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토대로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의 시·공간적 분포현황과 흰물떼새가 선호하는 서식지 유형을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흰물떼새는 전국 824 도엽 중 97개 도엽 (약 11.8%)에서 기록되었고 주로 서해안과 남해안의 해안선을 따라 집중 분포하였다. 또한, 일부 동해안과 내륙의 주요 강(한강, 금강,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주변, 제주도의 동쪽과 서쪽 해안선 일대와 대청도에서 관찰되었다. 주요 관찰된 시기는 봄철 이동시기와 번식기, 가을철 이동시기이며 환경부 중분류 토지피복 분석 결과 수역과 습지의 넓이가 흰물떼새의 서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환경부 세분류 토지피복의 연안습지 면적 분석 결과 흰물떼새가 관찰된 도엽의 대부분(약 90%)에는 연안습지가 형성되어 있었고, 연안습지의 형성여부가 흰물떼새의 분포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물떼새는 서식지의 변화에 따라 번식지를 이동하며, 서식지 환경변화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흰물떼새는 생물지표 기준으로서 연안습지 지역의 서식지 환경의 변화와 관련이 있고 시기별 개체수 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조간대 연안의 생태적 가치를 판단하는 지표종으로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하천생태계 내에서 작용하는 다양한 물리․화학 적 스트레서들의 영향을 어류를 이용한 생태건강성 평가를 통해 확인하고 Comet assay를 이용하여 DNA 수준에서의 영향을 파악하고 또한 Pre-warning system으로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사례연구로서 실시하였다. 대전 갑천의 5개 지점을 대상으로 생태건강성 평가를 위한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를 우리나라 환경에 맞게 수정 적 용한 Multimetric Fish Assessment Index (MFAI)를 적용하 였고, 지점을 상류 (S1), 중류 (S3), 하류 (S5)로 구분하여 피라미 (Zacco platypus)를 대상으로 Comet assay를 실시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MFAI 모델은 평균 26.8 (Fair)이고 지점에 따라 34 (Good–Fair)에서 20 (Poor)까지 변이를 보였으며,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어류의 생태지표특성 역시 하류부에서 민감종의 급 감 및 내성종의 급증이 나타나 생태건강성 평가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유전물질의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쓰이는 Comet assay도 상류보다 하류로 갈수록 DNA가 손 상된 세포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류보다 하류부에 서 오염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t species were reported to have specific vertical distribution in high mountains in Korea. The vertical distribution was recognized in Hanla mountain being highest in South Korea using pitfall traps in 2006. This phenomena suggests that temperature may be a main factor for distribution of ant species, since 0.5~0.6℃ of temperature decrease per each 100 m of altitude.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test this hypothesis. Ant communities were surveyed using pitfall traps (ten traps per each site) at 234 sites, which included 9 high mountains in South Korea.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nt species were found in all the high mountains. Abundance data (probability of occurrence, %) of seventeen abundant ant species which occurred at more than 10% of the study site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s regression analysis with four independent factors such as temperature, precipitation, light intensity, and NDVI. As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temperature was most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abundance in 11 of 17 species. Light intensity was most important in 3 species, and precipitation in 1 species. In the 11 species being highly dependent on temperature, determination index (R2) of regression model with one factor of temperature was approximately 90% of determination index of the regression model with all four factors. On the base of dependence on temperature and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ground foraging), six species such as Paratrechina flavipes, Myrmica kotokui, Pachycondyla javana, Pristomyrmex pungens, Camponotus atrox, and Crematogaster osakensis were selected as bioindicator for global warming. In the bioindicator ant species, M. kotokui and C. atrox were predicted to decline in abundance and distribution in Korean peninsula as temperature increases, whereas other four species including P. flavipes, P. javana, P. pungens, C. osakensis were predicted to increase. Temperature-Distribution models were established in four most temperature-responsive species including P. flavipes, P. javana, P. pungens, and M. kotokui, and distribution maps of the species were made from the model. Reversely, temperature was estimated from ant data of five bioindicator species using regression model, of which R2 is 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