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가온 시설토마토 재배지내에서 토마토녹응애 발생양상은 4월 중하순경 최초로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하순경 최대 발생을 나타냈다. 하지만 야간기온이 낮을 경우 번식력이 증가하게 되고 주간기온이 높을 경우에는 분산이 활발해져 고온기인 7월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유기농업자재 11종에 대한 토마토녹응애의 살충독성 실내검정 결과, EOIMa (Matrin 0.6%), EOICo (Clove oil 10%)가 500 배에서 각각 92.1%와 95.1%로 90% 이상의 살충효과를 보였다. 특히 EOIMa 1,000배에서는 90.4%로 90%, EOIMa 2,000배에서는 88.2%의 높은 살충효과를 보였다. 포장검정에서도 EOIMa 1,000배와 EOICo 500배는 각각 91.5%와 93.9%의 살충효과를 보여 두 약제 모두 농약을 대 체하기에 충분하였고 EOIMa의 경우 2,000배에서도 살충효과가 90%에 가까웠기 때문에 예방적 활용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마토의 주요해충인 토마토녹응애(Aculops lycopersici Massee)의 조기 예찰을 위한 새로운 예찰법 개발에 관한 것이다. 토마토 녹응애는 4월경 최초 발생하여 토마토의 아래 줄기부터 감염시키며 엽병을 타고 잎으로 이동한다. 발생이 심할 경우 줄기는 다소 광택이 나면서 녹이 낀 색을 보이며, 잎은 은빛을 띠다가 점차 녹슨 형태를 띠고 잎 끝이 말린다. 성숙된 과실보다 푸른색을 띠는 시기에 피해를 주며 과실에 피해가 보일 경우는 밀도가 상당히 높아야 하기 때문에 과실 피해를 보기란 쉽지 않다. 녹색의 라벨스티커에서 최초로 토마토녹응애를 찾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7.0초로 가장 짧았으며 청색, 주황색, 백색의 경우 각각 17.1, 19.8, 12.3초의 시간이 걸렸다. 투과현미경에 측광을 주었을 때 가장 관찰이 용이하였다. 토마토녹응애는 4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5월 중순 이후 급격히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6월 중하순경 최대 발생 양상을 보이고 기온이 높아지면서 6월 하순 이후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토마토녹응애 접종 후 개체군 증가를 보았을 때, 접종 20일 후 하단부 줄기에서 최초로 관찰되었고 60일 후에는 상단부 줄기에서도 관찰되었다. 접종 후 최대의 발생량을 보이는 시기는 줄기의 경우 40일부터 60일까지였으며 잎의 경우는 약 80일 후였다. 라벨스티커는 토마토재배지에서 토마토녹응애의 발생을 예찰하기에 충분하였다
        4,000원
        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edation, development, and ovipos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 (Acari: Phytoseiidae) as a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tomato russet mite, Aculops lycopersici (Massee) (Acari: Eriophyidae) which is a periodic pest of greenhouse tomatoes. Results show that A. swirskii attacked all developmental stages of A. lycopersici, and had a type II functional response on the prey densities given. The predation rates of A. swirskii on A. lycopersici in the presense of alternative food sources such as pollen, thrips first instar, or whitefly eggs were recorded as 74%, 56%, and 76%, respectively of the predation rate on A. lycopersici alone. Amblyseius swirskii successfully completed their life-cycle on either A. lycopersici or cattail pollen. At 25oC, 70% RH, development time of female A. swirskii fed on A. lycopersici or on cattail pollen took 5.0 and 6.2 days, respectively. For the first 10 days after moulting to the adult stage, A. swirskii fed on A. lycopersici had higher daily oviposition rate (2.0 eggs per day) than on pollen (1.5 eggs per day). From this laboratory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A. swirskii has promising traits as a predator against A. lycopersici and that their populations can be stably maintained using alternative food such as cattail pollen. We suggest that the effectiveness of A. swirskii against A. lycopersici under field conditions deserves to b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