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릭스 곤잘레스 토레스(Felix Gonzalez- Torres)는 쿠바 태생으로 미국 뉴욕에서 행위 예술과 개념 미술 작업을 주로 하는 작가이다. 그의 성적 정체성 문제로 사회적으로 금기시된 사항들을 은유이면서도 섬세하게 작업했다. 토레스가 활동했던 1980년대 후반 -1990년대는 앞선 시대였던 1980년대 보수적인 분위기와 달리 다소 부드러운 분위기로 작가들의 주제들을 큰 틀 안에서 용인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그런 사회적 상황과 맞물려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작품에서 피력한다.
토레스는 프랑스 철학가 조르주 바타이유(George Bataille)의 책 ≪에로티즘≫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의 동성 연인의 죽음 전후로 바타이유의 이론이 작품에 적절히 적용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바타이유가 ≪에로티즘≫에서 거론한 죽음과 금기의 위반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의 작품에서 두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서양에서는 전통적으로 육체와 정신을 이중적으로 구분하는 이원론적 생각이 지배적이다. 포스트모더니즘에 와서야 전통적으로 하위 개념을 지녔던 육체적인 부분을 정신과 동일하게 인정하기 시작했다. 토레스의 경우 포스트모더니즘 개념을 잘 알고 있었으나 그러한 몸과 정신의 대비 상황을 설명하기보다 아직은 육체와 정신이 분리되었다는 개념에서 작업한다. 그의 작품은 자신과 죽은 연인의 현존에 대하여 이야기 한다. 일한 물건을 나란히 배치하것은 연인과 자신, 영혼과 육체, 삶과 죽음, 생성과 소멸 등 대비되는 두 가지를 상징한다. 또한 그의 작품 중 초상화로는 독특한 형식인 <사탕 더미 Candy Spill>는 육체를 구성하는 세포들과 사탕을 동일시하여 관람자가 사탕을 가져 가는 행동이 자신의 아픔과 치료라는 상징적 개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사탕은 관람자의 몸 속에 녹아 새로운 생명으로 살아가고 이 과정에서 소멸과 부활을 상징한다. 개념적이면서 환영적인 부활을 나타내는 작품들은 관람자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미술관 제도에서 금기시 하는 행위들을 위반하여 제도에 대한 비판적 태도도 선보인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금기와 위반적 측면을 작품을 통해 살펴보고 그 개념이 바타이유가 설명한 금기와 연관 있다고 보았다. 위반은 위반한 사람들에게 일종의 쾌감을 선사한다. 삶에 대한 위반인 죽음은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쾌락을 의미하고 바타이유 이론에서 죽음에 대한 부분과 맥락적으로 상응하고 있다. 아울러 작품 전체를 통해 암시되고 있는 일시성은 죽음의 의미를 더욱 강조하는 장치가 된다.
예이츠가 살았던 노르만양식의 탑은 그의 시에서 매우 훌륭한 상징을 제공하였다. “탑”은 시집『탑』에 수록된 전체시를 대표하며 예이츠 시학과 철학의 정수를 보여준다. 본 논문은 “탑”을 매우 세밀히 읽고 분석한다. 또한 탑이 시인에게 의미하는 것과 탑으로부터 시인이 깨달은 것이 무엇인지를 연구한다. “어린 학생들 사이에서” 나 “비잔티움 항행”의 주인공들과는 달리 “탑”의 화자는 현실을 도피하지도 않으며 현실을 순간적으로만 깨닫지 않는다. 이 세상을, 인간이 태어나 살다 죽고 다시 태어나는 영원한 순환의 세상, 즉 “달 저편의 낙원”으로 봄으로써 시인은 마침내 삶과 죽음을 초월하는 깨달음에 도달한다. 이것은 새롭고 진정한 깨달음이다.
