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시스템 사고가 과학 자기 효능감을 구성하는 요인인 자기 조절 효능감과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생의 과학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시스 템 사고를 설정하고, 시스템 사고가 자기 조절 효능감을 매개로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 였다. 광역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중 이공계열로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20문항과 과학 자기 효능감 검사 도구 중에서 자기 조절 효능감을 알아보는 11문항과 자신감을 알아보는 8문항, 총 39문항을 투입하였으며 성실하지 못한 응답지 22부를 제외한 188부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는 20문항이 모두 의도한 요인에 적합한 결과가 나왔으며, 자기 조절 효능감은 8문항이, 자신감은 4문항 이 적합한 결과가 나왔다.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한 모델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시스템 사고 5개 요인 중 학생 개인의 사고과정을 살펴보는 시스템 분석, 개인숙련, 정신모델 3개 요인이 자기 조절 효능감 및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모델의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여주었다(χ 2 =344.498, df=242, TLI= .921, RMSEA= .044). 또한 시스템 분석, 개인숙 련, 정신모델 중 시스템 분석과 정신모델이 직·간접적으로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신모델의 경우 자기 조절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시스템 사고가 과학 학습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시스템 사고를 활용한 과학 학 습에 대하여 구체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Unlike accidents on land, marine accidents can not be supported rapidly from the outside. For this reason, The initial response and damage control system are critical. Cruise Lines International Association (CLIA) reported the necessity of the damage control system to IMO in the early 2000s. Even though the installation of these systems is not compulsory, the damage control system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bout 60 cruises. The key component of damage control system is supporting the decision-making using 'KILL Card'.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velop the shipboard training scenario for the foundation of 'KILL Card'. We made scenarios for fire and flooding through the analysis on existing scenarios, marine accident case and relative regulation. The suggested shipboard training scenario based on damage control system enables the crew to response with rapid decision-making to damage in emergency situ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천문 수업에 대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서 나타나는 시스템 사고를 분석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4명의 중학교 8학년 과학 교사의 천문 단원 수업을 녹화하였고 녹화된 수업은 모두 전사하였으며, 선행 연구의 시스템 사고 위계 구조를 수정하여 개발한 시스템 사고 분석틀을 적용하여 이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분석 후 참여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지향과 교수학적 생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디오 자극 회상 면담을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참여 교사들은 천문 수업에서 시스템 사고의 위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만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학생 중심의 교수 지향을 지녔다 하더라도 시스 템 사고의 교수 실행은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수업의 교수 실행에서 시스템 사고가 부족하게 나타나는 것은 공간적 사고에 보다 집중하는 것과 지구과학 비전공 교사로서의 천문 내용 및 형성 평가 지식 부족 때 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천문 수업에서 효과적인 시스템 사고의 도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incidents related to transporting hazardous materials may cause serious impacts on neighborhood and surrounding areas. It is essential to have a real-time safe management system for incidents prevention of transporting hazardous materials. Currently, the system is not integrated into one channe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trol an incidents response. Another problem is that event status is not appropriately shared among authorities having responsibilities taking down the incidents. This paper investigates previous studies covering the real-tim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hazard material transports and suggests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at helps communicate effectively and promptly.
In these days, hazards in laboratories are consistently increasing due to high technological advance in modern science. Efforts to prevent accidents in laboratories became law named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 LABORATORY ENVIRONMENT]. The law made laboratories more safely but it’s not enough to keep up laboratory safety in advanced countries. To improve laboratory safety, this study reformed laboratory emergency response flow chart based on each emergency scenarios and its evaluated hazards in laboratories applied wireless hazard detecting equipments.
This study proposes automation measures of anti-collision detection within EMS(Electrical Mono Rail System). EMS is a full automation transport equipment mainly used in production process, such as car manufacturing planets, electronic factories and food processing plants among manufactures. This research paper presents a plan for creating a smart EMS and overcoming an weakness of EMS. The mechanical strength and durability are ensured in the expected major collision region by performing a CAE analysis. Automated equipment has to respond to a sudden accident which is based on the self-image recording function and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This equipment will record a sudden crash course in real time and record it. This record eventually becomes known to distant places with users. Because of this equipment, the unexpected accident is prevented and is reduced a human damage and is expected to improve productivity. Therefore, thi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full automated conveyor controller is developed within from 3 to 4 millimeter stop range according to increase of load weight in 1.5 tons. The second, wireless image recording system for the measures of unexpected accident is developed through the CAE analysis of main parts for the exact stop control. The most important final purpose of this research is developed the wireless image recording system for the unexpected accident.
The disaster and safety accidents in any construction site occur inevitably. Since the on-site disaster and accident occurrence became one of major concerning factors in construction site, architects & building executers have been flooded with safety management advi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afety Patrol Management System(SPMS) upon the reduction of disaster & accident occurrences in construction site. In order to estimate and reduce the disaster and accident ratio in construction site, various surveyed data has been analysed. It will establish the suitable design standards and suggest the basic database for estimating disaster and accident ratio.
본 연구에서는 해안사구의 훼손원인과 경관을 구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핵심종의 생태적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생태·경관보전지역인 하시동·안인사구의 훼손에 대한 복원방향을 제시하였다. 해안사구의 훼손원인과 핵심종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순환적 피드백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인 시스템 사고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해안사구 훼손의 인위적 원인으로 나타난 곰솔 방풍림이 해안사구에 훼손을 줄뿐만 아니라 수달의 생태적 특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해안사구의 훼손원인 관리에 있어 부족했던 식재의 관리방안의 필요성을 도출해 내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인과지도에서는 변수들의 정량적 데이터를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인과지도를 바탕으로 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을 구축하여 연구의 타당성과 효율성 검증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시스템다이내믹스는 사회과학, 자연과학을 통틀어 다양한 현상을 체계화 시키고 동태적인 인과관계의 과학성을 분석하는데 있어 유용한 분석 방법론이다. 단기적 혹은 장기적인 사회성장에 관한 전략을 제시하거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례를 모아 원인을 분석하고 종합적인 고려를 통해 사고가 재 발생되지 않게 하는 정책을 제시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