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4

        4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s a deciduous shrub of a flowering plant in Oleaceae. It is an important plant resource and consists of only one species in the entire world. A. distichum Nakai is well known an edible, medicinal herb in its habitat districts, but the toxicological evaluation for the safe use of its extract is still insufficient. The study characterized the toxicity of an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ethanol extract in Sprague-Dawley (SD) rats and determined the safe dosage levels in a 13 weeks toxicity study.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ethanol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daily for 2 weeks at 0, 500, 1,000 and 2,000 mg/kg/day to male and female SD rats. while recording the clinical signs of toxicity, body weight, food intake/consumption, eye test and urine analysis. Only the total protein frequency in the urine of male SD rats (p<0.05), the right ovary of the 500 mg/kg group (p<0.01) and the right adrenal gland of the 1,000 mg/kg group (p<0.05) in the female ra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But no toxic effects were noted from repeated-dose administration of the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ethanol extract in the SD rat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 post-mortem examinations showed no test substance-mediated changes. The hematological analysis and clinical blood chemistry data demonstrated no toxic effects from repeated-dose administr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ethanol extract in the SD rat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data suggests that a dose of 1,000 mg/kg/day is a highest treatment to administer when conducting a further 13 weeks toxicity study.
        4,000원
        4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후 연하장애 중재에 포함된 임상가의 조기 접근을 위해 신경근전기자극(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NMES)와 비 침습성 뇌자극(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NIBS)를 적용한 무작위 대조실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효과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CINAHL(EBSCOhost), Psycinfo, 한국학술정보원(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통하 여 2008년부터 2019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용어는 “stroke OR CVA OR cerebrocascular accident OR vascular accident” AND “dysphagia OR swallowing disorder OR deglutition disorder” AND “tDCS O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R rTMS OR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R NMES OR 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AND “RCT OR randomized control trial”, “뇌졸중” 그리고 “연하장애 또는 삼킴곤란” 그리고 “경두개 자기자극 또는 경두개 직류자극 또는 신경근 전기자극” 그리고 “무작위대조실험”을 사용하였다.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총 11개의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결과 : 경두개 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의 전기자극 강도는 1mA, 경 두개 자기자극(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의 전기자극 강도는 3~5Hz, 신 경근 전기자극(Neuromuscular Electronic Stimulation; NMES)의 전기자극 강도는 8~15mA로 다양했으며, tDCS와 rTMS는 큰 효과크기, NMES는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3가지 치료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환자 특성과 중재 방향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3가지 치료는 국내 뇌졸중 후 연하장애 회복에 효과가 있으며 안전하다고 판단한다. 향후 연하장애 회복을 이끄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명확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200원
        4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연골재의 부족으로 골재 수급이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재활용 가능한 재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선진외국에 비해 순환골재에 대한 연구데이터와 그를 사용한 현장 적용실정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사용하는 레미콘 사의 가이드 배합에 순환골재를 전량 치환하는 배합비를 추출하여 압축강도를 평가하였 고 추출된 배합비의 순환골재 콘크리트를 원형강관 내부에 충전하여 순환골재콘크리트충전 합성기둥이 국내ㆍ국외 설계식을 반 영한 내력과 비교하여 구조부재로써 사용이 적합하다고 사료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강관의 콘크리트 구속효과로 인해 강관 내부의 콘크리트 강도가 미세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44.
        2019.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패치 반복을 이용하여 대기광 추정을 통해 개선된 안개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안개 제거 방법은 영상 내에 인공적인 빛이나 밝은 물체가 있는 경우 대기광 추정 시 오차가 발생 한다. 이 방법은 안개 영상의 화소들 중 가장 밝은 값으로 대기광을 추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방법은 패치 쌍 사이의 안개 양의 차이점을 이용한다. 패치 쌍은 안개의 양이 다르지만 유사한 패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기광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통해 각 패치 쌍으로 구한 대기광에 다른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대기광을 추정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안개 제거 성능에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4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진설계기준이 개정됨에 따라 기 시공된 철근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내진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내진철근상세가 적용되지 않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경우 지진이 발생할 경우 취성적인 전단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아라미드 FRP를 이용하여 비내진상세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휨 및 전단내력 보강 후, 실험체를 반복횡하중 가력하여 아라미드 FRP의 내력 상승효과 및 연성능력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무보강 및 아라미드 FRP 보강 실험체를 비교 한 결과 아라 미드 FRP 보강이 비내진상세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력을 증가시키고 연성능력 또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내진상세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아라미드 FRP 보강 시 기둥 뿐만 아니라 접합부의 보강 또한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46.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의 지진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진피해 저감 시스템 중 가장 효율이 높은 제진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댐퍼의 복원성과 에너지 소산 능력을 증가시켜 잔류변형 감소와 사용성 증대 효과를 발생시키는 새로운 제진설계 방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등 기존에 시공된 비내진상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진에 의한 뒤틀림 방지, 횡방향 변위제어 및 진동저감을 위하여 구조물의 양 옆에 원형강봉댐퍼를 설치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2층 철근콘크리트골조 실험체를 반복횡 하중 가력 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무보강 및 보강 실험체들의 실험결과를 비교한 결과 외부보강용 원형강봉댐퍼 시스템이 2층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강성과 에너지소산면적을 증가시켜 내진성능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원형강봉댐퍼가 지진 에너지를 소산하여 지진력을 흡수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48.