급격한 의학과 과학의 발달로 우리사회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인구는 총 657만 명으로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를 넘어섰다. 전체 인구에서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7.3%, 2005년 9.3%, 2010년 11.3%, 2015년 13.2%로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2017년 8월말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는 총 726만 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8%로 고령사회로 들어섰다고 발표하였다. 그것은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로 인해 고령자 인구 증가와 함께 눈여겨보아야 할 부분은 삶의 질과 죽음의 질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우리나라는 2017년도 ‘삶의 질(Better Life Index)‘지수가 회원국 38개국 중 29위로 머물러 있고, 2013년도 영국 경제 주간 이코노미스트 산하기관인(EIU)에서 ‘죽음의 질 지수(Quality of Death Index)’ 또한 40개국 중에서 32번째라고 밝혔다. 인간은 태어나고 자라고 늙어서 죽는다. 그러므로 노년기 진입을 앞두고 있는 중장년층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죽음의 태도, 자아 통합감, 사회적 자본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황동규의 죽음을 보는 시인의 자세가 잘 나타나 있는 시는 풍장 연작이 있다. 예이츠의 시 청금석 부조 (“Lapis Lazuli”)에는 무대 위 비극의 절정을 연기하는 배우의 영웅적인 과장된 연출을 지향한다면, 황동규는 죽음으로 달려가며 ‘시계’가 좁 아진 세계를 찾고자 한다. 인생이란 아무런 의미가 없지만, 열정적으로 살아갈 것을 강조한 니체와 예이츠가 가깝고, 삶이라는 것 자체엔 아무 의미가 없으니 열정적으로 사는 것을 지양한 쇼펜하우어와 황동규가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예이츠의 시에서 죽음은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주제이지만 죽음에 대한 시인의 태도는 정의하기 쉽지 않다. 예이츠가 시에서 죽음을 대하고 형상화하는 방식 은 하나의 것으로 귀결되지 않고 오히려 상반되는 모습을 보인다. 그는 죽음을 무시하 면서 덤덤하고 무미건조하게 서술하는가하면 상상력을 필요로 하는 수많은 상징과 이 미지들을 동원해 죽음을 거대한 존재로 만든다. 『죽음』 (“Death”)에서 예이츠는 전반적 으로 죽음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드러낸다. 죽음의 장면은 『죽음에 대한 꿈』 (“A Dream of Death”)에서 무미건조하게 묘사되는데, 그는 감정적으로나 현실적으로 익숙 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자아와 영혼의 대화』 (“A Dialogue of Self and Soul”)에서 예이츠는 삶과 죽음을 이분법적으로 분리하면서 죽음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상상력 을 동원한다. 마지막으로 시인은 『출렁이는 마음』 (“Vacillation”)에서 양극단 사이에서 방황하며 죽음과 관련된 것들을 상상력으로써 무수히 불러낸다.
시는 기이하여 우리를 울고, 미소 짓고, 웃게 하거나, 우리를 행복하게 혹은 불행하게 하며, 평범한 것을 특별한 것으로 혹은 익숙한 것을 낯설게 한다. 어린 아이에게 시를 가르칠 수도 있지만 가르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도 사실이다. 시는 태어날 때 가지고 태어나지만 자기와 다른 시에 작동하는 것들과 접함으로써 시인의 마음과 지력이 예민해진다. 본 논문은 세 시인, 셰익스피어, 예이츠, 파운드의 시적인 특징 몇 가지를 다룬다. 이 시인들은 비슷하다기보다 전혀 다르지만 공통점이 좀 있다. 각자는 자신의 시대를 반영하고 자신의 시대가 요구하는 시를 빗는다.
본고는 창작생애라는 통시적 관점과 ‘생명미학’이라는 공시적 관점을 결합하여 沈從文 소설 창작 전반에서 죽음이 차지하고 있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우선, 소설 창작 시기별 작 품 속 죽음의 양상과 작가의 생명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창작 시기별로 ‘신과 관 련이 있는 죽음’, ‘사랑과 관련이 있는 죽음’, ‘아름다움과 관련이 있는 죽음’ 등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처럼 沈從文의 소설 속 죽음에 대한 양상을 창작시기별로 살펴보았을 때 沈從文의 죽음에 대한 사색은 타인의 죽음, 자신의 죽음, 만물의 죽음이라는 일반적인 발전과정을 밟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沈從文의 죽음에 대한 사색은 문학 창작 특유의 형상사유로 진행 되었기 때문에 그 누구보다 죽음의 의미에 깊이 천착해 들어갈 수 있었고, 그 결과 沈從文 특유의 생명미학 세계를 형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沈從文 소설 속 죽음이 지니 는 의미일 것이다.
히니는 그의 첫 시 땅파기 에서 “내 검지와 엄지 사이에 뭉뚝한 연필 쉬고 있네/ 나 그것으로 팔 것이요.”라고 선언했다. 그의 시를 읽은 이제까지의 결론 은 그는 산고의 고통으로 새 스타일의 시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함으로써 위의 공언을 실천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시집 밭일, 산사나무 등불 그리고 환영보기의 시들만을 다루지만 필자의 결론은 히니는 그의 아버지가 경작에 있어 완벽을 추구하던 장인이었던 것처럼 글쓰기의 장인이라는 것이다.
The early works of W. B. Yeats are mainly rose poems influenced by the symbolist movement and his other works reflect the poet’s consciousness absorbed in occultism and mysticism. And some of them are filled with confessions and revelations of love expressed in somewhat dreamlike and vague longing. These tendencies generally show unrefined sentimental contents and loosely woven poetic patterns. But, nevertheless, his early love lyrics effectively appeal to our emotion and have been popular and widely accepted. Those early erotic verses, especially based on the traditional Western culture of courtly love, attain the beloved’s love in literature as it is not achievable in reality. The tradition of the courtly love lyrics has passed down from Dante through Rossetti to Yeats. Following the poetic tradition, Yeats often implies that the beloved is absent, unattainable, or even dead. Therefore, Yeats’s early love lyrics generate their own love out of such absence and death. Love and death are mingled together in Yeats’s early love lyrics.
