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ssential oil (EO) from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on quality of tomato during storage. EO was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and diluted by 1 and 2%.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O were analyzed. Tomato was packaged corrugated box covered with polypropylene (PP) film containing EO (1 and 2%) and t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10 days. During storage, appearance, weight loss rate, soluble solid contents, pH and a (redness) value were measured for tomato. Total phenolic contents of EO increased in a dose-dependence.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lso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The weight loss rate was lowest using the film packaged in 1% EO. During the storage period, soluble solid contents and pH increased in all treatments. The a value increased regardless of EO concentration in films. Especially, tomato packaged with EO film showed a lower a value than non EO-packaged ones. This result suggests that application of EO to film is effective for tomato quality preservation.
        4,000원
        2.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earch for immunoactive natural products exert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have evaluated the effects on the water extrac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APP)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NO),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d prostaglandin E2 (PGE2) production by RAW 264.7 macrophage cell line. Our data indicate that this extract is a potent inhibitor of NO production and it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PGE2 and TNF-α production. Consistent with these results,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level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was inhibited by water extracts of APP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 may exert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possibly by suppressing the inducible NO synthase and COX-2 expressions.
        3.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증류수 및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온도 (60, 100℃) 및 초음파 병행 조건을 달리한 사자발쑥의 추출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100℃ 열수 추출이 20.51%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또한 60℃ 및 100℃ 열수 추출이 60℃ ethanol 추출에 비해 각각 2배, 3배 정도의 수율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추출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이 일반 열수 추출과 비교하여 약 20%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인간 정상세포를 이용한 사자발쑥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60℃ ethanol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0℃ 물 추출물의 세포독성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이 초음파를 병행하지 않은 각각의 조건에 비해 5~8%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암세포를 이용하여 사자발쑥 추출물의 첨가를 통한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 측정 결과를 통해 0.8 mg/ml 이상의 농도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100℃ 물 추출물이 최고 73%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60℃ 물 추출물의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40~62%의 활성을 나타냄으로서 모든 농도조건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의 암세포 억제 활성이 초음파를 병행하지 않은 열수 추출물에 비해 최대 110% 까지 증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선택성에서도 모든 조건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이 병행하지 않은 일반 열수 추출물에 비해 증가된 세포선택성을 나타냈다. 암 발생 기작을 알아보기 위한 bcl-2 발현 실험에서 100℃ 물 추출물의 IOD 수치가 가장 높게 나왔으나 초음파를 병행을 통해 감소하여 가장 적은 수치를 나타냄에 따라 초음파 병행 공정을 통해 열수 추출 공정 및 용매에 따른 암 발생 관련 성분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사자발쑥의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 60℃ 이상 100℃ 미만의 온도에서 물을 용매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음파 병행 공정을 통해 수율 향상 및 세포독성의 저해는 물론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약용으로 이용 되어온 약쑥의 품질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특수한 용도로 이용되어 온 약쑥을 48개 지역에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에 걸쳐 210점을 수집하여 잎의 유효성분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잎 100 9에 함유된 eupatilin 함량은 0~228.0mg (평균 43.8 mg), jaceosidin 함량은 0~73.8mg (평균 12.8 mg)이 었으며, sesamin 함량은 0~6.78mg (평균 3.58 mg)의 변이를 보였다. 이들 화학성분 중 수집지역별로 함량변이가 큰 eupatilin 성분을 비교한 결과 강화도, 백령도를 중심으로 한 서해안 지역에서 수집된 것에서 높고, 동해안과 남해안지역에서 수집된 약쑥에는 eupatilin이 거의 함유되지 않았다.
        5.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ree stigmastane-type sterols and one ergostane-type sterol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uarissuk). From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data including NMR, MS and I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stigmasta-5,22-dien-3,β-ol (stigmasterol, 1),stigmast-5-en-3β-ol(β-sitosterol,2), 5β,8β-epidioxy-5β,8β-ergosta-6,22-dien-3β-ol(ergosterol peroxide, 3), and β-sitosterol 3-O-βD-glucopyranoside(daucosterol,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