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2

        61.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 5차, 제 6차 및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11종류의 초,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용된 식물은 129과 332속 383종 2아종, 47변종 6품종, 3잡종으로 총 44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본은 280종류(63.5%), 목본은 161종류(36.5%)였으며, 자생종과 외래종은 각각 241종류(54.6%)와 200종류(45.4%)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5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벼과가 2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인용된 441분류군에는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 25분류군, 멸종위기식물 1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83종류와 16종류의 귀화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85종류(41.9%)로 가장 많았으며, 약용 148종류(33.5%), 관상용 139종류(31.5%), 목초용 87종류(19.7%), 목재용 34분류군(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62.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경1급 정교사 자격연수가 양성교육과 차이를 갖고 의미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자격연수 현황과 문제점을 알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7학년도까지 진행된 자격연수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2006학년도 연수생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면담과 인터넷 게시판 글을 정리하여 연구하였다. 중등학교 환경1급 정교사 자격연수는 2004학년도부터 2007학년도까지 총 4회 진행되었다. 진행된 연수의 교육과정은 연수원의 상황에 따라 교양, 교과교육, 교과내용 등의 교육과정이 다르게 구성되었고, 환경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연구자가 2006학년도 자격연수에 참여 면담한 결과 학교 현장에서 3년 이상의 경험을 갖춘 연수생들은 교사의 교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재교육을 목적이라고 생각하였으나, 실제 연수의 만족 요인으로는 교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재교육 보다는 다른 교사와의 만남을 중요한 만족도의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자격연수에서 연수생들은 교과교육학에 대한 최신의 정보와 교수․학습 영역의 연수를 원하였고, 환경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1순위로 환경교육철학 영역을 나타내 향후 자격연수에서 환경교육철학과 교수학습 영역을 중시하는 교육과정 운영이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1급 정교사 자격연수가 보다 의미있는 연수가 되기 위해 연수 수요자의 요구를 바탕으로 환경교육과가 설치되어 있는 대학에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연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63.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상담교사의 실제적 역할과 그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 323명, 학부모 323명, 교사 307, 전체 9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별 및 집단 상담활동, 교사 및 부모를 위한 자문활동, 학교상담 관련 행정업무, 학생이해 및 지도를 위한 정보수집 및 제공활동, 전반적인 학교 생활지도 및 상담체제에 대한 지원, 학교 및 학급 생활지도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과 실행 등 여섯 요인이 산출되었고, 각 집단별 요구구조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생, 학부모, 교사들이 요구하는 전문상담교사의 공통적인 세부 역할 및 기능에는 개별 및 집단 상담활동 중 바람직한 진로선택 및 진로결정을 위한 상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세 집단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학생은 개별 및 집단상담 활동 중 바람직한 진로선택 및 진로결정을 위한 상담, 학부모는 학교상담관련 행정업무 중 학교상담실의 운영, 교사는 개별 및 집단상담 활동 중 집단 괴롭힘(왕따, 학교폭력)의 가해 및 피해 학생을 위한 상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4.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에 관한 여러 연구자들의 견해를 종합·정리하면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이란 “건전한 인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습심리와 행동발달 상황을 올바로 이해하고, 교사양성기관에서 습득한 이론적 지식을 학교의 현장에 연계하여 효과적·효율적으로 적용·실천하며, 다차원적인 교육의 현상을 끊임없이 연구하면서 전문성을 개발하는 교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 교사들이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교과내용학적·교과교육학적 지식은 해당 전공학과 및 교육학에서 습득된다. 그러나 교사양성기관은 교사지망생들이 장래에 학교 교육에서 지도하여야 할 청소년들의 전인적·인성적 문제의 해결 방안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고 있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느냐 못하느냐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교사가 청소년들의 이러한 문제들까지 고민하고 올바로 해결해 줄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할 때 비로소 교실친화적 교사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전인적·인성적 문제에서 예술교육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그러므로 본고는 일반적인 이론적·교수법적 지식의 차원을 넘어 중등학교 청소년들의 전인적·인성적 문제를 다루는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 프로그램 개발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우선 학교 교육에 있어서 예술교육의 효과를 선행 연구문헌들을 통하여 살펴 본 후,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에 있어서 예술교육의 필요성,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마지막으로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 교육과정 개편, 교사선발과 지원체제 구축, 교사․강사에 대한 연수프로그램 마련, 프로그램 지원과 개발, 교사양성기관과 일선 중등학교와의 협력체제 구축 등이 신중히 논의되어야 한다.
