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0

        4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인공재배된 공시균주 14개에서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확 인하기 위하여 ITS부위의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종속간 유연 관계 및 RAPD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ITS영역부위 종속간 유연관계는 염기서열의 유사성이 SPA 100, 101, 102은 만 가닥버섯인 Hypsizygus 에 속하였으며, 11균주는 잿빛만가 닥버섯 Lyophyllum decastes 그룹에 속하였고 다시 3개의 subgroup으로 분류되어 속간 유연관계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공재배한 버섯의 종 다양성을 분석하기위해 RAPD를 수행 한 결과 가장 수량이 양호하며 우량계통인 SPA 202는 SPA 203와 75%의 유사성을 보여주었고, Lyophyllum decastes 의 공시균주인 SPA 103과 SPA 104와는 유사성이 65%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연에서 채집하여 인공재배가 확립 된 SPA 202는 분자생물학적 분석 방법에 의해 Lyophyllum decastes 로 추정 할 수 있다.
        4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벼멸구(Nilaparvata lugens)는 한국에서 월동하지 못하고 이주해 오는 종으로 서, 매년 한국의 벼 재배에 큰 손실을 주고 있다. 한국의 지역별로 채집된 벼 멸구의 유전적 변이 및 다양성을 알아보고자 마이크로새털라이트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한국의 다섯 지역, 곤양, 광양, 진주, 남해, 남원에서 벼멸구를 각각 채집하 였고, 마이크로새털라이트 5개의 위치(18, 27, 65, 67, 76)를 기준으로 분석하 였다. 그 결과, 3개의 위치(27, 65, 67)에서 높은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한국의 벼멸구 개체 간에도 유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이크로새털라이트 마커를 이용한 방법은 벼멸구의 근원지 및 이동을 결 정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비래 해충인 벼멸구의 개체군 다양성을 분석함으로서 발생 근원지와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3.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베트남내 지역별로 채집된 벼멸구의 유연관계 및 개체간의 다양성을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벼의 주요해충인 벼멸구(Nilaparvata lugens)는 벼를 직접 흡즙하여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2차적으로 벼에 virus병을 매개하여 벼 재배지에 심한 피해를 주고 있다. 상세한 지역 간에 유전적 변이를 확인하기 위해 베트남의 네 지역, Haipong, Ha Tay, Can Tho, Cuu long에서 채집한 벼멸구를 마이크로새털라이트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5개의 위치(18, 27, 65, 67, 76)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Haipong과 Ha Tay, 그리고 Can Tho와 Cuu long 지역이 각각 유전적으로 비슷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쪽과 남쪽은 지리적으로 멀기 때문에 유전적 교류가 적게 일어나고, 남북의 각 지역 간에는 개체군의 이동이 보다 쉽게 발생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정보는 베트남 지역 간에 벼멸구의 이동과 분산의 근원과 경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비래하는 벼멸구의 근원지와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예찰함으로서 벼 재배지에 벼멸구 대발생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5.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꿩 (Korean ring-necked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karpowi)과 외국 아종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야생 한국꿩, 사육 한국꿩, 사육 한국꿩과 외국꿩간의 잡종꿩, 외국꿩 4아종(중국 링넥, 흑 뮤탄트, 백 뮤탄트, 녹치)을 대상으로 ISSR 표지자 분석과 AM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야생 한국꿩의 전체 유전 다양성중 94.08%가 서식지 내 개체간 유전적 차이에 기인하고, 5.9% (Φ
        4,000원
