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

        41.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상분지 북동부 보경사화산암체에 대하여 암석성인 및 지구조적 위치에 중점을 두고 화산암류의 암석기재적 및 암석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보경사화산암체는 주로 내연산응회암과 규장암으로 구성되고, 유문암질 응회암이 인접하여 분포한다. 내연산응회암은 용결구조를 나타내는 부석편, 사장석, 석영, 각섬석의 반정 그리고 암편으로 구성되는 회류응회암이다. 내 연산응회암과 규장암은 각각 SiO2함량이 68∼71wt%와 77wt%로서, 내연산응회암은 데사이트/유문데사이트, 규장암은 유문암의 조성을 나타낸다. 이들 화산암들은 TAS 성분도와 AFM도에서 칼크-알칼리암 계열의 특성을 보인다. 화산암류의 주성분 변화도에서TiO2, Al2 O3, FeOT, MnO, MgO, CaO는 SiO2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K2O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칼크-알칼리암의 분화경향을 나타낸다. MORB값으로 표준화한 미량원소의 거미그림에서 K, Rb, Th와 Ta 함량은 비교적 부화되어 있으나, Nb, Zr, Hf, Ti, Y과 Yb 함량은 MORB와 비슷한 낮은 값을 나타낸다. 운석값으로 표준화한 희토류원소 변화도에서 경희토류원소가 중희토류원소에 비하여 많이 부화되어 있다. 이러한 미량원소 조성과 희토류원소 변화 경향은 이들 화산암류가 대륙연변부 섭입대의 조구적 환경에서 형성된 전형적인 도호 칼크-알칼리화산암임을 지시한다.
        4,900원
        42.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청송 주왕산지역 대전사 현무암의 산출 상태 및 분포 양상을 검토하고, 암석기재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야외 조사 결과, 주왕산 화산암체의 최하부층에 해당하는 대전사 현무암층은 전체적으로 12매의 용암과 9매의 페페라이트가 교호하며, 각 용암과 페페라이트의 암층의 두께는 다양하다. 본 층에서 나타나는 페페라이트는 현무암과 세일이 혼합되어 있으며, 현무암은 쇄설의 형태로 나타나고 세일은 현무암의 기질을 메우는 간극상을 이룬다. 이는 용암이 분출하여 고화되지 않은 젖은 세일층 위를 흐르거나, 관입으로 인해서 용암과 퇴적물 사이의 접촉부에서 생성된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 페페라이트는 조직상으로 구상 페페라이트로 분류할 수 있다. 현무암류는 육안으로 반정이 관찰되지 않으며 기공이 없는 치밀한 현무암이지만, 한 단위의 용암층 내에서 상부에는 다공질의 현무암이 발견되기도 한다. 경하에서의 현무암류는 주된 반정 광물로 가상의 감람석을 가지며, Mg#이 높은 암석에서는 사장석과 단사휘석의 반정도 보인다. 석기는 주로 서브오피틱 조직을 보이지만, 국지적인 냉각률의 차이로 인한 오피틱 조직과 인터그래뉼라 조직도 관찰된다. 사장석은 대부분 라브라도라이트(An55.0∼67.7)이며, 일부 안데신(An44.3)과 바이토우나이트(An74.5)로 분류된다. 단사휘석의 평균 조성은 Wo41.6En45.1Fs13.3으로써 보통휘석에 해당한다. 불투명 광물은 티탄자철석과 티탄철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4,000원
        4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남지역의 초염기성암체는 주로 활석과 석면광상의 모암을 이루는 사문암체로서 홍성-광천과 온양-유구-청양을 연결하는 선 내부의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복합체내에서 북북동 방향에 따라 단속적으로 평행하게 발달하는 10여개조의 렌즈상관입암체들이다. 사문암체의 규모는 폭 수십 cm∼1km, 연장 수 m∼5km로서 곳에 따라 그 규모가 다양하다. 이 사문암들은 주로 SiO2(평균 39.99wt.%)와 MgO(평균 38.46wt.%)로 구성되었고, Cr(〉1011ppm), Ni(〉1660ppm) 및 Co(〉80ppm)의 함량이 많다. 이 사문암들은 주로 사문석의 양이 50% 이상인 것이 대부분이며, 부위에 따라 기원암의 잔류광물인 감람석과 휘석, 크롬철석 등이 발견되는 데 사문암체 내에는 부분적으로 이들 잔류광물의 함량이 50% 이상 되는 사문석화감람암과 활석 및 석면광체를 포함한다. 충남지역 사문암의 기원암은 알파인형 초염기성암으로서 약간 결핍된 상부 맨틀(깊이: 30∼40km)기원의 더나이트 내지 해즈버자이트였으며, 대규모 단층을 따라 상승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들 사문암의 기원암으로부터의 주 사문석화작용은 충남지역에서 일어난 녹색편암상 내지 각섬암상의 광역변성작용시에 일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4,600원
