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신학을 중심으로 ‘현대문화 속에서 복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교회의 선교적 과제’에 관한 연구다. 뉴비긴 은 35년간의 인도 선교사역을 마치고 영국으로 돌아왔을 때 교회가 복음의 진리를 증거하는 일에 겁에 질려 있는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기독교국가’(Christendom)라는 위용은 사라지고 타종교인들이 더 열성적으로 서구유럽사회에 선교적 도전을 가하고 있는 현상을 목격하 면서 현대문화 속에서 교회가 갖는 선교적 과제를 숙고하게 되었다. 그는 특별히 개인주의가 만연되어 있어서 교회 공동체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을 보지 못하게 만든 서구문화 속에서 복음의 해석자로서의 교회가 복음을 바르게 믿고 그 복음대로 살아가기 위한 선교적 도전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교회를 살아 있는 복음의 해석자로 명명하고 교회는 철저하게 복음을 공적인 진리로 선포함과 동시에 살아내기 위해 문화의 옷을 입지 않으면 안 됨을 강조했다. 복음의 진정한 공공성을 회복하기 위해 교회는 문화 변혁의 선구자적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타종교와 관계 속에서 어떻게 예수를 유일한 구원자로 증언할 수 있을까를 숙고하고 교회는 배타적인 자세를 지양하고 상호 배움과 포용적 태도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공적 진리의 핵심임을 증언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런 입장에서 필자는 뉴비긴의 선교신학 안에 나타난 ‘복음의 상황화 문제’, ‘복음과 현대문화와의 관계’, ‘복음과 타종교와의 만남’, ‘구원자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 현대문화 속에서 교회의 선교적 과제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뉴비긴이 각각의 소주제들을 통해 일관성 있게 주장하는 것은 복음은 사적이거나 축소될 수 없으며 공적 진리로서 모든 인류를 위한 하나님의 구속적 선교 메시지임을 주장한다. 그는 교회가 복음을 공공의 진리로 긍정하게 될 때 교회성장에 함몰되어 그저 자기성장만을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주의적, 상대주의적 벽을 허물고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구속하기 위해 보내신 예수 그리스도 를 주로 인정하게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더욱이 현대문화 속에서 복음이 공적 진리로 선포되어 복음의 공공성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교회는 하나님께서 보내신 선교적 도구요 하나님 나라 선교 운동을 위해 파송 받은 종말론적 공동체로 존재해야 한다. 뉴비긴은 복음의 공적 진리를 증언하기 위한 교회의 선교적 과제를 언급하면서 교회는 복음의 증언을 위해 존재하며 스스로 권좌에 앉아 권력을 휘두르 는 잘못을 범해서는 안 되고, 반면 교회는 겸손하게 하나님께서 세상 가운데 선교적 도구로 파송한 그의 선교적 도구임을 인식하고 세상에서 구원자로서 그리스도의 유일성을 증언하기 위해, 그리고 복음의 삶을 살아내기 위해 복음의 증인이 되어야 함을 우리에게 가르친다.
        6,900원
        2.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 세계에서 주목받으며 성장하고 있는 오순절/은사주 의운동의 역사적, 신학적 배경을 살펴본다. 몇 십 년 동안 오순절/은사 주의 진영은 신학이 없다고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한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조차도 풍부하고 다양한 신학이 나타나고 있다. 성령세례는 오순절/은사주의 신학의 중심축이다. 그러므로 오순 절과 은사주의 신학연구에 있어서 성령연구는 반드시 신학적으로 서로 비교되어 정의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두 운동 사이에 많은 유사성과 차이점 때문에 성령세례와 관한 비교연구는 연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게다가 성령세례에 관한 오순절과 은사주의의 두 가지 다른 의견은 성령충만에 있어서도 다른 의견들을 만들어냈다. 오순절주 의자들은 성령을 받아들이는 것은 단순한 오순절 사건으로 본 반면에 은사주의와 복음주의자들은 성령을 받아들이는 것은 새로운 능력을 얻는 것을 포함한 중생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오순절과 은사주의 내의 다양한 신학적 견해, 즉 성령론, 성령세례, 방언, 여러 가지은사, 중생, 성화 등을 살펴보고 오순절/은사주의 세계화 속에서 다양한 나라의 오순절과 은사주의 운동의 기원, 그리고 그것들의 신학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선교학적으로 만일 ‘주류’라는 것을 숫자로 정의한다면, 오순절주 의는 개신교가 이미 로마 가톨릭과 이슬람에 내놓은 가장 중요한 대안이 다. 오순절주의는 한 때 주류였던 개신교 그룹들을 갓길로 몰아내고 대신 자신이 주류 자리를 차지했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오순절운동을 좋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오순절운동의 신자수를 더 파악 하게 되면서 전 세계에 걸쳐 기독교에 커다란 변혁이 일어나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으며, 그 결과 기독교세계는 오순절주의를 진지하게 받아들 이게 되었다. 오순절주의는 이토록 미래의 기독교에서 점점 더 중요하 게 살펴보아야 할 주제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오순절운동이 다른 종교운동과 마찬가지로 수많은 분열과 변형에도 불구하고,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그토록 경이적으로 성장하는 종교운동이 되게 하였는지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9,300원
        4.