        66.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is to develop strategy for plants-related education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I analyzed plants-related contents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Secondary School. And held the expert-conference on the status of plants-related education, strategy of systematization.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3 basic directions were established(⑴ systematization of contents of plants-related education in school-level, ⑵ contain of part of plants-related education on all the Grade, ⑶ practical application of plants-related education in discretionary activity an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Second, strategy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ubjects(the Practical Arts Subject,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were established(⑴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system of plants-related education by the Grade, ⑵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level of plants-related education by school-level, ⑶ It is necessary to participate expert in process of writing on subject(the Practical Arts Subject,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Third, Teaching-Learning and Teaching Activity in subjects(the Practical Arts Subject,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were established(⑴ magnifying contents and Teaching-time of plants-related education, ⑵ magnifying Experience and Practice, ⑶ presenting plentiful material and easily) Fourth, strategy for connection of extra-subjects and Teaching-time were established(⑴ consideration for connection and integration of related-subject, ⑵ development on program of plants-related education in discretion activity an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68.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가 교육과정의 변화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관련되는 모든 영역에서 이전과 달라진 모든 것을 지칭한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개정, 수정 및 보완, 개선, 개혁을 포괄한다. 2007년 2월 교육인적자원부는 2009년부터 학교교육에 적용될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문서번호 제2007-79호)을 고시하였다. 이번 도덕과 교육과정은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을 수정․보완한 것으로서 교육과정 개정체제가 부분․상시 개정체제로 전환된 후 처음으로 이루어진 개정이다. 이번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은 부분 개정의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변화의 폭과 내용을 고려할 때 실제로는 전면 개정에 가깝다. 따라서 제7차 교육과정과 비교해볼 때 도덕과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면에서 많은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가치관계 확장에 근거한 내용 구성은 급격한 사회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에 대응하여 주제중심의 도덕교육 접근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도덕교육의 적실성과 사회적 적용력을 제고하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변화로 평가할 수 있다. 이번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은 사회변화에 따른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사회적 요구, 새로운 윤리학적 지식의 대두,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 학습이론의 변화,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교수․학습의 변화를 수용하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 설계 시 토대가 되는 사회적 영향, 지식의 처리,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 학습이론, 그리고 과학기술에서 일어난 변화들에 대한 시기적절한 대응이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 확립, 사회변화에 부응하는 새로운 가치, 규범, 도덕적 쟁점들 강조, 도덕적 탐구의 강화, 학교급별 도덕과 교육의 차별화가 강조되고 있다. 이번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주목할 점은 개정 과정의 절차이다. 먼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중심으로 7개 도덕과 교육 관련 학회 및 단체와 한국철학계가 ‘도덕과 교육과정 연구 공동체’를 구성하고, 공동탐구과정을 통해 교육과정 개정 시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정 시안에 대한 초․중․고 현장 교사들의 현장 적합성 검토 의견을 수렴하여 개정시안을 수정․보완한 개정 교육과정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개발 방식은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민주주의 정신을 구체화한 참여식 교육과정 개발 사례이다. 다시 말해,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은 가치 및 이념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우리의 사회현실에서 사회적 합의의 산물이라는 의미가 있다.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이러한 변화에는 도덕교육의 질적 향상의 가능성과 함께 도덕 교과서 검정화와 맞물려 있는 정치사회적 갈등의 위험성이 함께 내포되어 있다. 중등의 경우 교과서 발행제도가 검정제로 전환되면, 다양한 교과서의 출현으로 인한 학습자의 욕구 충족도 제고와 함께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불일치 문제, 교과서 기술의 편향성 등 가치 및 이념 갈등이 초래될 가능성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적 합의과정을 거쳐 이념적, 정치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용 기준안을 구성함으로써 교과서 내용이 교육과정의 정신을 올바로 구현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