        2019.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 case study on aspect ratio behavior, Kaolin, zeolite, TiO2, pozzolan and diatomaceous earth minerals are investigated using wet milling with 0.3 pai media. The grinding process using small media of 0.3 pai is suitable for current work processing applications. Primary particles with average particle size distribution D50, ~6 μm are shifted to submicron size, D50 ~0.6 μm, after grinding. Grinding of particles is characterized by various size parameters such as sphericity as geometric shape, equivalent diameter, and average particle size distribution. Herein, we systematically provide an overview of factors affecting the primary particle size reduction. Energy consumption for grinding is determined using classical grinding laws, including Rittinger's and Kick's laws. Submicron size is obtained at maximum frictional shear stress. Alterations in properties of wettability, heat resistance, thermal conductivity, and adhesion increase with increasing particle surface area. In the comparison of the aspect ratio of the submicron powder, the air heat conductivity and the total heat release amount increase 68 % and 2 times, respectively.
        4,000원
        49.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규모 유한요소 모델을 빠르게 해석하기는 위해서 병렬 희소 솔버를 필수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이논문에서는 미세하게 변화하는 시스템 행렬을 대상으로 연속적으로 해를 구해야 하는 문제에서 효율적으로 적용가능한 반복-직접 희소 솔버 조합 기법을 소개한다. 반복-직접 희소 솔버 조합 기법은 병렬 희소 솔버 패키지인 PARDISO에 제안 및 구현된 기법으로 새롭게 행렬값이 갱신된 선형 시스템의 해를 구할 때 이전 선형 시스템에 적용된 직접 희소 솔버의 행렬 분해(factorization) 결과를 Krylov 반복 희소 솔버의 preconditioner로 활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PARDISO에서는 미리 설정된 반복 회수까지 해가 수렴하지 않으면 직접 희소 솔버로 해를 구하며, 이후 이어지는 갱신된 선형 시스템의 해를 구할 때는 최종적으로 사용 된 직법 희소 솔버의 행렬 분해 결과를 preconditioner로 사용한다. 이 연구에서는 첫 번째 Krylov 반복 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동적으로 계산하여 최대 반복 회수를 설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주파수 영역 해석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 하였다.
        4,000원
        5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미와 유럽 등지에서 주거용 주택소재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구조단열패널(SIP)의 구조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면내전단하중 시험을 수행하였다. 국외의 경우, 구조단열패널의 기준과 관련된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구조단열패널에 대한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성능평가와 관련된 연구는 극소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단열패널을 내력벽으로 활용하기 위한 구조성능평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벽체에 개구부 설치 후 면내전단하중을 가력하였다. 실험체의 크기는 2,400×2,400㎜이며, 변수로는 개구부의 크기와 개구부 보강방법이다. 실험체의 수량은 총 8개이다. 개구부가 있는 구조단열패널의 구조 해석을 수행 하였다. 해석 결과는 구조 실험 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구조단열패널의 구조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해석 모델을 완성하였다. 개구 크기를 변수로 하여 면내전단하중을 받는 구조단열패널의 거동을 유한 요소 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구조단열패널의 최적 개구부 크기를 제안한다.