        2010.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5.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erm “culturally refracted contexts” means the distorted, twisted, and fixed contexts which have lost the functional roles of the social integration in the specific cultural situations. The author tries to categorize three kinds of the distorted cultural patterns among the culturally refracted contexts of Korean society by using an anthropological method. The first one is related to “distorted nationalism” in a refracted context of the traditional pre-modern culture in Korea. It has been shown up to the society as a phenomenon of worshipping the national forefather Dangun. The second one is to be known as “extremely twisted totalism” in a culturally refracted context of militarism in Korea. It has impacted on the politic, the economy, the religion, and even the education of Korean society. The third one is to be tied with “distorted mammonism” in a culturally refracted context of materialism. It has been rooted and fixed to “extreme ethnocentrism” in Korea. The author, then, argues that Korean churches should have God’s mission to integrate the distorted and twisted society with the gospel of Jesus Christ which brings reconciliation and recovery to the culturally refracted contexts of Korean society. The distorted and twisted contexts of Korean society should be recovered to the grace community of God, the peace community of Jesus Christ, and the mission community of the Holy Spirit. In other words, the “distorted nationalism” in a refracted context of the traditional pre-modern culture in Korea has to be deleted in the society by God’s universal grace. The social oppressed and the weak can be protected and empowered by the grace of God. The “extremely twisted totalism” in a culturally refracted context of militarism in Korea can be nullified by Christ‘s sacrificial peace which brings the culture of resurrection and life. The “distorted mammonism” in a culturally refracted context of materialism in Korea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sharing community to the world by the witness of the Holy Spirit who gives th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Korean churches as the community of the Holy Spirit, Jesus Christ, and God the Father should have a social and missional role of integration within the refracted Korean contexts of the distorted nationalism, totalism, and materialism with God’s grace, Christ’s peace, and the Holy Spirit’s sharing witness to the world and the society of Korea.
        6,700원
        6.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George G. Hunter’s church growth insights revealed in his classic, To Spread the Power: Church Growth in the Wesleyan Spirit. On the basis of his insights and interpretations of collected data including interviews, letters, and observation, this study evaluates the mission programs of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Hunter adopted John Wesley’s ideas and the church growth theories developed by Donald A. McGavran and C. Peter Wagner to produce his own church growth theory.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Hunter’s church growth insights to a local church,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This church represents the Korean Nazarene Church (KNC) in this evaluation. (KNC was organized in 1948, although some Nazarene churches were already planted in Pyong Yang and Seou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unter’s church growth insights were translated into six “mega-strategies.” The six mega-strategies are: 1. Identifying receptive people, 2. Reaching across social networks to people, 3. Organizing new recruiting groups and ports of entry, 4. Ministering to the needs of people, 5. Indigenizing the ministries to fit the culture of the people, and 6. Planning to achieve their intended future. This study discovered some strengths and some weaknesses of the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The church was comparatively strong in evangelism and outreach, although DGR showed diversity between “poor” growth and “good” growth. The church has grown steadily since it was planted in 1947. In particular, the church was very aggressive in church planting work. However, the church was comparatively weak in cross-cultural missions, although it tried to build two church buildings, one in the Philippines and another in North India. This study presents seven suggestions to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based on missiological analysis and evaluation. In summary, the church needs to carry out holistic mission programs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proclamation / evangelism and social action / social service. Anjung Church of the Nazarene has a great potential to fulfill the Great Commission and to implement the Great Commandment. The classical purposes of missions are conversion, church planting, and the extension of God’s kingdom. God will be glorified by the local church.
        6,100원
        7.
        199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