점을 찾아 칭찬하고 격려하며 이를 강화시켜나가는 해결중심 프로그램은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들에게 내재되어 있던 자신감(competence)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자신감이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응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5,800원
        23.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팀 상호작용, 기본심리욕구, 공격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동시에 운동종목에 따른 요인 간 관계의 경로계수를 비교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는 대학 팀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남자 대학운동선수 26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팀 상호작용, 심리욕구, 공격성 검사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팀 상호작용과 기본심리욕구는 정적 관계 (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본심리욕구와 공격성은 부적인 관계(p<.05)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은 부적 관계(p<.05)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모델과 부분매개모델 간 차이가 유의하고(p<.05), 부분매개모델에서 팀 상호 작용과 공격성의 경로가 유의하여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는 부분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스하키는 팀 상호작용과 기본심리 욕구 간에 정적관계가 나타났고,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 간에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럭비는 기본심리욕구와 공격성 간에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대학 팀 운동선수들의 팀 상호작용과 공격성 및 기본심리욕구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X2의 변화량이 크지 않아 종목별 경로계수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종목에 따라 요인 간 관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4.
        2018.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학교 1학년은 전이의 시기로서, 또래와 교사는 아동들의 사회적 관계형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또래와 교사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 아동 154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행동과 지각된 인기의 관계에서 사회적 선호와 교사 선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또래 지명법을 사용하여 공격성, 사회적 선호, 지각된 인기, 교사 선호를 측정한 후, Mplus 7.0을 사용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과 친사회성 모두 지각된 인기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회적 선호와 교사 선호는 지각된 인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친사회성과 지각된 인기의 관계에서 교사 선호의 매개효과가 나타난 반면 공격성과 지각된 인기의 관계에서는 교사 선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사회적 선호는 공격성과 친사회성이 지각된 인기와 가지는 관계를 모두 매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전이시기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지각된 인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참조자로서 또래와 교사의 역할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2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is to conduct a survey on Plant Attitude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Aggression Scale and Verbal Aggressiveness Scale of 540 elementary schoolchild and to analysis on credi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1. Both Plant Attitude Scale (Importance of plant, function of urban trees, interest on the plant, utilization of pla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 recognition, empathy, emotion control ability) present significant correlation. The higher grade of plant attitude including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entire of plant attitude, the most of subcategorie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dicate significant correlation. Importance of plant and interest on the plant has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s Plant Attitude Scale and Aggression Scale (physical aggression, anger, hostility) present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t shows that the higher plant attitude, the lower aggression. The plant attitude indicates ver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ggression and anger in physical aggression and anger as well as importance with plant. In case of function with urban trees, it shows the higher physical aggression, anger and interest on the plant, the lower physical aggression. While Plant Attitude Scale and Verbal Aggressiveness Scale (Swear, ridicule, taunt, threat, curse) present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higher plant attitude, the lower verbal aggressiveness. The plant attitude indicates that there i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swear, ridicule, curse among the verbal aggressiveness. In the subordinate scope, especially in importance of plant, i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that grade of sear gets lower as the higher swear and curse including case of swear, ridicule and function of urban trees and also there are higher points with sear, ridicule, curse and utilization of plant in case of interest on the plant.
        26.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체육활동이 학교폭력과 관련성이 깊은 자아존중감,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기존의 다양한 체육활동에 대한 실험연구 또는 비교연구 논문을 활용하여 메타분석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개별 이펙트 사이즈 계산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Jared DeFife에 의해 개발된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Hedges & Olkin‘s g를 산출 한 후, 효과크기의 평균과 매개효과 유의 성은 SPSS 메타분석 Macro Program을 통해 분석하였다. 공격성과 관련하여 14개 논문이 연 구에 포함되었고, 이로부터 총 29개 효과크기가 수집되었다. 자아존중감과 관련해서는 19개 논 문으로부터 45개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체육활동은 공격성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공격성에 대한 효과크기 평균값은 -.74, 자아존중감에 대한 평균 효과크 기는 .36이었다. 또한, 체육활동은 공격성 하위 개념 중 신체적 공격성(-1.06)과 적대감(-1.52) 감소에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체육활동은 가족(.24), 학교(.08) 자아존중감 보다 사회(.47), 총 체적(.42)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 이었다. 공격성과 자아존중감 모두에서 학교 급, 체육활동 유형, 연구방법 매개변인의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공격성과 자아개념에 대한 체육활동의 효과는 모두 중학교, 사회 체육활동, 조사연구를 활용한 연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27.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간접적인 숲 체험활동이라 할 수 있는 숲 이미지 산책 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 활동이 제한된 여자 소년원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시행 후 그들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의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의미있 는 수준은 아니지만 다소 완화된 결과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간접적인 숲 체험활동 이 시설에 수용된 비행청소년들의 정서에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년원의 여건상 많은 인원을대상으로 실험하지 못 하였으므로 이번 결과를 일반화시키기는 힘들 것이다. 따라서 청소 년이 아닌 성인, 통제된 시설 수용자가 아닌 일반인 등 다양한 사람 을 대상으로 다양한 척도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풍부 하고 심도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실행된 숲이미지 산책은 시설수용자, 환자, 통제된 작업장 근로자처럼 여건상 직접적인 숲 활동에 제약을 받는 사람들에게 적용하기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우선적으로 자연접 촉의 기회가 부족하고 자유롭지 못한 시설수용자에 대한 시행이 정 책적으로 검토되길 기대한다.
