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최대 간척지인 새만금 방조제 내부에는 간척토지 28,300ha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 중 30% 용지를 농업용지로 활용하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농업용지의 토지이용 계획이 당초 수도작 운영계획에서 전작 위주 토지이용 계획으로 변경되면서 논과 밭은 영농 및 용수체계가 다르므로 이에 대한 용수체계 및 유입 부하량 변화에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작화에 따라 새만금 농업용지 특성에 부합하는 작부체계를 고려하여 수도작 대비 오염부하 배출량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새만금 농생명용지 토지이용계획 및 이에 따른 작부·용수체계를 반영하기 위해 농업용지의 특성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작부시나리오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최신 구축된 HSPF 모델링시스템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전작운영 여건을 고려하여 새만금 지역의 기상조건에 적합한 작부체계 시나리오를 고안하여 채소작물, 사료작물, 식량작물로 구성된 이모작 작부체계 를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작부체계를 반영하여 새만금 농생명 용지 전작화에 따른 수도작 대비 오염부하 배출량을 비교한 결과 BOD와 TN 농도는 증가하지만 배출부하량은 감소하고, TP의 경우 농도와 부하량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새만금 농생명용지 토지이용 구상에 따른 오염부하량 산정을 통한 새만금호 수질환경문제와 경제성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새만금호 수질보전을 위한 유역관리대책의 정밀한 평가 보완필요성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500원
        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지이용별로 토양 물리성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의 밭, 과수원, 논을 대상으로 토양물리성 특성을 4년 주기로 분석하였다. 밭은 작토심, 심토 유기물 함량, 심토 산중식 경도가 증가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감소하며, 개량기준 초과비율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과수원은 경운심이 증가하였으나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적정기준을 초과하는 비율은 4년 전보다 증가하였다. 논은 작토심,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증가하며 개량기준 초과비율이 증가하는 등 물리성 불량이 심화되었다. 최근 10년간 밭, 과수원에 비해 논의 물리성이 악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심토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고 심토 용적밀도가 증가하는 주요한 요인은 토양유기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토양물리성 질 관리에 유기물은 중요한 요소이었으며, 특히 논에서 지속적인 유기물 관리와 경운방법 개선 등이 필요하다.
        4,000원
        6.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imate change is the biggest concern of the 21st century.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various sector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cause of climate change. The DeNitrification-DeComposition (DNDC) model simulates GHG emissions from cropland. To study future GHG emissions using this simulation model, various factors that could change in future need to be considered. Because most problems are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DNDC would be unable to solve the factor-changing problem itself. Hence, it is necessary to link DNDC with separate models that simulate each element. Climate change is predicted to cause a variety of environmental disasters in the futur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human adaptation to environmental change,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ethods of farmland will also change greatly. In this study, we introduce some drawbacks of DNDC in considering future changes, and present other existing models that can rectify the same. We further propose some combinations with models and development sub-models.
        4,000원
        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역 농지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경상남도 농경지의 이용구조의 변화요인을 분석하고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체 작물을 쌀, 하계 식량작물류, 하계 채소 및 특용작물류, 과일, 보리쌀, 동계 노지채소류, 동계 시설채소류의 7개 작물 그룹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작물별 경작지 배분모형을 개발하여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자체가격과 재배면적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으며, 대체가격에 있어서는 하계작물의 경우 쌀과 과일 등 모든 작물간에 경합관계가 존재하고 있으며, 동계작물의 경우, 노지 채소류와 시설채소류간에 경합관계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재배면적의 자체가격과 농업노임에 대한 탄성치도 연도별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나리오 분석 하에 경남지역 작물의 총재배면적은 2010년 15만 9천 ha에서 2020년에는 14만 3천 ha∼15만 3천 ha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작물그룹별로 쌀, 기타식량작물류, 보리쌀은 재배면적의 감소가 예상되며, 하계채소․특용작물류, 과일, 동계노지채소류, 동계시설채소류는 재배면적의 정체가 예상된다.
        4,300원
        10.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may be said that a farmer's crisis deepens from the number of farm households and a trend of the number of cultivated land of the farmer attracting attention for the most fundamental numerical value of the Census of Agriculture 2005. A rate of decline of number of farm households seems to have been stopped, but expansion lasts a number of farm households rate of decline. I can, so to speak, watch weakening of flatland area and luck of mountainous areas and a situation to say if I look in that according to classification agricultural area. I can nominate the effect of a direct payment system for farmers in hilly and mountainous areas enforced in 2000 for the background. It is located in case of the policy introduced preceding it while the rural community and the community including the urban area being paid attention as the last resort of a regional reproduction now. In particular, the character as the village activation subsidy has been strengthened in case of the 2nd stage institutional revise.
        11.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rmers' intentions, attitudes, and the type of filming they are involved in, including to provide supporting data for planning the agricultural strategy and Green Belt policy in Seoul. Al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tingency tables and the Chi-square test using the SAS computer statistical package. The leaseholders did not want to change the current Green Belt policy for the study area, while the landowning farmers hoped for either its revision or dissolution. Both groups pointed out that the Green Belt policy resulted in the delay of development and complained about the difficulty of changing the land use type. The older generation supported the dissolution of the Green Belt, policy, as compared with the younger generation who wanted to maintain or modify the policy. The leaseholders worried that the possible changes in the Green Belt policy might affect the current agricultural land contract system, whereas the landowning farmers were very interested in easing restrictions on changing land use. The compensation plan, which is indemnified land owners for their loss of restrictions on land use, might be useful to sustain urban farming in the Green Belt.
        12.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북한강 수계의 농업소유역에 대하여 하천수(2년)와 지하수(1년) 수질을 모니터링하여 분석하였다. 농업소유역의 주요한 비점원 오염물질인 총질소, 질산성 질소, 총인, BOD, TSS 및 대장균 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였다. 계절에 따른 수질의 변화 및 지하수와 하천수 수질과의 관계 비교를 통하여 토지이용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유역의 지하수 수위와 총질소, 질산성 질소의 농도의 벼농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지하수와 하천수의 질소농도의 변
        13.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rational agricultural land use planning, it is quite necessary to get hold of land suitability precisely and to make decision on land use patterns accordingly. In the methodological viewpoint, objective and scientific evaluation techniques for land suitability classification should be supported for the systematic land use planning. As one of technical development approaches to rational land use planning, this study tried to frame a land suitability evalu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purposes. Evaluation unit is defined as a tract of land bounded by road, other land units and topographical features. And quantification theory was applied in the determination works of evaluation criteria. The administrative area of Namsa-myon(district), Yongin-si(city), Kyunggi-do(province) was selected for the case study. In order to check the feasibility of the evaluation system developed in the study, field check team, consisting of 2 government officers and 2 representative farmers, carried out evaluation works by observation on 148 sample land units, 10% of total 1,480 ones. Between estimated and observed results, there showed very good relationship of its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R=0.9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