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Flat 각막에 다른 종류의 소프트렌즈를 피팅 시 덧댐굴절검사 값과 각막지형도기기 측정 시 변화 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평균 각막 곡률은 평균 8.40±0.20 mm를 가진 20명(23.38±2.65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동일 도수의 렌즈(-3.00 D)를 가진 두 가지의 BC(8.5와 9.0 mm) 렌즈와 두 가지 재질(하이드로겔 렌즈 그리고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참여자들이 착용을 하였다. 렌즈 안정화 이후 자동굴절검사계(KR-8100)를 이용한 덧댐굴절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Oculus Keratograph 5M)의 측정을 하였으며,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착용한 렌즈의 도수를 보정한 후 착용 전 굴절이상 값을 기준으로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결과 : 4종의 렌즈 간 착용 전⋅후의 자동굴절계 변화량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293), 각막 지형도 변화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베이스 커브와 재질별 분석에서, 자동굴절계 측정치의 차이값은 베이스 커브가 BC 9.0 mm인 0.16±0.04 D, 8.5 mm인 경우 0.19±0.04 D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420), 하이드로겔 재질은 0.12±0.04 D, 실리콘 하이드로겔 0.23±0.04 D의 변화를 보여서 또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 다(p=0.064). 각막 지형도 변화 차이에서는 BC 9.0 mm은 0.36±0.01 D, BC 8.5 mm는 0.34±0.01 D로 BC 차 이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393), 하이드로겔 0.32±0.01 D, 실리콘 하이드로겔 0.39±0.01 D의 변화를 보여 재질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01). 결론 : Flat 각막일 때 소프트렌즈 착용 시 렌즈의 각막과 밀착 정도가 달라질 수 있어, 덧댐굴절검사 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도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된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소프트렌즈는 낮은 모듈러스로 flat 각막임에도 렌즈와 각막 간의 이격이 정상적인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flat 각막으로 피팅 시 렌즈의 움직임으로 인한 불편함은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이나, 굴절이상 교정 효과는 정상적인 각막과 유사한 정도의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300원
        2.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재질과 곡률반경이 다른 소프트렌즈 렌즈 착용 후 자동굴절검사계를 통한 덧댐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 기기 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각막곡률 평균 7.77±0.24 mm인 20명(평균연령= 24.73±2.52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BC 8.5mm 와 9.0 mm의 BC를 가진 하이드로겔렌즈 그리고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 총 4가지의 동일도수의 렌즈(-3.00 D)를 참여자들이 무작위 순서로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렌즈 착용 전과 착용 중 자동굴절검사계를 이용한 덧댐검사 측정과 각막지형도의 측정을 하였으며,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착용한 렌즈의 도수를 보정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 자동굴절계 및 각막지형도 측정한 굴절력의 변화량의 4종의 렌즈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자동굴절계 p=0.691, 각막지형도 p=0.438). 재질별 자동굴절계 측정 차이는 하이드로겔 0.05±0.05 D, 실리콘하이드로겔 0.12±0.04 D(p=0.327), 베이스커브 따른 자동굴절계 측정 차이는 BC 9.0 mm은 0.06±0.05D, BC 8.5 mm 인 경우 0.11±0.05 D(p=0.482) 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재질별 각막지형도 굴절력 차이는 하이드로겔 0.30±0.05 D, 실리콘하이드로겔 0.38±0.05 D(p=0.298), BC에 따른 각막지형도 굴절력 차이는 BC 9.0 mm은 0.36±0.04 D, BC 8.5 mm는 0.32±0.06 D,(p=0.482)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0.537). 결론 : 렌즈의 재질과 베이스커브에 따른 렌즈 착용전 후 자동굴절계를 통한 덧댐굴절검사 측정은 차이가 없지만 각막지형도상에서는 0.25 D 이상의 변화가 측정됨으로, 콘택트렌즈 처방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시 된다.
        4,000원
        3.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 This study measured obiectively the accommodative responses stimulated by push-up method and minus lens method with the NVision-K 5001 open-field autorefractor,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previously published data. Methods : Forty-five subiects aged 19 to 29 years (mean 22. 7±2.4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ee conditions were used to stimulate accommodation and accommodative responses were measured objectively by NVision-K 5001 : (1) push-up test under binocular viewing condition ; the target was placed at vergence ranging from 0-50 in 1D steps. (2) push-up test under monocular viewing condition ; the target was placed at vergence ranging from 1-50 in 1D steps. (3) minus lens test under monocular viewing condition ; a distant(6 m) target viewed through increasing powered minus lenses from 1-50 in 10 steps. Trial lens calibration procedures were also performed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NVision-K 5001. Results : The calib1·ation of NVision-1< 5001 wilh trial lenses showed linear regression equation which was close to the idea! 1 : 1 line(y = -1.005x + 0.060, r2 = 0.999. p < 0.001). The accommodative responses measured with the NVision-K 5001 for the push-up and minus lens- stimulated accommodation progressively lagged behind the increasing acconunodative stimulus. 8oth push-up methods under monocular and binocular viewing conditions showed significanlly higher acconunodative responses than minus lens method(p < 0.001). Push-up method under binocular viewing condition demonstrated slightly higher accommodative responses compared with monocular conditio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p = 0.958). Conclusion : The objective accommodative responses stimulated by push-up and minus lens method and measured with open-field autorefractor showed good agreement with previously published data.
        4,000원
        4.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개발된 자동굴절계 (URK 700, Unicos사)의 임상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50 명 (100 안)을 대상으로 자동굴절검사와 자각식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표준표기법의 굴절이상도를 벡터 (h)로 전환하여 수평성분 (hl) , 회선성분 (hz) , 및 수직성분 (h3) 에 대 하여 분석하였다. 동일한 대상을 최소 30분 간격을 두고 2 회 측정한 자동굴절검사값의 평균은 모든 성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95% 일치구간은 수평성분 -0.83D - +0.78D, 회선 성분 -0.21D - +0.21D 및 수직성분 -0.82D - +0.78D 였다. 자각식 굴절검사값과 자동굴 절계로 측정한 굴절이상도의 평균 차이는 수평성분(hl) -0.15:t0.5ID, 회선성분(hz) -0.03:t 0.14D, 수직성분(h3) -0.34 :t 0.55D 였으며, 95% 일치구간은 수평성분 -1.l4D-+0.85D, 회선성분 -0.31D - +0.25D 및 수직성분 1.42D-+0.73D 였다. 자각식 굴절검사값과 자 동굴절검사값의 차이가 임상적으로 유의한 수준인 0.50D 이상을 보인 빈도는 수평성 분 17%, 회선성분 0% 및 수직성분 23% 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URK 700 자동굴절계는 외국산 자동굴절계의 신뢰도 및 정확도와 비교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임상성능의 개선이 요구되지만, 자각식 굴절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피검자의 굴절이상을 평가하는데 검영법을 대신하여 유용하게 활 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