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휠, 멤버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인장강도 580MPa급 열연강판의 버링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판의 신장 플랜지성(stretch-flangeability)에 대한 미세조직 및 열간압연후 냉각인자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열간압연후 3단 냉각제어 및 권취온도의 극저온화에 의하여 신장플랜지성이 우수한 페라이트-베이나이트 복합조직강의 제조가 가능하며, 3단 제어냉각에서 강판의 온도를 Ar3 직하의 페라이트변태역에서 일정 시간 유지하면 페라이트 변태 및 NbC의 석출이 조장됨을 확인하였다. 페라이트-베이나이트 복합조직 열연강판의 우수한 신장플랜지성은 3단 냉각 및 극저온 권취에 의한 등축 페라이트 분율의 증가, 입계 세멘타이트의 미세화 및 구성 상간의 경도차 저하에 의하여 타발공정에서의 미소균열 생성 및 전파가 억제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울러 0.08wt%C-1.5wt%Mn-0.04wt%Nb 성분계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 580MPa급 페라이트-베이나이트 복합조직 열연강판은 연신율 22% 이상, 구멍확장율 (신장플랜지성) 90% 이상의 재질특성을 가지며, 버링비 60% 이상의 자동차 휠 디스크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곰팡이 독소인 ochratoxin A(OA)는 신장독성, 최기형성, 발암성 및 면역독성을 나타내며, 식품, 곡류 및 정육 등에 잔류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된장, 간장등 발효식품에서도 OA가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어 OA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A의 전반적인 위해성 평가의 일환으로 OA의 독성 표적장기인 신장에 초점을 맞추어 신장독성 감소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신장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상물질로는 1) 기존에 독성감소 물질로 알려진 phenylalanine(Phe), 2) phenylalanine과 aspartic acid로 구성된 감미료인 아스파탐(Asp), 3) 녹차의 성분이며 free radical scavenger 및 antioxidant 작용이 있는 polyphenol(PP), 4) 최근 수명연장 효과가 있고 특히 신장질환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aloe 추출물(AE)을 선택하였다. 신장독성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OA를 2.0 ㎎/㎏의 용량으로 2주간 연속 경구투여하였다. Phe(40 ㎎/㎏, i.p.)과 Asp(25 ㎎/㎏, p.o.)은 OA(2.0 ㎎/㎏, p.o.)와 병용투여하였으며, PP(200 ㎎/㎏, p.o.)는 OA 투여 2주전부터, AE(50 ㎎/㎏, i.v.)은 3일전부터 전처리하여 OA(2.0 ㎎/㎏, p.o.)와 2주간 병용투여하였다 신장독성의 확인은 혈청중 BUN, creatinine치 및 뇨중 γ-glutamyltranspeptidase와 N-acetyl-β-D-glucosarninidase의 활성을 측정하였고, 신장에 대한 조직병리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OA를 2주간 2.0 ㎎/㎏용량으로 투여한 결과 신장독성이 유발되었으며, 독성 감소물질로 사용한 4개의 화합물 모두 혈액 및 뇨중 신장독성 지표를 유의성있게 감소시켰다. 조직병리 검사결과 OA에 의하여 신장의 근위세뇨관에 변성이 유발되었으며, 4개의 화합물 처리군에서는 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he, Asp, PP및 An는 모두 OA에 의한 신장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OA에 의한 신장독성 유발에는 Phe에 대한 경쟁작용 및 free radical생성이 관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on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 and static stretching on calf muscle tightness. The subjects consist of 9 hemiplegics, and 9 quadriplegics. The eighteen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pro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6 persons), static stretching(6 persons) and control(6 persons). Contract relax antagonist contract and static stretching techniques were applied continuously for twenty minutes each. Of the many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s, only the contract relax antagonist contract technique was applied. The static stretching technique was applied with the subject placed in standing on a seventy degree inclined tilt table for twenty minutes. A wedge was placed under the feet to obtain maximum dorsiflexion. Wedge thickness varied with each subject. Results revealed: (1)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p<0.05). (2)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act relax antagonist contract and static stretching groups(p<0.05). (3) At day five, the final increments were: contract relax antagonist contract , static stretching (meanstandard deviation).
High salinity common in reclaimed soil can reduce germination of crop seeds and aftermath its establishment and production. The experiment was done to measure germination and radicle elongation of berseem, subterranean, white clover and Italian ryegrass a
Thirty healthy adults aged 20 to 29 with no history of musculoskeletal or neurogenic disorder volunteered for this study. The contract-relax with agonist contration(CRAC) was applied to the right hamstring muscles with the subject in the supine position. Each hamstring group was stretched on three sucessive days with several repetitions of the technique lasting 1min, 3min, and 5min. respectively. Hamstring extensibility at the knee(ROM)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stretching using on electronic digital inclinometer(EDI). The results, namely the increase in ROM, were analysed using one-way repeated ANOVA at p<0.05.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Possible factors influencing the results are excessive sensitibi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atus of the subjects, and the level of muscle fatigue. The mean increases in ROM were 3.0 at 1min., 2.6 at 3min, and 2.1 at 5min. Inclusion of a control group would have further defined the effects of the stretching technique.
다른 生長條件(growth chamber, outdoor)과 室素施肥條件(N 0, N 60kg ha-1')에서 자란 Perennial rye- grass잎에 있어서 葉伸長率(LER)과 伸底部位의 空間的 移動 및 細胞의 伸長등을 알아보고자, 잎 基部내 伸長部位의 O~30mm에 pin처리를 하고 일정시간후 Pin hole의 이동거리로서 長을 조사하었으며 표면복 제방법에 의해 細胞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Growth chamber에서 자란 목초의 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