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for structured discussion-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s. Its effects on learning attitude, problem-solving process, and clinical competence were then analyzed. Methods: This study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method among 135 fourth-year nursing students taking the simulation course at a university in D city. We operated the PBL by applying the structured discussion method and simulation education based on four modules covering major diseases among adults. The data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Results: The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nursing students’ learning attitude, problem-solving process, and clinical competence. Conclusions: We verified the effects of the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for structured discussion-based learning and PB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and apply simulation educational programs utilizing various devices that can improve learners’ participation and professors’ operational protocols by systematically combining them with different teaching/learning method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program for elderly care, and analyzed its effect on healthcare college students. Method: The study was designed using a quasi-experimental method (single group,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nts were 60 students in the nursing, physical therapy, and biomedical engineering departments.Data were collected using a two-section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paired t-test using SPSS/WIN Statistics version 23.0. Results: Students’ interprofessional attitudes and readiness for IPE learn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 Conclusion: We established that an IPE program can effectively increase interprofessional attitudes and readiness for IPE learning among nursing, physical therapy, and biomedical engineering students.
천체 관측은 다양한 교육적 효과와 가치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구과학 교육의 맥락에서 수행되었던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천체 관측 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해 교사들을 안 내해 줄 체계적인 설계 원리 개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 학생들의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설계 원리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초기 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2차례에 걸쳐 전문가 8인의 검토와 타당화 과정을 거친 후, 고등학교 교사 2 명의 사용성 평가를 바탕으로 천체 관측 단계별 11개의 설계 원리와 27개의 세부 지침을 최종 개발하였다. 또한 최종 설계 원리를 적용하여 8차시로 구성된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고등학교 방과 후 수업에 적용하여 참여 학생들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 결과 개발된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 설계 원리는 야외 관측을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관측 활동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체계적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준거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지금까지 간호사 교육프로그램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었으나, 그 연구를 종합하여 그 효과성을 보여주는 연구가 없었다. 그래서 개별적인 연구를 종합하여 효과성을 검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 교육프 로그램을 주제로 2002~2021년까지 20년간 국내에서 연구된 학술논문 22편(효과 크기 38개)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성을 검정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효과크기는 1.1196로 나타나 유의미한 효과성을 보여주었으며, 효과크기의 동질성보다는 이질성(Q값에 대한 유의확률 p=0.0001, I2 =86.2%)이 확인되어 랜덤효과모델로 해석되었다. 둘째, 효과변인 간의 동질성 검정 결과는 Q =12.07(df=5, p<0.0338), Q-df>0이므로 연구 간 분산이 실제 존재함을 보여준다. 셋째, 조절변인(Alpha와 ST)로 메타회귀분석을 한 결과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넷째, 효과변인 간의 효과크기 차이는 지식(7 개)에서 Hedges’ g=1.7434, 수행능력(6개)에서 Hedges’ g=1.7294, 자기효능감(8 개)에서 Hedges’ g=1.1666, 의사소통능력(5개)에서 Hedges’ g =0.6835, 스트레스 (7개)에서 Hedges’ g =0.6674, 태도(5개)에서 Hedges’ g =0.5648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식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고, 태도의 효과크기가 가장 낮았다. 출판편향을 분석하기 위해 깔때기 그림, Egger의 회귀분석, 안정성계수, 절삭-과-보충, 보정된 깔때기 그림 등을 분석해 본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본 연구의 출판편향의 문제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의미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사회성 및 숲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산림교육 효과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와 체계적인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광주 전남 지역의 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에 참석한 학생들이며 1회 참여자 179명과 반복(5회기) 참여자 112명에 대해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전과 후의 사회성과 숲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교육 프로그램은 참여한 중학생의 숲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숲에 대한 흥미는 1회성 산림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보다 반복 참여자의 사후 변화 값이 높았다. 산림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1회성 산림교육 프로그램은 안정성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반복적 프로그램 참여자의 사회성 변화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산림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따른 사회성에서는 만족도 점수와 상관없이 1회성 및 반복적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결과 중학생의 사회성과 숲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기초자료로서 산림교육 프로그램에 그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 competencies for sales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to maximize profits in fashion retailing. An empirical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9, and data was collected from 200 salespeople and store managers working in fashion stores.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5.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job competencies identified by fashion store managers were: sales sense know-how, customer service skills, and sales person’s fashion style sense, product knowledge, fashion marketing and customer management. The job competency factors for sales training programs included empathy with the customer, product knowledge,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basic job requirement, and sales skills. These five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the employment intentions and expectations of work performance of graduates. These factors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need of sales training program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retraining. Store managers in fashion retail thought the most appropriate period for on-the-job training was either 2-4 days or more than 1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e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job efficiency for salespeople in fashion retailing.