셰이머스 히니가, 1939년 (예이츠가 별세한 해) 북 아일랜드의 한 농장에서 태어나 예이츠의 영향 아래서 살면서, 어떻게 자신을 새로운 시인으로 변모시키는 가하는 문제는 본 논문이 던지는 주요한 질문이다. 이 논문의 방법으로서, 몇 편의 시, 특히 첫 시집이면서도 아마 그의 뛰어난 시집인 순수의 죽음(Death of a Naturalist)에서 몇 편의 시의 가까이 읽기를 시도한다. 본 연구는 “폭포”와 “밭 갈기” 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전자는 평론가들이 무시하거나 거의 논의된 적이 없고, 후자는 대부분 아주 평범한 시로 이해한다.
Chae Choon-ok. 2014. A Contrastive Analysis of Euphemistic Language for Death in Korean and Chinese.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2(1). A euphemism is a phenomenon of language universally existing in many national languages in the world, which can trace back to ‘taboo’ culture of the primitive age. A euphemism is to change an expression hearing bad or giving the negative nuance into an expression hearing good or to mitigate the negative nuance. In this study, I first examined the prototype theory as a cognitive factor of euphemistic language, and then carried out contrastive analysis of euphemisms and composition method replacing death among taboo themes in Chinese and Korean. These expressions can be utilized as an alternative to make educational effectiveness utmost by making those who learn Chinese or Korean thoroughly understand euphemisms of two languages.
본 논문은 은둔적 삶을 살며, 파괴적 정체성과 분열된 자아로 자신의 창조적 충동을 일기처럼 짧은 시로 담아내었던 디킨슨과, 종교, 예술, 역사 신화, 사랑등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 삶을 경험하며 창조적 활동을 한 예이츠를 비교한다. 이 두 시인은 뛰어난 다층적 시각을 갖고 있었으며, 광대한 상상과 창조로 인생의 소용돌이에 휘말리지 않았고, 진부하고 통속적인 관념을 거부하였다. 또한, 삶과 죽음, 영원에 대한 끊임없는 사유의 투쟁을 멈추지 않았다. 또한, 디킨슨과 예이츠의 공통점은 고결함이다. 그들은 서로 다른 빛의 고결함을 의식 속에서 잃지 않았고, 우주의 불가사의한 힘을 반추하고 상상하였으며, 그 완성은 허황되지 않은 실체였으며, 그 고결성은, 인간의 존재와 영원성의 진리를 위해 끊임없이 외로운 투쟁을 치룬 그들의 깊은 긍지에서 승화된다.
Pliny the Elder said that multiple cultures agree that the painting began as a shadow trace. A daughter of Butades, the potter in Corinth, traced an outline around a man's shadow, and it was the very beginning of painting. In this anecdote, the profile, i. e. the portrait substitutes body of the absent lover. It makes the absent body present and replaces his place. In this context Hans Belting put the anthropological value to this visual practice. Human being made images to cope actively with the shock of death and the disappearing of body. With the aid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bodily presence, the image struggles to resist the death.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ritical meaning of representation in the context of bodily survival by image. The representation is the paradoxical trick of consciousness, an ability to see something as 'there' and 'not there' at the same time. So the connection between image and the body would be suspicious. Although this relation was tight in the ancient shadow painting and the medieval effigies, the modern visual practice forsakes this connection and exposes the trick of representation. It insists that image was not real and even expels the medieval visual practice from the boundary of fine arts. The genealogy of the portraiture is formed by two different visual practices. The belief and the disbelief in the image are observed in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and anti-representation, and this ambivalence transforms the ontological meaning of portrait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Harry Potter Series, the magical power wizards and witches pursue avails its potential for the everlasting dream of eternal life as we used to see in religion. The dream comes true where magic makes it real as wizards desire to. Voldemort, Dumbledore, and Harry are described once as such. Voldemort tries to use magic to live eternally with the legendary philosopher’s stone as we have long known in alchemy, including ‘seven horcruxes’ into which Voldemort stores part of his soul to incarnate whenever he wants to. Dumbledore has the same dream with the three ‘deathly hallows’ he once possesses on his own; he finally changes his mind after he observes the death of his mother and sister. A prophecy reveals Harry as the Chosen One who defeats Voldemort, freeing the world from prevailing evil power; he rises after he willingly dies at the end of the story, just as Jesus Christ did.Religious significance in magic and the occult, including alchemy, astrology, clairvoyance, numerology, is seen in that Harry Potter puts together a vision of Christianity in the world of magic. In the story, magical power makes the vision possible on material basis, seemingly in religious significance, freeing body and spirit by sublime love in family, friends, and then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In the story, courage, sacrifice, forgiveness, love, friendship, fellowship, and freedom in body and spirit appear to be Christian virtues even in terms of the magical power Harry uses throughout the whole story in which evils are finally defeated and goods are rai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