        44.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북동부 대흥안령(大興安嶺) 지역 중생대 화산암류의 암석학 및 전체적인 암석화학적 특징을 파악하고, 동북아시아 지역의 중생대 화산암대의 지체구조적 환경 비교 및 성인 연구를 하였다. 주성분 화학조성의 특징은 주로 알칼리-서브알칼리계열의 현무암-현무암질 안산암-안산암-데사이트 및 유문암 조성을 보이고, 전형적인 BAR(현무암-안산암-유문암)의 암석조합을 나타낸다. 그러나, 각 화산분출 단위에서는 산성의 유문암질 성분과 염기성의 현무암질 성분이 많은 반면, 중성 성분이 비교적 결여되어 있는 바이모달 특징을 나타낸다. 미량원소 함량 조성의 전반적인 특징을 보면, Rb, Ba, Th 등 불호정성원소들이 부화되어 있으며, 불호정성이 작아지고 호정성이 증가할수록, 즉 Cr, Ni로 감에 따라 그 함량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인다. 또, 희토류원소가 상당히 분화되어 있으며, LREE, Rb, Ba, Th, K 등 불호정성원소의 함량이 높으며, LILE/HFSE 비가 높은 특징을 보인다. Hf-Th-Nb 성분도에서도 본 지역의 화산암류들은 판이 침강 섭입하는 판경계부에서 생성된 마그마로부터 유래하는 조구적 위치에 도시된다. 이는 현재 대흥안령 지역의 지체구조적 위치가 아시아 대륙내부에 위치하나, 화산암류가 형성될 당시에는 지판이 섭입하는 대륙호 환경이었거나 또는 이미 침강섭입된 판으로부터 지구화학적인 혼염된 맨틀 플룸의 영향을 받았음을 추측할 수 있다.
        4,600원
        45.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암석 코아의탄성계수 측정에 동적방법은 잘 사용되지 않을뿐만아니라 그 값은 설계에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그이유는 동적으로 결정한 탄성계수 값이 정적으로 결정된 값보다 매우 큰 것 (약 10배)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이논문에서는 암석 코아의 동적과 정적 시험결과를 제시하였다 도출괸 결과는 :1) 실내탄성파시험으로 매우 일관성 있는 탄성계수가 결정되고 2) 변형율에 따른 암석 코아의 비선형 변형특성의 잠정적 모델이 제시되었다.
        4,000원
        4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천대의 남서대와 영남육괴의 북서 경계부에 대략 평행한 2열로 분포되어 있는 전주 및 순창 엽리상화강암류의 근원마그마의 분화과정 및 성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양 암체의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주성분 원소의 분석결과는 전주 및 순창엽리상화강암이 암석화학적으로 퍼알루미나 또는 칼크알칼리 계열에 속함을 보였으며, 기존의 화강암류 성인에 대한 I/S형 및 자철석/티탄철석 계열의 분류기준을 적용할 경우 비록 원소화학적으로는 I-형과 자철석 계열이 우세한 경향을 보이지만 일관성있게 분류되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주성부 원소의 분석결과에 의한 CIPW norm 조성에서, 전주암체는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화강섬록암에서 화강암으로 진화되는 반면, 순창암체는 화강섬록암에서 석영몬조섬록암으로 진화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는 양 암체가 지각물질과의 동화 혹은 결정분별과정 등을 포함하는 마그마 진화의 후기 과정에서 서로 상이했음을 시사한다. 전주 및 순창암체의 희토류원소 분포형태는 양 암체 모두에서 Eu(-) 이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LREE가 HREE에 비해 극도로 부화된 경향을 보여 서로 매우 유사했다. 이러한 희토류 원소의 분포형태는 우리나라의 선불국사 화강암류에서 보여지는 공통적인 희토류원소의 분포형태와 유사한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전주 및 순창엽리상화강암이 그 조성에 있어 서로 유사한 근원암 즉, 화성암질 조성을 갖는 대륙지각의 부분용융에 의해서 형성된 마그마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서로 유사한 마그마 분화정치과정을 거쳤음을 시사한다.