본 연구는 일반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달리 특수한 욕구를 가진 아동을 대리양육하는 전문가정위탁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프로그램 개발 절차인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실무자, 위탁부모 대상의 FGI, 전문가 자문회의, 기존 가정위탁 부모교육 프로그램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가정위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동기부여, 전문성 제고, 관계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였고 전문가정위탁 제도이해, 위탁아동 발달과 특수욕구, 위탁부모 양육코칭, 가족 및 지역체계 파트너십의 4가지 핵심모듈과 12개의 대 주제가 도출하였으며, 전체 교육 프로그램은 20시간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예비 전문가정위탁 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적용해 본 결과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등에 대한 만족도가 5점 만점에 평균 4.9점(응답율 99%)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위탁아동 심리’와 ‘위탁가정 역할’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가정위탁제도의 전국 확산을 위한 표준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SW·AI 인재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SW·AI 인재 확보를 위해 전 세계는 SW·AI 교육에 많은 예산과 시간을 들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도 2015년부터 교육과정을 개편하면서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 SW 교육 내용을 반영하였다. SW중심대학과 AI대학원 교육지원 사업을 통하여 고등 교육기관에도 대규모 예산을 투자하여 SW·AI 인재양성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SW·AI 교육의 양과 질이 모두 부족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 대상의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서 AI 교육 격차가 발생하는 원인이 SW·AI 사전 경험 차이라는 관점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대상으로 SW·AI 경험별 재미, 어려움, 만족도, 기대 정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 SW·AI 경험이 AI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SW·AI 교육을 균등하게 받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교육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SW·AI 교육이 될 수 있도록 SW·AI 교육을 필수 교과로 전환하여 수업 시수 확대 등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천문 유산인 앙부일구와 고대 천문 기록을 활용한 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 적용을 통해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앙부일구와 고대 천문 기록의 TSK 구성적 특성, 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NOS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앙부일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핸즈온 활동으로, 고대 천문 기록은 중·고등학생을 위한 과학 탐구 활동으로 개발했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초등과 고등 집단에게 시범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앙부 일구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절기별 태양 운동에 대한 오개념을 수정하며 개념 지식을 정교화했고, 이후 천구 좌표계 개념과의 연계 가능성을 확인했다. 학생들은 앙부일구의 과학적 가치를 인식했으며, 과학·기술·사회 간 상호작용의 본성을 이해했다. 고대 천문 기록 활동에서 학생들은 귀납 및 연역적 탐구 방법을 경험했고, 다양한 정보와 전략을 활용 했다.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TSK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태도를 발전시켰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in disaster nursing education and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simulation-based disaster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Method: In May 2020, 12 electronic databases were used to conduct a literature search using Korean and English keywords. Simulation, disaster, nursing, and education were among the search keywords. Fourteen studies were selected. The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ies was used to assess study quality. Results: A total of 14 non-randomized studies were selected. Simulation was mainly conducted using high-fidelity simulators and virtual reality simulations. Disaster scenarios included situations such as a bus crash, earthquake, tornado, and toxic chemical exposure in mass casualty incident nursing or disaster drill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thods of simulation interventions, and we found that disaster related nursing competencies such as disaster knowledge, disaster preparedness, disaster performance, confidence, self-efficacy, and ethical reasoning improved in nursing students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Disaster nursing education aims to improve nursing students’ disaster competencies.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significant risk of bias control for confounding variables, attrition bias, and outcome evaluation.
