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4

        101.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상에 관한 연구는 2004년 10월 4일과 2004년 10월 21일 양일에 걸쳐 모두 2회, 7개 지점에서 실시되었다. 본 조사 결과 연체동물의 이매패류 (Limnoperna fortunei 민물담치, Corbicula felnouilliana 콩재첩)와 환형 동물의 다모류 (Neanthes japonica 참갯지렁이, Nephrys caeca 북방백금갯지렁이)가 각각 2과 2종이 채집되었으며, 절지동물의 십각류(Palae
        4,000원
        105.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강 유역의 팔당댐 부근(1조사지역), 밤섬 일대(2조사지역), 난지도 일대(3조사지역) 등 3개의 지역에서 서식환경의 차이에 따른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2001년 5월부터 2002년 1월까지의 기간동안 실시되었다. 서식환경 중 3개 지역 모두 수역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1조사지역은 산림의 비율이 높았고, 2조사지역은 다양한 유형의 서식환경이 존재하였다. 조류군집 조사 결과 총 52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겨울을 중심으로 오리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 2조사지역과 1조사지역의 서식밀도가 높았으나, 3조사 지역은 낮은 서식밀도를 나타내었다. 겨울조사에서 2조사지역은 수면성 오리류. 1조사지역은 잠수성 오리류의 비율이 높았다. 잠수성 오리류는 2조사지역에서는 비오리, 1조사지역에서는 흰죽지(Aythya ferina)가 대부분이었다. 이외에 1조사지역에서 물닭(Fulica atra)도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수면성 오리류의 경우 2조사 지역에 채식지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서식환경이 존재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조사지역에서 흰죽지와 물닭의 서식밀도가 높은 것은 수심이 일정하고 수생식물이 풍부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가장 낮은 서식밀도를 보인 3조사지역의 경우 하안과 고수부지를 자연성이 높은 환경으로 조성해 준다면 조류의 종다양성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한강 유역의 다른 지역에 적용한다면, 조류의 서식처로서 한강 유역의 잠재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6.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남한강 상류 평창군 일대의 하천을 대상으로 1999년 10월-2000년 8월까지 4차례에 걸쳐 Braun-Blanquet의 방법으로 수변식생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토양을 분석하여 하천주변의 식생과 토양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평창군 일대의 하천에서 출현한 식물은 46과 128속 144종 26변종으로 총 170종이 출현하였으며, 대표적인 하천식생 군락으로 갯버들군락, 달뿌리풀군락, 고마리군락, 뺑쑥군락이 분포하고
        4,200원
        108.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강 고수부지 및 지천인 안양천, 탄천, 중랑천변의 경작지에서 채집된 36종 285건의 농작물에 대한 Pb, Cr, Cd, Fe, Zn, Mn, Cu. Hg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채집 시기, 채집 지역 및 작물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작물 중의 중금속 함량은 평균치를 기준으로 볼 때 Fe(34.592 ppm)>Mn(11.071 ppm)>Zn(8.853 ppm)>Cu(1.795 ppm)>Cr(0.237 ppm)>Pb(0.100 ppm)>Cd(0.011 ppm)>Hg(0.003 ppm) 순으로 곡류 및 두류에서는 Zn의 함량이 Mn보다 높고, 채소류와 과실류에서는 Mn의 함량이 Zn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각 지역에서 채취한 작물의 미량금속 함량의 경우 Fe은 0.004∼203.083 ppm, Cu은 0.017∼22.727 ppm. Mn은 0.000∼74.373 ppm. Zn은 0.080∼37.166 ppm으로 비교적 고농도로 존재하고 있는 반면 유해중금속류인 Pb은 0.000∼0.654 ppm, Cd은 0.000∼0.270 ppm, Cr은 0.000∼l.229 ppm, Hg은 0.000∼0.037 ppm으로 비교적 미량으로 존재함을 알수 있었다. 대상 농작물을 잎, 줄기, 뿌리, 열매로 분류하여 미량금속 함량을 분석한 결과, 분석 대상 금속의 농도가 잎>줄기>뿌리>열매의 순으로 나타났다. 무등의 뿌리 작물에 있어서 Pb은 잎(0.055 ppm))뿌리(0.035 ppm), Cr은 잎(0.118 ppm))뿌리(0.031 ppm), Cd은 잎(0.004 ppm)1뿌리(0.001 ppm), Hg은 잎(0.004 ppm))뿌리(0.001 ppm)으로 뿌리보다 잎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로 보아 뿌리는 금속 이온이 흡수되는 기관일 뿐 축적은 잎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09.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북한강 수계에 연계되어 있는 사기막천 및 조종천의 4개 지점을 대상으로 저서 대형 무척추동물을 1년간(1993) 하상별로 채집, 분류하였으며, 이들 저서 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빈도율 및 종내의 상대 빈도율에 따른 각 분류군의 하상 선호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채집된 대부분의 대형 무척추동물들은 cobble과 pebble 하상 선호성을 보였으며, Ephemera orientalis, Davidius lunatus, Tipula KUb, Isony