        4,500원
        4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천습곡대 중앙부에 해당하는 문경지역예 분포하는 각섬암에 대하여 정밀한 산상, 조직 및 지화학적 성질을 조사하고, 지구조적 환경을 추적했다. 본역의 상내리층(옥천층군)과 석회암층(조선누층군)에 분포하는 각섬암은 변성된 조립현무암질 암상이며 주변암과 조화적로 분포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본 암석의 분포를 이전의 그것에 비해 크게 대선하였다. 상내리 지역을 중심으로 관찰한 암상을 최소한 4매 이상이다. 그 하나는 석회암층 내에 분포하며(Ls Sill, 두께 약 3 m), 나머지는 상내리층 내에 분포한다. 상내리층 내에 분포한 암상들을 하부로부터 각각 First Sill(두께 약 40 m), Second Sill(두께 약 100 m), Third Sill(두께 약 40 m)로 명명했다. 두꺼운 암상은 후기에 관입한 소규모의 암상을 포함하며, Third Sill은 2매의 주 암상과 2매의 소규모 암상으로 구성된다. 각 암상은 주변암과의 접촉부에서 세립질의 냉각대를 가지며, 내측으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증가한다. 두꺼운 암상은 다양한 암맥과 중심부에서 힌색의 단편을 가지며, 접촉부에서 중앙부로 감에 따라 화학적 성질도 규칙적으로 변한다. SiO2, Na2O, K2O, P2O5는 증가하며, TiO2, FeO*, Al2O3, CaO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각섬암의 산상과 화학적 특징을 고려하여, 초기에 관입한 마그마로 생각되는 대표적인 10개의 화학조성을 선택하여 그들의 주성분 및 부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들이 보여주는 조성변화는 단일 마그마의 분별결정작용으로 설명할 수 없다. 본 역의 각섬암에 관한 지질분포, 지화학적 특성 및 과거 연구자들의 자료는 각섬암의 원암(현무암질마그마)이 intracontinental rift 환경에서 암상형태로 관입하였음을 지시한다.
        4,800원
        48.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retaceous granitoids related to base metal mineralization in the studied area consist of hornblende - biotite granite, leucocratic granite and micrographic granite. The major - and trace element data from granitoids, when plotted on the Hacker diagram, average contents of Al₂O₃, CaO, Mg0 and Fe₂O₃ decrease while SiO₂ increases in granitoids from Dolsan toward Namhae and Kwangyang areas. Average content of Rb is higher in Kwangyang area while Ba and Sr decrease in granitoids from Dolsan toward Namhae and Kwangyang, and as shown in triangular diagram of RbBa-Sr, which indicates gradual differentiation of granitic magma from Dolsan toward Namhae and Kwangyang. And, studies of major element variation, calc-alkaline index(61.5) and AFM diagram of granitoids indicates that granitoids have been crystallized from a calc-alkaline magma generated by partial melting of the subducted Pacific Oceanic Crust(or Kula plate) at the compressional plate margin, that is, the volcanic arc. Na₂O/K₂O ratio and magnetic susceptibility of granitoids indicate that they belong to I-type and magnetite series. As shown in atoms against pressure diagram, variation to the number of cations Al^(4+) Al^(6+), (Al+Fe^(3+)^(6+), Si, (Mg+Fe^(2+)), and A-site (Na+K) in amphiboles are shown as functions of estimated crystallization pressure, which the amphibole in granitoids crystallized in the pressure range of 1.8 - 3.0 kbar. According to the two-feldspar geothermometry on granitoids of Kwangyang, Dolsan and Namhae areas, the temperature of cessation of exsolution in perthitic alkali feldspars are 476 - 607℃, 489 - 640℃ and 465 - 629℃, respectively, at assumed pressure of 3 kbar, which may be the result of rapid crystallization in the shallow crustal level(5 - 7.5 ㎞).