        46.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벼를 가해하는 벼멸구(Nilaparvata lugens)는 벼를 직접 흡즙하여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벼의 virus병을 매개하여 벼 재배지에 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중요 해충이다. 이전의 마이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베트남의 남쪽과 북쪽의 개체군이 유전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이러한 마이토콘드리아 DNA의 변이로는 좀 더 상세한 지역 간에 개체군의 유전적 변이를 검정할 수 없다. 베트남의 네 지역, Haipong, Ha Tay, Can Tho, Cuu long에서 채집한 벼멸구를 마이크로새털라이트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변이를 검토하였다. 5개의 위치(18, 27, 65, 67, 76)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네 개 지역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정보는 베트남 지역 간에 벼멸구의 이동과 분산의 근원과 경로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비래하는 벼멸구의 근원지와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예찰함으로서 벼 재배지에 벼멸구 대발생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47.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노루궁뎅이는 분류학적으로 담자균강, 민주름버섯목, 산호침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오래 전부터 식용 및 약용버섯으로 이용되어 왔다. 현재까지 노루궁뎅이에 관한 연구가 미약하며 새로운 버섯자원의 탐색과 버섯산업의 발전에 부응하고자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노루궁뎅이 균주 48종을 국내외에서 수집하여 그들의 유전학적 계통분석을 실시하여 유연관계를 구명하였다. 그 결과 국내종은 중국, 일본과 함께 아시아 계열에 속하였으며 북미종과 유럽종과는 유연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더욱이 노루궁뎅이 학명이 H. erinaceum과 H. erinaceus로 혼용되어 불리어지고 있는데, 본 실험 결과에서도 두 종이 뚜렷한 분지를 이루며 나뉘어졌다. 또한 RAPD분석에서는 노루궁뎅이의 종간, 품종간 유전학적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다양한 농가부산물 참나무 톱밥, 사탕수수박, 코코낫박, 율무박, 왕겨, 배추, 면자각등의 기본 기질들과 미강, 옥수수박 등의 첨가물을 서로 다른 비율과 조성을 통하여 노루궁뎅이버섯 균주를 접종한 후, 균사생장과 균사밀도, 자실체 생산량, 생물학적 효율 등을 조사 비교하였다. 병재배법의 농가에서 3개 노루궁뎅이버섯 균주를 이용한 실증실험을 하였고, 봉지재배법의 농가 실증시험에서는 면자각 40% + 참나무 톱밥 40% 기질에 옥수수 및 미강을 각각 10%씩 영양원으로 첨가한 기질에서 자실체 생산 및 생물학적 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8.
        200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50.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실험은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분석을 이용하여 71개 느타리 품종에 대한 DNA finger printing을 만들고 유연 관계를 해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RAPD 분석은 12개의 Universal rice primers(URP)와 1개 의 operon primer, FGL17 primer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유연 관계 분석은 NTsyspc program(ver. 2.02)의 data matrix를 작성하기 위해서 DNA 밴드의 유무에 따라 1과 0의 값을 주었으며 유사도는 default값인 sm(simple matching coefficient)으로 계산하였다. 유연관계 분석에 의하면 공시된 느타리 품종은 6개 그룹으로 구분되었는데 느타리종(ASI 2180 등 62품종), 사철느타리종(ASI 2016 등 2품종), 여름느타리종(ASI 2070 등 3품종), 큰느타리종(ASI 2302 등 2품 종), 전복느타리종(ASI 2079), 백령느타리종(ASI 2720)이었다. 느타리종은 62품종인데 8개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룹1은 원형느타리외 6품종, 그룹2는 춘추 2호외 9품종, 그룹3은 장안 PK외 7품종, 그룹4는 김제 9호외 5품종, 그룹5는 치악 4호외 12품종, 그룹6은 청도 22호 1품종, 그룹7은 소담외 14품종, 그룹8은 부평복회외 1품종으로 구분되었다. 14개의 프라이머 중에서 FGL17 primer는 600bp의 느타리종 Pluerotus ostreatus 특이 밴드를 가졌다. 이 프라이머는 느타리종의 동정에 있어서 아주 유용한 프라이머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DNA 다형성 분석 결과 거의 100%의 유사도 를 가지는 네쌍의 버섯들이 확인되었다.
