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ducts an detailed examination of James S. Gale’s translation methodology applied to 104 titles from Yi Kyoo-bo (1168~1241)’s Dongguk Yi Sangguk Jip (Collection of Works by Yi Kyoo-bo, the Minister of the Eastern Country, 東國李相國集). Despite the non-realization of Gale’s publication aspirations, this marks early and pivotal efforts to acquaint English-speaking readers with Yi Kyoo-bo’s prose and poetry, thus promoting the global recognition of Korean literary heritag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riginal Chinese titles against their English renditions allows this paper to categorize the translations into five distinct methodologies: omission, condensation, literal translation, creative translation, and expansion. The findings reveal Gale’s inclination towards crafting succinct titles, frequently at the expense of excluding details that might elucidate the original texts’ contexts. This approach remains consistent across his translations of works by another eminent Korean author, Choi Chi-won. Contrarily, Kevin O’Rourke, a contemporary translator of Yi Kyoo-bo’s compositions, adopts a notably divergent strategy, favoring titles that adhere more closely to literal translation. Gale’s translation philosophy not only sought to transmit the essential messages encapsulated within the original texts but also endeavored to situate them within the ambit of Western literary conventions. This aspect underscores Gale’s instrumental role in the transcultural dissemination of Korean literature.
        6,300원
        3.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uan Feng” (摶風) is first seen in the Wei and Jin Dynasties, and which is formed by allusions “Tuan Fuyao” (摶扶搖) in Xiao Yao You of Zhuang Zi, and which is first called “Wuyi” (屋翼) in the Tang Dynasty. Since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words “Zhuan” (專) and “Fu” (尃) have been sometimes confused because of their proximity. Therefore, there has always been a dispute between “Tuan” (摶) and “Bo” (搏) about “Tuan Fuyao” in the literature after Wei and Jin Dynasties. Affected by this, “Tuan Feng” which represents the “Wuyi” is often falsely referred to as “Bo Feng” (搏風)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makes a textual research on the allusions referring to “Wuyi” as “Tuan Feng” rather than “Bo Feng” from the aspects of the differentiation and correction of “Tuan Fuyao” in the allusion, the naming rationale of “Wuyi” as “Tuan Feng” and the structure, component name, function and use of “Wuyi” in ancient wooden buildings.
        5,100원
        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미술가 박서보(朴栖甫 1931-)의 《묘법》에 내재된 예술적 의도와 실천의 과정을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의 이론으로 해석한 글이다. 추상적인 《묘법》의 선들은 목적 없는 반복에 의해 만들어진 표현적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표현적인 미술을 생산하기 위해 박서보는 반복 행위를 통해 마음을 비우길 시도한다. 이와 같은 자의식의 제거를 뜻하는 마음의 비움이 들뢰즈에게는 기관 없는 몸이다. 자아가 해체된 기관 없는 몸이기 때문에 그것은 목적을 가지지 않는 반복 행위를 수행한다. 따라서 박서보의 목적 없는 반복이 들뢰즈의 ‘개념 없는 반복’이다. 그러한 기관 없는 몸에 새겨진 박서보의 추상의 선들은 강도의 차이에 의해 순수 차이를 만든다. 그것이 바로 들뢰즈가 말하는 개념 없는 반복이 만든 ‘개념 없는 차이’이다. 개념 없는 반복이 강도 적 차이 또는 관계적 차이에 의한 개념 없는 순수 차이를 만드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념 없는 반 복이 만든 개념 없는 차이의 미술이기 때문에 그것은 자의식이 관여된 앵포르멜이 추구한 자아 표현과 구별되는 것이다. 박서보가 그의 예술적 생애를 걸쳐 추구하는 ‘묘법’은 바로 이러한 개념 없는 반복이 만든 개념 없는 차이의 순수 표현에 의한 것이다. 박서보의 행동에 내재된 매번 다른 강도가 만든 그러한 순수 표현과 차이를 드러내는 각각의 《묘법》들은 서로 유사하면서도 다르다. 그러한 순수 차이로서의 미술은 또한 들뢰즈가 개념화한 시뮬라크르로 설명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각의 《묘법》들은 또한 차이의 시뮬라크럼이다. 결과적으로 박서보의 예술 실천은 들뢰즈가 설명한 개념 없는 반복이 순수 표현을 통해 개념 없는 차이의 독특성을 획득하는 예술작품을 본질 을 증명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6,600원