        5,700원
        49.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ranitic rock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yeongsang basin, Korea, are divided into seven masses based on the petrographical features. They are generally characterized by shallow-depth intrusions.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amphibole and biotite from the granitic rocks show systematic variations in Fe/(Fe+Mg) ratios as well as Mn and F contents. Hornblende geobarometer indicates low pressure condition (less than 2.3 kbar) at the time of final crystallization of hornblende crystals. The composition of biotite indicates that oxygen fugacity has been almost buffered during crystallization regardless of rock types. The oxygen fugacity is presumably close to the value of Ni-NiO buffer. From the Fe-Ti oxide geothermometry, it seems likely that most of the Fe-Ti oxides have been re-equilibrated during cooling and have suffered oxidation under subsolidus condition.
        6,100원
        50.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outhern margin of Euiseong sub-basin north of Mt. Palgong, Daegu is composed of Cretaceous elastic sediments, which were intruded by Palgongsan granitic rocks at the end of Cretaceous period. During investigation of the heavy minerals extracted from the sediments, plenty of the unstable heavy minerals like epidote and garnet etc. compared to other parts of Kyungsang basin necessitated the study of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diagenesis of the sediments. The occurrence of those unstable heavy minerals such as epidote and garnet seems to be associated with intrusion of Palgongsan granite and accompanied metamorphism. Twenty four representative specimens throughout the area were studied for grain size analysis and clay mineralogy. The grain size ranges from fine to medium sand fraction, showing fining upward trend from Nagdong through Hasandong, Jinju, Iljig, Hupyeongdong to Jeomgog formations. The sand grains are moderately sorted, normal to very negatively skewed, and mesokurtic. The bivariant grain size analysis tests such as skewness vs standard deviation (Friedman, 1967) and mean diameter vs standard deviation (Moiola and Weiser, 1968) strongly suggest fluvio-lacustrine environment. The clay minerals extracted from eight of the specimens are illite and chlorite . Mixed layer clay minerals are not identified. Illite crystallinity of the illite diffraction peaks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diagenesis. The illite crystallinity ranges from 2.23° to 6.20°(Weaver index values) and from 0.25 2B to 0.60° 2θ (Kubler index values) and strongly suggests that some of the specimens already passed through zone of diagenesis and transfered to anchizone.
        4,000원
        51.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granitic masses are distributed in southeastern part of Gyeongsang basin in Korean peninsula by plutonism. The granitoids in Gyeongsang basin can be classified ~s Cretaceous Chindong granitoid, upper Cretaceous Bulgugsa granitoid, and upper Cretaceous to early Tertiary Masanite. Chindong granitold consists of quartz diorite, tonalite, and granodiorite. Bulgugsa granitoid is classified as hornblendegranite, biotite,granite and porphyritic granite. Masaaite consists of hornblende granite type and biotite granite type in the studied area. Field occurrence never showy any clear relationship between Chindong granitoid and Masanite in Chindong area, but Masanite intuded into Bulgugsa granitoid in Masan area. Relationship between Chindong granitoid and Bulgugsa granitoid is ambiguous, but Chindong granitoid is thought to be early in view of the trend of chemical composition and higher content of hornblende in Chindong granitoid. Masanite is the latest intrusive granitoid in this area. The studied granitoids are discordant plutons intruding Cretaceous sediments, epizonal masses, and emplaced by stoping.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calr-alkalis magma, which is granodioritic or andesitic in composition and formed by melting of the subductyd Kula-Pacific crust under the continental crust along the boundary between compressional Eurasian plate and Kula-Pacific plate, yielded the granitic rock facies in the range of quartz diorite of Chindong granitoid to granite of Masanite.
        5,200원
        52.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ermediated-basic plutons in Jirisan area consist of Pre-Cambrian anorthosite and gabbro, and Jurassic diorite and syenite. Many of bodies of massif type anorthosite are multi-intrusion and intruded by gabbroic rock which compose gabbro, norite, troctolite and leucogabbro. Younger intermediated plutons intruded into older basic plutons and formed contaminated zone at margin of basic plutons. Plagioclase of these plutons is of labradorite(An_(56∼60)) to bytownite(An_(60∼86)) in anorthosite, andesine(An_(35∼49)) in diorite and andesine(An_(30∼41)) in syenite: Continuous variation of anorthosite amount in these plutons suggest that basic and intermediated plutons are a series of differentiated product from two co-magma. Pyroxenes are correspond to salite of CPX, and hypersthene of OPX, and show continuous variation of component diopside to hedenbergite in salite and enstatite to ferrosilite in hypersthene. Variation of these component indicate these plutons are also a series of differentiated product from co-magma. Two synchronous plutons plotted on Harker diagram and AMF diagram show mostly similar trend to Daly's values and calcalkali rock series. Accoding to REE(La/Yb)_(cn) and Eu/Sm, it is concluded that intermediated-basic pluton having enriched LREE than HREE and emplaced by the tectonic setting in continent and/or continental margin.
