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AP and its derivatives for their potentials as natural acaricides using the vapor phase and contact toxicity bioassays against Dermatophagoides spp. and Tyrophagus putrescentiae, and then compared with that of commercial acaricide such as benzyl benzoate. The acaricidal constituent of A. koreana was isolated by various chromatographic techniques and identified as 2’-H-4’-MAP. In the vapor phase toxicity bioassay, based on the LD50 values of 2’-H-4’-MAPand its derivatives against D. farinae, 2’-MAP (1.25 ㎍/㎠) was 8.0 times more effective than benzyl benzoate (10.00 ㎍/㎠), followed by 3’-MAP (1.26 ㎍/㎠), 4’-MAP (1.29 ㎍/㎠), 2’-H-4’-MAP (1.75 ㎍/㎠), and 2’-H-5’-MAP (1.96 ㎍/㎠). In the contact toxicity bioassay, 3’-MAP (0.58 ㎍/㎠) was 12.97 times more toxic than benzyl benzoate (7.52 ㎍/㎠), followed by 2’-MAP (0.64 ㎍/㎠), 2’-H-4’-MAP (0.76 ㎍/㎠), 4’-MAP (0.77 ㎍/㎠), and 2’-H-5’-MAP (1.16 ㎍/㎠).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2’-H-4’-MAP derivatives against D. pteronyssinus and T. putrescentiae were similar to those against D. farina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caricidal activities of 2’-H-4’-MAP derivatives against the three mite species were changed with the introduction of hydroxyl (-OH) and methyl (-CH3) groups onto the acetophenone skeleton.
        3.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최근에 경북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강활재배에서 노두로 번식되고 있는 북강활을 중심으로 피복재료에 따른 추대반응과 생육특성을 분석하여 재배기술 체계를 확립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 피복재료별 오전 10시의 지온은 무피복구에 비해 흑색P.E피복구와 투명P.E피복구가 각각 0.5, 2.9℃ 높았고, 오후 2시의 지온은 각각 0.8, 4.8℃ 높았으며, 볏짚피복구는 무피복구에 비해 지온이 낮았다. 2. 추대율은 무피복구 및 볏짚피복구에 비해 투명P.E피복구와 흑색P.E피복구구는 각각 11.4, 13.6%로 유의하게 높았고, 개화기는 투명P.E피복구와 무피복구에서 빨랐으며, 화경장과 화경수는 피복재료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3. 근생엽장은 흑색P.E피복구가 가장 길었고 다음이 투명P.E피복구이며, 엽수 및 노두수는 흑색P.E피복구에서 가장 많았다. 지하부의 건근수량은 흑색P.E피복구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투명P.E피복구이며 벗짚피복구과 무피복구가 가장 낮았다. 토양 피복재료별 잡초발생은 무피복구와 투명P.E피복구에서 많았고, 흑색P.E피복구에서 가장 적었다. 강활재배에 있어서 흑색P.E피복이 추대율을 다소 증가시키는 반면 잡초방제와 수량 증대에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활의 캘러스 및 식물체 중 Ge 함량에 미치는 GeO2와 구연산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식물체 부위별로 캘러스를 유도하고 캘러스 증식시 GeO2와 구연산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증식율 및 캘러스의 Ge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강활을 pot에 재배하여 GeO2와 구연산을 농도별로 시용하여 식물체 중의 Ge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캘러스 유도는 소엽병 〉 엽병 〉 소엽 순으로 잘 되었고, 생장 조절제는 2, 4 - D 1. 0ppm에서 가장 잘되었다. 2. 캘러스 증식에는 2, 4 - D 농도별로는 2, 4 - D 2. 0ppm에서, 2, 4 - D 2. 0ppm이 첨가된 배지에서 GeO2 농도별로는 GeO2 2. 5ppm에서 2, 4 - D 2. 0ppm과 GeO2 2. 5ppm 첨가한 배지에서 구연산 농도와 pH별로는 구연산 0. 1, 1mM, pH 6에서 캘러스 증식이 가장 좋았다. 3. 캘러스 중 Ge 함량은 GeO2 시용량이 20ppm까지는 많을수록 높았고, 구연산과 pH 별로는 구연산은 0. 1mM, pH는 낮을수록 Ge 함량이 높았다. 4. 식물체 부위별 Ge 함량은 잎 〉 뿌리 〉 줄기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GeO2 시용으로 Ge 함량이 높았고, 구연산 시용은 구연산 1mM에서 Ge 함량(含量)이 가장 높았고, 10mM 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었다. 5. GeO2 시용량 증가는 캘러스나 식물체 중 GeO2 함량을 증가시키나 기타 무기성분 함량은 감소되는 경향이었고 구연산 0. 1~1mM 시용으로 약간 증가되는 경향이다.
        6.
        199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활(羌活)(Angelic koreana Max.)의 캘러스 배양(培養)과 식물체(植物體) 재분화(再分化)에 필요한 배양(培養) 조건(條件)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유엽(幼葉) 및 미숙화(未熟花)의 화경(花梗) 배양(培養)에 미치는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sucrose 및 배지(培地) 응고제(凝固劑) 등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유엽(幼葉) 유래(由來) 캘러스 생장은 1 mg/l 2,4-D를 첨가한 MS배지에서 왕성하여, 생체중(生體重) 및 건물중(乾物重)이 가장 높았다. 2. 캘러스 생장을 위한 적정 sucrose농도는 2% 였으며, sucros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캘러스 생장이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3. 배지(培地) 응고제(凝固劑)에 따른 캘러스 생장은 1.2% agar, 0.4% Gelrite에서 생체중(生體重) 및 건물중(乾物重)이 가장 높았다. 4. 배지내 10mg/l ABA와 5~10mg/l AgNO3 첨가는 유엽(幼葉) 유래(由來) 캘러스의 갈변화(褐變化)를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무처리(無處理)보다 캘러스 활력도 높았다. 5. 미숙(未熟) 화(花)의 화경(花梗) 배양(培養)에서 캘러스 형성율은 NAA보다 2,4-D가 효과적이었으며, 2mg/l 2,4-D를 첨가한 배지에서 81.7%로 가장 높았고, 캘러스 생장도 왕성하였다. 6. 유엽(幼葉) 유래(由來) 캘러스로부터는 식물체(植物體)가 재분화(再分化)되지 않았으나, 미숙(未熟) 화(花)의 화경(花梗) 유래(由來) 캘러스는 0.5 mg/l 2,4-D, 1 mg/l kinetin, 5 mg/l ABA와 5 mg/l AgNO3 첨가배지에서 체세포(體細胞) 배(胚)가 형성되었으며, 이들 체세포(體細胞) 배(胚)로부터 식물체(植物體)가 발생(發生)되었다.
        7.
        199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 또는 약용으로 그 이용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는 강활의 미숙화서, 줄기, 그리고 엽병으로부터 캘러스 유도와 식물체 발생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캘러스 유도와 증식정도는 미숙화서를 2,4-D 2mg/l 첨가배지에 치상했을 때 가장 양호하였 다. 2. 2,4-D 1mg/l와 2mg/l 첨가배지에서 미숙화서로부터 유도된 담황색의 유연한 캘러스 표면에 희고 단단한 embryogenic 캘러스가 발생하였고, 그외 배지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3. 줄기 발생은 2,4-D 0.1mg/l와 Kinetin 1mg/l 그리고 2,4-D 0.5mg/l와 Kinetin 2mg/l를 각각 조합한 배지에서 가장 효율적이었다. 4. 캘러스 유도와 식물체 재생에 가장 적합한 재료는 미숙화서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