        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이규보(1168~1241)의 시론의 특징과 그 시적 변용의 미학을 살펴보는 데 있다. 시와 술과 거문고를 너무 좋아하여 ‘삼혹호선생 (三酷好先生)’으로 불렸던 이규보는 경전과 사기와 선교를 두루 섭렵하였다. 무엇보다도 이 시기에 발흥한 선시는 이규보의 사상과 시 창작의 태도에 지 대한 영향을 미쳤다. 평생을 ‘시마(詩魔)’에 붙들려 살았던 그의 시벽(詩癖) 은 결국 시마에 대한 관심과 그것의 극복으로 연결된다. 그의 시론의 특징 은 시 창작에 있어 감정에 연유하여 발로되는 ‘연정이발(緣情而發)’과 시는 새로운 뜻(新意)과 새로운 언어(新語)로 담아내야 한다는 ‘어의창신론(語意 創新論)’이다. 이규보의 이러한 독특한 시적 이론은 그의 선심의 시심화에서 한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자유로움을 좋아하는 성품 탓으로 벼슬을 제수받지 못한 시기는 오히려 그에게 뜨거운 시혼으로 많은 시가 창작되는 절호의 기회였다 할 수 있다. 아울러 그는 차를 마시는 것뿐만 아니라 차를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번뇌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생각하고 있는 점도 주목 할 만하다. 특히 진여의 상징인 달빛에서 공(空)을 읽어내는 그의 감수성과 각성의 경지가 고상한 깨달음의 시적 세계로 표현되고 있는 점은 간과 될 수 없다. 따라서 우물 속에 비친 달빛이라는 허상을 주목하여 공사상과 연 기사상을 간파하는 그의 선적 사유의 시적 표현은 선시의 미학을 명징하게 보여주고 있음을 밝혔다.
        6,900원
        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δ Scuti형 변광성 BO Lyn의 파장에 따른 광도곡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보현산천문대의 1.8m 반사망원경과 적외선 검출기 KASINICS를 이용한 측광 관측을 수행하였다. 2011년 3월 26일부터 4월 1일까지 총 7일간의 관측 자료 로 J, H, Ks필터 광도곡선을 얻어 기존에 보고된 V필터에서의 광도곡선과 비교하여 주기, 극대점, 진폭, 형태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적외선 광도곡선의 주기 분석 결과 단일 주파수해 f1=10.712 cycle/day, 주기 P=0.09335±0.00002 days의 값을 얻었으며, 파장에 따른 주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적외선에서는 2f1에 해당하는 주파수가 검출되었는 데, 이는 고진폭 δ Scuti형 변광성의 특징인 비대칭적인 광도곡선의 형태를 잘 설명해준다. 극대점의 위치를 비교한 결 과 계산된 V필터의 예상 극대점보다 관측된 적외선 극대점이 전체 주기의 약 0.3에 해당하는 만큼 더 늦게 나타났다. 진폭은 ΔJ/ΔV=0.328, ΔH/ΔV=0.216, ΔKs/ΔV=0.211로 파장이 길어질수록 변광의 폭이 더 작게 나타났다. 파장에 따른 극대점의 지연과 변광폭의 차이는 맥동변광성의 밝기 변화가 주로 온도변화에 기인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4,000원
        7.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2O3–H3BO3:Eu3+ powders are synthesized using a mechanical alloying method, and their photoluminescence (PL) properties are investigated through luminescence spectrophotometry. For samples milled for 300 min, some Y2O3 peaks ([222], [440], and [622]) and amorphous formations are observed. The 300-min-milled mixture annealed at 800°C for 1 h with Eu = 8 mol% has the strongest PL intensity at every temperature increase of 100°C (increasing from 700 to 1200°C in 100°C increments). PL peaks of the powder mixture, as excited by a xenon discharge lamp (20 kW) at 240 nm, are detected at approximately 592 nm (orange light, 5Do → 7F1), 613 nm, 628 nm (red light, 5Do → 7F2), and 650 nm. The PL intensity of powder mixtures milled for 120 min i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powder mixtures milled for 300 min under the same conditions. PL peaks due to YBO3 and Y2O3 are observed for 300-min-milled Y2O3–H3BO3 with Eu = 8 mol% after annealing at 800°C for 1 h.