        6,000원
        53.
        199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nitic rocks around Namsan area, Kyeongju, were studied from petrographic and petrochemical point of view. The Naman granite is generally medium to coarse grained hypersolvus granite dominated by pink K-feldspar and quartz, and shows miarolitic cavities. K-feldspar is the most abundant mineral(57-64% in volume), forming tabular microperthite crystals, or granophyric intergrowths with quartz. Plagioclase($lt;0.3%) appears only as perthitic streaks in microcline perthite. It contains biotite(X=pale brown, Y=Z=brown), blue amphibole(X=deep blue, Z=pale to inky blue) and fluorite. Petrochemically the Namsan granite is distinguished from the Bulgugsa granites of I-type, by higher abundance of SiO₂, K₂O, (Na₂O+K₂O) and large highly charged canons such as Nb, Y, Zr and the REE, and lower abundance of Al₂O₃, MgO, CaO, Ba, Sr, Eu, Co, Sc, Cr, and Ni. The Namsan granite shows higher strontium initial ratio(^(87)Sr/^(86)Sr) of 0.713±0.002, and the age yielded 51±1.4Ma(Rb-Sr age) to 49.3±0.9Ma(K-Ar age). These petrographic and petrochemical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 Namsan granite belongs to the A-type granitoid series. And the Namsan granite is originated by direct, high-temperature partial melting of a melt depleted I-tape source rock in the lower crust.
        4,900원
        54.
        199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directed to study of the stratigraphy, sedimentary rocks and depostitional environment of the Jinju Formation in the Jinju-Sacheon area. The Jinju Formation in the area is subdivided into the lower member, middle member and upper member by their lithologic characteristics. Each member of the Jinju Formation is composed mianly of grey arkose sandstone, sandy shale and dark grey shale. A few thin layers of limestone and calcareous shale are intercalated in the upper parts. As in most places, sand shale of the formation shows onionJstructures and contains many nodules. The grain particle analysis of the sandstone samples were obtained moderately sorted, positive skewness and meso-kurtic. The significant sedimentary structures such as the pillow, cone-in-cone, large scale suncrack, ridge-type cross-bedding, cylindrical muddy lime concretion and stromatolites are sampled from the non-marine Cretaceous Jinju Formation in the Kyeongsang basin, Korea. The fades fossils of the Cretaceous snakeflies, freshwater fishes, cyzicuses, cladophlebis spp., and plant stems were excavated from the black shale of the formation. The paleo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by mean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ross-stratification, ripple mark, slump structure, and parting lineation, which are palecocurrent structure. The investigator presents his own computer programming process for the calculation of statistical parameters. The paleocurrent direction, depositional strike, source area, and the depositional center of the basin of the Jinju Formation are judged to be southeast, northeast, northwest, and southeast, respectively.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on the formation in the studied area is determined definitely the fluvial environment in view of the interdisciplinary assessment of the analysis results of paleocurrent structures listed above.
        4,000원
        55.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consisting rocks of study area are Precambrian metasedimentary bedrocks, Cambro-ordovician sedimentary rocks and Samhwa granite which have intruded these metasedimentary and sedimentary rocks. The reddish K-feldspar bearing Samhwa granite presettts miarolitic texture and graphic intergrowth between quartz and K-feldspar. The granite, homogeneous in chemical composition of major elements, belongs to Calc-alkali rocks of subalkali series. According to AMF diagram, the granite was crystallized at the latest stage of the differentiation of magma. The Samhwa granite belongs to I-type granitoids and magnetite-series granitoids. Especially, this granite is thought to be crystallized in the epicrust with high oxygen fugacity. The Samhwa granite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masanite of cretaceous granitic rocks of Gyeongsang basin in the petrological and petrochemical properties. The biotite age of the granite by K-Ar age dating is 50.1±1.5. Finally, contact metamorphic zone of limestone by granite intrusion contains distinct minerals such as diopside, brucite, tremolite and muscovite, which indicate low temperature metamorphic grade.