        55.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14개체의 느티나무의 유연관계 및 개체간의 다양성을 RAPD 마커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각 개체간의 유사성의 정도는 낮았고 강원도의 두 개체(KWH 와 KWS)간에서 78%로 가장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Neighbour-joining tree에서 보여진 유연관계는 강원도와 전남의 일부 개체를 제외하고는 지리적 분포와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생물학적 요인이라기보다는 이 종의 인위적인 이동에 의한 결과로 사료된다. 또한 개
        4,000원
        56.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even Italian ryegrass cultivars were examined for their genetic polymorphism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using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In RAPD analysis of 34 random primers, 96 of total 162 bands obtained from 16 primers w
        4,000원
        57.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초에 채집하여 Blackman(1987)의 기주선호성과 형태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분류한 방법에 의해 두가지 타입을 (M. persicae Sulzer와 M. nicotianae Blackman)으로 구분된 무시성충 복숭아 혹진딧물 8 클론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을 위하여 RAPD-PCR방법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random primer(10-mer) 100개 중에서 20개의 primer을 선발하였는데 GC content가 70, 80, 90%인 primer에서 각각 26.9%, 50.5% 및 66.^%로 GC content가 높아질수록 PCR결과 band의 양상이 좋게 나타났다. simple matching coefficient를 구하여 matrix를 작성해 본 결과 유사계수(similarity coefficient)의 범위는 0.414~0.808사이이었다. 복숭아혹진딧물 clone 간에 유사계수가 가장 높은 것은 PG2와 PG3 클론으로 0.808로 나타났으며, DBR클론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PG2 클론간의 유사계수를 0.414로 유사도가 가장 낮았다. 유사계수를 이용하여 8가지 클론의 진딧물들에 대한 유전적 근연관RP를 살펴보면 M. persicae typer에 속하는 PG1, PG2, PG3 클론들과 M. nicotianae type에 속하는 RED 클론이 유사도 0.643에서 한그룹, M. nicotianae type에 속하는 GR1, GR2, BRN크론들이 유사도 0.636에서 유연관계가 있었으며 그리고 M. persicae type에 the하는 DBR클론 등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따라서 연초에서 발생한 복숭아혹진딧물 형태형 2종 (M. persicae와 M. nicotianae)에 대하여 RAPD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해본 결과 뚜렷한 유전적 유연관계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4,000원
        58.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재 농가에서 일대잡종으로 보급되고 있는 장려누에품종 원종 잠 113 등 20계통에 대해서 RAPD-PRC방법을 이용하여 누에 품봉간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공시한 26개의 primer중 24개의 primer에서 다형화 밴드패턴의 마커가 확인되어, 이들 마커를 UPGMA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전적 유연계수 0.6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2개의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제1group에는 잠113, 잠119, 잠120, 잠123, 잠125와 잠127로서 중국종계잠 120을 제외하고는 모두 일본종계 품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제 2group은 잠114, 잠121, 잠122, 잠124, 잠126, 잠128, 잠129, 잠130, 잠131, 잠132, 잠133, 잠134, 잠 301과 잠 302로서 일본종계 5품종 중국종계 9품종이 포함되었다. 또한, 잠 114와 잠 120 및 잠114와 잠 127은 유전거리가 다른 품종에 비해서 가장 낮게 분석되었으며, 잠 129와 잠 131은 유전적 유연계수가 1.0으로 두 품종간에는 유전적 유사도가 아주 높았다.
        4,000원
        59.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만산 과실파리과의 신종, Cornutrypeta taiwanensis를 그림과 함께 기재한다. 이 종은 대만에서 최초로 기록되는 Cornutrypeta 속이며, 노랑접시트랩을 사용하여 동일 지역에서 채집한 각각 2개체씩의 수컷과 암컷들을 모식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 종의 계통학적 유연관계는 분지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4,000원
        60.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osophila melanogaster와 D. Simulan는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며, D. Sechellia 는 Africa의 Seychelles 제도에만 서식하는 지역종으로, 모두 D. melanogaster complex에 속하는 동포종이다. 이들 D. melanogaster complex 3종을 대상으로 종간 교배를 통한 잡종을 형성하여 성증(sex-bomb)과 생식궁(genital arch)의 표현형적 유연관계를 부모계통과 상호 비교하였다. 상기 3종들 사이의 교배를 통해 4가지 유형의 잡종 수컷을 얻었으며 이들은 모두 불임이었다. 성즐의 평균 치열 수는 D. melanogaster(OR)가 10.73개, D. sechellia(Ja)는 10.69개였으며, D. simulans()에서는 8.35개였다. 종간 잡종의 치열수 분석으로 뚜렷한 성즐의 유전양식을 제시할 수가 없었다. 외부 생식기를 구성하는 각 부속기관 중 분류상 중요 기준이 되는 생식궁은 종 특이적 모양을 띠고 있었으며, 종간 접종 생식궁의 일반적인 형태는 부모종간의 중간형인 mosaic 구조였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