        4,300원
        110.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북한강 수계에 연계되어 있는 사기막천(비오염 지점), 조종천(중등도오염 지점), 마석천(오염 지점)을 대상으로(7개 지점)저서 대형무척추동물을 1993년 1년간 채집, 분류하고, 우점 지수, 종다양성 지수, 유사도 지수 및 풍부도 지수치를 월별로 비교하여 각 지점에서의 수질을 생물학적 또는 생태학적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기막천의 1지점에서는 Epeorus pellucidus, Uracanthella rufa 및 Drunella a
        4,000원
        111.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요소의 분해속도와 요소형태질소의 흡수속도를 한강수계에 위치한 6개의 인공호의 표수층(0~3m)에서 측정하였다. 명조건하에서 측정한 분해속도와 흡수속도는 각각 2~70 μg ureaC m-3 h-1과 7~170 μg ureaN m-3 h-1였고, 암조건하에서는 각각 1~16 μg ureaC m-3 h-1과 3~120 μg ureaN m-3 h-1였다. 이들 속도는 클로로필 a 현존량 및 광합성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1일 당 분해량과 흡수속도는 각각 0.1~1.0 mgC m-3 day-1과 0.1~3.8 mgN m-3 day-1이였고, 이들 속도로부터 표수층에서 요소의 체류시간은 1~100일로 추정되었다. 요소의 분해속도와 요소형태질소의 흡수속도가 보여준 양의 상관관계와 양자의 비는 요소가 분해된 양만큼의 요소형태질소가 식물플랑크톤의 질소원으로 이용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4,000원
        112.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강 하류의 어류 조사는 1997년 10월부터 1998년 9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 지천을 포함한 전조사 지점에서 출현한 어종은 총 16과 50종이 채집 확인되었다. 한편 본류에서는 총 14과 44종 채집되었으며 지천에서는 5과 19종이 출현하였다. 이 중 한반도 고유종은 8종(16%)으 로 매우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1994년 조사시 중랑천, 탄천, 왕숙천, 안양천에서 어류가 출현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는 빈약한 상태이나 일부 종을 중심으로 서식하였다. 지점별 우점종은 Lepomis macrochirus (St. 1), Hemibarbus labeo (St. 2. 3, 5), Acanthorodeus gracilis (St. 4), Synechogobius hastus (St. 6)이었으며 Hemibarbus labeo은 대부분 지역에서 우점하였다.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lutheri, C. rotundicaudata, Plecoglossus altivelis, Leiocassis nitidus 등 5종은 개체군이 출현하지 않았다. Carassius auratus, Hemibarbus longirostris, Pseudogobio esocinus, Microphysogobio uchidai, Saurogobio dabryi, Zacco platypus, Pseudobagrus fulvidraco, Odontobutis interrupta, Trachidermus fasciatus 등 9종은 감소 추세에 있으며, 증가 추세에 있는 종은 Cyprinus carpio, Carassius cuvieri, Hemibarbus labeo, Opsariichthys uncirostris, Hemiculter leucisculus, Erythroculter erythropterus, Mugil cephalus 등 7종이다.
        4,000원
        113.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 6월부터 1996년 6월까지 한강 하류 7개 정점에서 6회에 걸친 현장조사를 통하여 동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기간중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총 70분류군 (taxa)으로 원생동물 3종, 윤충류 25종, 지각류 18종, 요각류 13종, 다모류 1종 등 60종이 종준위까지 동정되었다. 계절별로는 1995년 6월에 전정점에서 10~27분류군이 출현하여 가장 다양한 출현 양상을 보였으며 홍수 발생 직후인 1995년 7월에 가장 빈약하게 출현하였다. 정점별로는 상류에서 하류보다 많은 종류가 출현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최대출현량은 입방미터당 44,317 개체(1996년 6월, 정점 7)를 기록하였으나 같은 정점에서 1995년 7월에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다. 계절별로는 1995, 1996년 모두 6월에 높은 출현량을 기록하였으며 7월과 1월에 출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우점종으로는 지각류인 Daphnia galeata와 D. pulex 및 Bosmina longirostris와 요각류인 Canthocamptus carinatus, Cyclops vicinus, Thermocyclops hyalinus 및 요각류 유생이 출현하였다. 단일종으로 D. galeata가 최대 입방미터당 16,964개체의(1996년 6월, 정점 2) 농밀한 개체군을 형성하였으며 D. pulex, B. longirostris, T. hyalinus, C. vicinus도 각각 입방미터당 9,375 개체, 7,250개체, 6,714개체 및 5,772개체의 개체군이 관찰되었다. 동물플랑크톤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1996년 5, 6월을 제외하고는 상류역인 정점 1~4에서 하류역인 5~7보다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14.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17.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