        4,000원
        54.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까지 한우개량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기술은 웅성 유전자원의 동결용 정액을 활용하는 인공수정기술로서 개량에 최소 6 세대 이상 즉, 암송아지만을 생산한다는 가정에서 15~20 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생산되는 산자 수 또한 한정적이다. 가축개량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정란이식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호르몬 투여에 의한 과배란 유래 체내 수정란 및 체외 수정란 생산 방법이 개발되어 활용되어 왔다. 체내 수정란 생산방법은 혈통관리는 정확하나 수정란 생산을 위해 호르몬 과다 투여에 의한 휴식기간 등이 필요하며 수정란의 생산량의 한계로 산업화 적용에 비효율적이고, 근래에 체외수정란을 활용되면서 도축 유래 수정란을 활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친자 검정의 한계로 인한 친자 불일치 및 고도근친 위험성 등이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효율적인 이식 가능한 수정란의 생산이 가능한 OPU 유래 수정란 생산기술은 살아있는 공란우에서 난자를 채취하여 체외수정란을 생산함으로써 혈통관리가 정확하고 우수유전 자원을 선발 활용함으로써 계획 교배에 의한 근친도와 개량의 폭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정란의 생산 가능 량은 3~4 개월에 약 60 여 개의 이식 가능한 수정란을 대량 생산으로 산업화에 적합한 수정란 생산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발된 공란우의 반복 사용으로 우수 유전자원의 수정란을 대량생산에 활용하기 위해서 2013-2016 년까지 매년 3-4 개월 동안 주 2 회 채란 및 수정란을 생산하였고 채란 완료 후 일정 기간의 휴식한 다음 다시 채란에 활용으로 2 회 이상 수정란 생산으로 수정란의 반복 생산 가능성 및 생산 효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 반복의 공란우는 총 24 두와 3 반복은 7 두를 3-4 개월 동안/년 매주 2 회 총 1,626 회 채란으로 평균 3.6±2.9 개의 수정란이 생산되었다. 특히 채란 시 생산된 수정란은 채란 횟수당 1 회 반복에서 3.9±2.8 개, 2 회 반복은 3.3±2.7 개 및 3 회 반복은 3.5±3.3 개로 확인되었고, 3 회 이상의 반복 채란된 개체 7 두를 분석한 결과 1 회 반복 채란에서 평균 3.63±2.79 개, 2 회 반복은 평균 3.70±2.84 개 및 3 회 반복은 년 3.51±3.32 개로 반복 채란에 수정란 생산에 활용하였으며 반복 채란에 의한 수정란의 생산효율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축개량을 위해 산업화에 가장 적합한 수정란 생산방법으로 유전능력이 우수한 한우에서 대량의 수정란을 생산하여 우량한우 집단구축을 위하여 약 3-4 개월 동안 매주 2 회 수정란을 생산하고 일정기간을 휴식한 다음 공란우로써 재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또한 OPU 유래 수정란 생산방법은 우수한 유전자원을 보유한 개체를 연속적이며 반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5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확 전 키토산(100mg·L-1 동량의 염화칼슘 포함) 처리가 황육계 키위프루트 ‘한라골드’ 의 저장 중 품질과 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키토산 처리 과실은 저장 60일까지 무처리 과실보다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전분도 높았지만 에탄올 불용성물질의 차이는 없었다. 수확기의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칼슘-키토산 처리에서 낮았으나, 저장 중 전분의 감소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저장 1개월 후에는 처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유리당(포도당, 과당, 자당) 함량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따라서 수확 전 칼슘-키토산 처리는 과실의 성숙을 지연시켰으나, 후숙 과정에서는 당 축적을 저해하지 않았다. 수확 시의 칼슘-키토산 처리 과실의 수용성 펙틴은 무처리보다 낮았지만 고분자 분획이 더 많았고 반면에 킬레이트 및 알칼리 용해성 펙틴은 대조구보다 높았다. 저장기 간 중 α-L-arabinofuransidase와 pectate lyase의 활성이 칼슘-키토산 처리 과실에서 지속적으로 낮게 유지되었으며 α-mannosidase, polygalacturonase, xylanase, β-galactosidase는 칼슘-키토산 처리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또한 칼슘-키토산 처리는 세포벽 결합 칼슘을 증가시켜주었다. 결론적으로 수확 전 칼슘-키토산 처리는 과실의 성숙 과정을 지연시키지만 경도를 높여주었고, 후숙(ripening) 이후에는 당도를 비롯한 내적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4,500원
        5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반복적인 읽기와 실패 및 성공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이 포함된 동화 게임 읽기가 실패 두려움의 특징을 보인 한 ADHD 아동의 실패 두려움 극복에 효과적이었음을 관찰하고 이 사례에 대해 보고한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에 사용된 동화 게임 <어부와 지니>는 읽기 스크립 트와 BCI와 모션센싱 기술을 활용한 행동과 집중력 미션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콘텐츠와 인터랙션 하도록 하고, 아동이 책읽기 도중에 실패할 경우 포기하지 않고 미션을 완수 해 줄 것을 독려하여 동화를 끝까지 읽고 이해하기의 목표에 성공하도록 디자인되었다. 동화읽기 실험은 참여자 아동을 대상으로 준비기 1회, 중재 4회의 총 5주 동안 실행되었다. 참여자가 콘텐츠를 읽는 과정 동안 데이터가 수집되고, 참여 관찰을 통해 아동의 읽기태도와 행동을 살펴보고, 사후 보호자 인터뷰를 하였다. 실험 결과, 아동에게서 실패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이는 아동이 동화 게임 <어부와 지니>를 읽으며 반복적으로 경험한 재미있는 실패가 수행에 참여하는 아동의 수치심 경험으로 작용하지 않고 자기가치감을 손상하지 않는 실패로 경험됨으로써 그 결과 아동이 실패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도록 도운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4,000원
        6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ructural insulated panels, structurally performed panels consisting of a plastic insulation bonded between two structural panel facings, are one of emerging products with a viewpoint of its energy and construction efficiencies. Of the SIPs, Cyclic test was conducted by two kinds of specimens: single panel and double panels. Cyclic test results, which were equivalent to static test results, showed that maximum load was 45.42kN, allowable shear load was 6.3kN/m. Furthermore the accumulated energy dissipation capability for double panels was as 2.3 times as that for single panel. From performance of structural tests, the allowable shear load for panels was suggested to be at least 6.1kN/m.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