        3,000원
        9.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a flood season, Bo region could be easily exposed to flood due to increase of ground water level and the water drain difficulty even the water amount of Bo can be managed. GFI for the flood risk is measured by mean depth to water during a dry season and minimum depth to water and tangent degree during a flood season. In this paper, a forecasting model of the target variable, GFI and predictors as differences of height between ground water and Bo water, distances from water resource, and soil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for the dry season of 2012 and the flood season of 2012 with empirical data of Gangjungbo and Hamanbo. Obtained forecasting model would be used for keep the value of GFI below the maximum allowance for no flooding during flooding seasons with controlling the values of significant predictors.
        4,000원
        1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arly use of Da-bo tap and their transformation by analyzing the various meanings of the term pagoda in Chinese translations, the Sanskrit version of the Lotus Sutra, as well as Dabotap in the Mogao Caves of Dunhuang. In addition, we aim to highlight changes in Dabotap usage, which started out as residential spaces, but transformed into burial spaces over time. The detai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ly Buddhist monuments were usually either pagodas serving as burial places for the dead or shrines that were not. A Dabotap is a type of pagoda enshrining the body of Prabhutaratna, and was initially used as a residential space, rather than a burial place for the dead. Second, the terms stupa and caitya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he Sanskrit scriptures, and stupa is also further classified into dhatu, sarisa, and atmabhava based on the object being enshrined. In Gyeon-bo-tab-pum, the preconditions for caitya to transform into stupa is presented by explaining that worshipping the space enshrining the body of Prabhutaratna is worthy of the same status as the space enshrining sarira. Third, the Mogao Caves of Dunhuang had been depicted from the Western Wei of the Northern Dynasties until the time of the Yuan Dynasty. It was used as a residential space until the early Sui Dynasty, but was used as both residence and burial places until the Tang Dynasty when pagodas were first being constructed with wheel or circles forms on top, which then gradually changed into stupa (grave towers).
        4,300원
        11.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a-bo stupa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architectural languages and by studying the features of its architectural components and transitional changes shown in Da-bo stupa line drawings in Dunhuang Mogao Grot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st, the Da-bo stupa of Dunhuang faithfully follows the sutra of lotus, and although the form changes, the fundamental essence of Bo-tap-yong-chul and two seated Buddhas provided by the Gyun-bo-tap-pum in the sutra of lotus is consistent. 2nd, the pagoda body can be periodically divided into parasol, stupa, and royal palace types. The parasol type has an incomplete tower body, which makes distinguishing each of its architectural components difficult. The stupa type appeared between the early (AD 618–712) and middle (AD 766–835) Tang dynasty. It combines the form of Indian stupa type and East Asian wood structural architecture. The royal palace type, which appeared between the peak period of the Tang (713–765) and Sung Dynasties, shows the standardized pattern of the Da-bo stupa described as two seated Buddhas and Bo-tap-yong-chul. 3rd, the use of a stylobate does not appear in the early construction of Da-bo stupa, only in the later period, in the form of high pillars. Forms include many Su-mi-jwah and three-way stairways and Dab-do, but as time passes, the forms are simplified to the form of high pillars. 4th, the purpose of early Da-bo stupa was to provide space for Da-bo-yu-rae of Gyun-bo-tap-pum; hence, it did not have sangryoon(the top part). However, after it was influenced by general pagodas, sangryoon was established. Toward the Tang Dynasty, sangryoon has come to emphasize the forms of boryoon(nine wheels) or dome. However, this form is eventually simplified to only retain bo-joo(the orb).
        4,500원
        12.
        2012.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d phosphors of Gd1-xAl3(BO3)4:Eux3+ were synthesized by using the solid-state reaction method. The phasestructure and morphology of the phosphors were measur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and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microscopy (FE-SEM), respectively. The optical properties of GdAl3(BO3)4:Eu3+ phosphors with concentrations of Eu3+ ions of0, 0.05, 0.10, 0.15, and 0.20mol were investigated at room temperature. The crystals were hexagonal with a rhombohedrallattice. The excitation spectra of all the phosphors, irrespective of the Eu3+ concentrations, were composed of a broad bandcentered at 265nm and a narrow band having peak at 274nm. As for the emission spectra, the peak wavelength was 613nmunder a 274nm ultraviolet excitation. The intensity ratio of the red emission transition (5D0→7F2) to orange (5D0→7F1) showsthat the Eu3+ ions occupy sites of no inversion symmetry in the host. In conclusion, the optimum doping concentration of Eu3+ions for preparing GdAl3(BO3)4:Eu3+ phosphors was found to be 0.15mol.