        30.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식물을 소재로 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서울 지역 M 초등학교의 4학년 3개 학급 아동 77명(남자 43명, 여자 34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부터 두 달간 총 8회(18차시)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그 결과 식물을 소재로 한 미술활동 프로그램 운영 후 심리적 안녕감은 167.71에서 173.23으로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성(t=-3.288)이 인정되었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요소 중에서 긍정적 대인관계와 개인적 성장을 제외한 자기 수용(t=-2.555), 자율성(t=-2.050), 환경 통제력(t=-3.166), 삶의 목적(t=3.396)의 향상이 있었고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공격성은 34.43에서 31.71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t=4.739)이 인정되었다. 공격성의 하위 요소 중에서는 주도적 공격성을 제외한 반응적 공격성(t=3.885)과 관계적 공격성(t=2.959)에서 감소가 있었고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공격성은 남자 아동(t=2.667)과 여자 아동(t=5.434) 모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여자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은 167.44에서 176.00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t=-3.016), 남자 아동은 약간의 증가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식물을 소재로 한 미술활동은 아동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과 공격성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여자 아동에게 더 효과적이다. 다만, 심리적 안녕감과 공격성의 하위 요소별 분석 과정에서 그 변화가 크지 않은 점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매우 크지는 않았음을 유추할 수 있다. 그러나 원예활동과 연계해 활발히 연구 및 실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던 미술교과와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였고,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미술교과를 활용해 원예활동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원예활동은 학교부적응 아동의 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 현장에서 미술교과와 원예활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돕는 데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혔다. 식물을 소재로 한 미술활동 외에도 학교교육과정에서 원예활동이 충실히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31.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대상자의 수가 적고 대조군이 없어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연구결과에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교육복지실을 이용하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행동(주의집중력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주의집중력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평균점수가 낮아져 긍적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아동기에 형성된 주의집중력, 공격성, 자아존중감을 좀 더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36.
        200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체력과 운동프로그램이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여 운동변인과 공격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격성은 개인의 특질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발달을 하는데 유아의 운동 또한 이러한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발달을 이루기 때문에 유아기에 공격성과 운동변인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그 두 변인 관계의 해석을 다른 시기보다 객관적 차원에서 규명할 수 있다 하겠다. 서울지역 4곳의 유치원에서 학교와 부모의 동의를 얻은 만 5, 6세의 남녀 유아 322명을 대상으로 체력과 공격성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2곳의 유치원에서 만 5, 6세의 남녀 유아 61명을 대상으로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공격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공격성의 요인인 대물, 대인, 언어 공격성은 남아가 여아보다 모두 높았다. 체력 요인(건강관련체력, 수행관련체력)과 공격성 요인(대물 공격성, 대인 공격성, 언어 공격성)의 상관분석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공격성 요인(대물 공격성, 대인 공격성, 언어 공격성)에 대한 체력 요인(건강관련체력, 수행관련체력)의 회귀분석 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 체력 요인이 공격성 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지 않았으며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은 남녀 유아의 공격성에 어떠한 차이도 주지 못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의 운동변인은 공격성과 관계가 없다고 결론하였다.
        40.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 목적은 학교와 클럽 축구 선수들의 스트레스, 공격성, 자기존중감 그리고 사회성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스트레스와 자기존중감이 사회성과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4개 초중등 학교의 축구부 학생 144명, 4개 프로구단 산하 유소년 클럽 축구부 학생 117명 등 총 261명이다. 연구도구는 스포츠 스트레스 질문지, 공격성 질문지, 자기존중감 질문지, 사회성 질문지이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 및 표준편차, 이원 다변량분석, 단계별 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클럽 축구 선수들은 학원 축구 선수들에 비해 스트레스와 공격성이 적은 반면 자기존중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성은 학원 축구 선수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과 클럽 선수들의 언어적 공격성에는 자기존중감이 영향을 미치고 안정성에는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쳤는데 대부분 공격성에는 스트레스가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으며 사회성에는 자기존중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학원과 클럽의 목적 및 환경을 고려하여 논의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클럽스포츠의 발전을 제언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