Astronomy is one of the recurrent comtemporary issues in the mass media where news related to comets, new exoplanets, satellites, space tests, etc., frequently appear. From this perspective, students at all levels are especially motivated to learn astronomy. Nevertheless, students’ interest does not improve their astronomical knowledge, which leads student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stronomy in school science. In this context, we felt the need to review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trends in domestic and other countries, especially focused on the educa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program characteristics during last three decades. The total number of analyzed cases is 88(89 for double counting). As a result, we fou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program types and learning method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astronomy education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극지 관련 연구소 및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극지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 학습 특징을 분석하여 국내 극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극지연구소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33개국 45곳의 극지 관련 연구소 및 기관 중 최종적으로 9개국 16곳의 연구소 및 기관에서 현재 운영하고 있는 120개의 프로그램을 선정했다. 교육 대상, 교수자, 교육 기간, 교육 장소, 운영 방식, 교수 학습 내용, 교수 학습 방법을 분석 기준으로 하여 프로그램들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교수자, 운영 방식, 교육 장소, 교수 학습 방법에서 국내외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 토대로 실제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극지 교육의 저변 확대, 극지 교육 프로그램 교육 방법의 다양화, 극지 교육의 체계화 측면에서 국내 극지 교육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본 연구는 극지에 대한 과학, 사회·경제·문화적 가치와 중요성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극지 교육과 문화를 더욱 확산, 지속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TSD(Think:생각, Saying:말, Doing:행동) Mindful Self Coaching 교육프로그램이 성인의 마음챙김 상태에 대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자는 제주지역 성인 28명이며 이들을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본연구의 교육프로그램을 2019년 3월 20일부터 6월 5일까지 주 1회 5시간씩 총 12회 진행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마음챙김 상태에 관한 총 24개 문항에 의해 분석하였고, 사전ㆍ사후 간의 차이를 paired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마음상태에 관한 총 24개 문항 중 19개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마음챙김 상태의 5개 하위영역 중 긍정적 정서, 주의집중, 및 자기조절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마음챙김 상태의 5개 하위 영역 중 주의집중을 제외한 4개의 하위 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TSD Mindful Self Coaching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함께 이를 기초로 앞으로 교육대상자에 따른 보편화와 개별화를 모색할 필요성을 제시해준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morality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MIEP)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EP among nursing students by quasi experimental design. Theoretical framework is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Rest's Four-Component Model: moral sensitivity, moral judge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implementation. Research design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Participants were 75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recruited from S college,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38 students) or a control group (37 students). The two hour education was provided once a week for eight weeks from March to June, 2013.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hisquare-test, paired t-test, unpaired t-test, ANOVA, and MANCOVA with SPSS Windows 18.0 program. The results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increase on the 4 components affecting morality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3.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increase on moral motivation and moral implement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MIEP was effective in improving morality improvement, and especially increasing moral motivation and moral implemen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MIEP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improving nursing students' morality.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linical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S-PBL) on clinical reasoning, confidence in handover reports, confidence in nursing performance, and simulation effectiveness in nursing students. Method: We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4th-year university nursing students who had taken a core clinical nursing practice, and 9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PBL program.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S-PBL program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Results: The S-PBL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clinical reasoning, confidence in handover reports, and confidence in nursing performance. More than 90% of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program and the simulation education effectiveness was 2.54 on a 3-point Likert scale. Conclusion: The S-PBL program could be useful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seeking to become clinical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PBL programs and apply them to the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