        4,500원
        58.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ount consists of two polarizing films at intervals of 2∼3㎜ and a rotatable thin-section holder inserted between two films. The mount is held into a slide projector. We can investigate and study optical characters of rocks and minerals by the projected figures in the same way as the polarizing microscope.
        3,000원
        59.
        202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점토질 암석의 광물함량을 효과적이고 실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X-선 분말회절분석 실험을 통하 여 연구하였다. 점토질 암석의 X-선 분말회절 정량분석을 위해서는 측면마운팅(side mounting) 방법에 의한 무작위 배향(random orientation)의 전암(whole-rock) 분말시료의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암석을 구성하고 있는 점토광물의 감정을 위하여 2 μm 이하 점토입도의 배향성 마운트(oriented mount)시편의 준비와 에틸렌글리콜 처리, 열처리 등의 실험과정이 요구된다. 정량분석을 위하여 RIR(reference intensity ratio)방법과 리트벨트 (Rietveld) 회절도 계산 방법을 사용하였다. RIR값을 사용하여 전암 X-선 회절도로부터 총 점토 함량과 비점 토광물(non-clay minerals)들의 함량을 얻을 수가 있었다. 또한, 점토입도의 배향성 X-선 회절도로부터는 각각 점토광물의 상대함량을 계산하여 이를 총 점토광물에 할당할 수가 있었다. 전암 X-선 회절의 리트벨트 방법 에서는 10o(2θ) 미만의 X-선 회절 영역은 제외한 후에 리트벨트 회절도를 계산하였을 때 효과적인 정량분석 값을 얻을 수 있었다. 분석결과는 RIR방법과 리트벨트 방법이 서로 근사한 정량분석 값을 보여주었다. 따라 서, 연구결과는 실험실에서의 일상적인 점토질암의 광물정량분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함을 지시 한다. 그러나, 점토광물은 화학적 및 구조적 특정이 다른 수많은 변종이 존재하기 때문에 점토질암의 정량분 석은 아직도 도전해야 하는 과제이다.
        60.
        202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기 자연 수소(H2)는 천연가스의 주요 구성성분이지만, 청정 및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써 글로벌 에 너지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다소 과소평가되고 있다. 이 논문은 우리가 과거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광범위 한 환경에서 무기 자연 수소가 대륙 암석권에서 대량 생성된다는 최근 논문들을 바탕으로 자연 수소의 발생 기작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들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확인된 자연 수소의 주요 근원암은 (1) 초고철질암, (2) 철(Fe2+)이 풍부한 암석으로 구성된 강괴, (3) 우라늄이 풍부한 암석이다. 이 암석들은 선캄브 리아 시대 결정질 기반암 그리고 중앙 해령과 대륙기반의 오피올라이트(ophiolite), 페리도타이트(peridotite) 암 체에서 사문암화된 초고철질암과 밀접하게 관련된다(Zgonnik, 2020). 이 근원암들에서 자연 수소를 생성하는 무기적 작용은 (a) 광물(예, 감람석)의 Fe2+이 산화되는 동안 물의 환원, (b) 방사성 붕괴로 인한 수전해, (c) 규산염 암석의 기계적 파괴(예, 단층) 동안 물과 표면 라디칼의 반응 등이며, 자연 수소는 자유 기체(51%), 다양한 광물 내의 유체포유물(29%), 지하수의 용존기체(20%) 형태로 발견된다(Zgonnik, 2020). 우리나라의 경 우 아직 자연 수소 연구가 수행되지는 않았지만, 경상분지 내 무기 자연 수소의 생성과 부존 가능성은 두꺼 운 퇴적분지 내에서 초고철질암, 층간 현무암층과 철/구리 부화대 존재, 그리고 페름기–제3기 동안 능동적 대 륙 연변부에서 여러 번의 화성활동 등을 포함한 지질학적/지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최근 지질 기원의 자연 수소를 연구/탐사하는 국외 학자들과 산업체들은 가까운 미래에 자연 수소 가 깨끗하고 재생 가능한 획기적인 에너지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자연 수 소의 경제적 활용을 위한 부존지 발견 여부와 상관없이 지하의 암석–유체 상호작용에 관한 통합 연구를 통 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자연 수소의 성인과 탐사는 차세대 핵심 연구임이 분명하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