        4,000원
        13.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화콘텐츠 가운데 한국 전체나 특정 지역과 연계되어 있으며, 이미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거나 확보할 필요가 있는 문화콘텐츠는 역사적 인물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특히 해양 인물과 관련해서 대표적인 것은 ‘이사부(異斯夫)’와 ‘장보고(張 保皐)’ 관련 문화콘텐츠다. 이사부는 일본과 마찰을 빚고 있는 울릉도 독도와 관련해서 주목을 받고 있고, 장보고는 동아시아 해상무역을 장악한 역사적 인물이라는 데서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 인물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콘텐츠는 ‘역사적 실존 인물’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순수한 창작으로만 완성하는 문화콘텐츠와 다르다. 바로 ‘역사적 사실’과 ‘허구’와의 거리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 실존 인물이기에 해양 인 물을 대상으로 한 문화콘텐츠는 역사적 사실성을 간과할 수 없다. 한편, 해양 인물에 대한 전체적인 이미지나 형상화에는 학술적 결과물에 의해서만 규정되어지는 것이 아니다. 얼마만큼의 대중적 인지도와 지지도를 확보하는가도 중요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고민해야 하는 것은 해양 인물을 어떻게 문화콘텐츠로 개발해야 그 의미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으며, 문화콘텐츠 수용자들의 입장에서 제대로 수용할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다. 필자는 그 해답을 스토리텔링에서 찾고 싶다. 스토리텔링은 이야기를 만들어 전달하는 내용과 기술, 매체를 아우르는 일종의 서사방식이다.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의 개발로 해양 인물을 다양하게 이야기할 수 있고, 대중들과의 소통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해양 인물 관련 연구자와 지방자치단체, 지역민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8,600원
        14.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가발전에 있어서 해양진출은 대륙진출보다 위험성은 있으나, 그 진취성과 개방성으로 영향력이 크다. 이러한 사실은 Rome, Saracen의 역사와 Portugal, Spain, Netherland 그리고 영구에 의해서 이룩된 대서양시대를 볼 때 그 의미는 분명하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경우도 백제가 일찍 서해로 진출하여 해양대국으로서의 위상을 처음으로 나타냈다. 신라의 경우 한반도의 동남부에 편재되어 있어 해양진출이 어려웠고, 더구나 왜구의 계속된 침입으로 유일한 탈출구인 동해로의 진출이 쉽지 않았던 것이다. 더구나 5세기에 이르러 신라는 국가적 성장은 가능했으나 고구려(광개토왕 장수왕)의 남하로 내륙진출이 어려웠기 때문에 동해안으로의 북진을 통해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는 정도였다. 그러나 6세기에 이르러 고구려의 남하가 약화되면서 신라는 한강유역으로의 진출과 동시에 동해안으로의 진출이 시작되었으니, 그것이 우산국 정벌이며, 이를 계기로 왜국의 침범이 보이지 않게 되었다. 이것이 신라의 첫 번째의 해외진출이었다. 그 후 신라통일기에는 정치적 안정과 대당 접근으로 당을 제외한 외부세계와의 접촉이 없었다. 신라가 해외로 눈을 돌리게 될 것은 9세기 후반 이후였다. 나 당 양국의 정치적 혼란으로 해적의 횡포가 증가되면서 제2의 해외진출의 필요성에서 장보고의 활동 이 시작되었다. 따라서 산동반도뿐 아니라, 강소성, 절강성 일대에 신라의 활동으로 드디어 해양개척 무역입국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후 고려 조선을 거치면서 해외진출이 나타날 수 없었기 때문에 제3의 해양진출로 독도문제가 야기될 수 있었다.
        5,100원
        15.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사부는 왕족 출신의 신라 최고 귀족으로서 신라의 대외팽창과 국가체제 정비에 앞장 선 국가의 동량이었다. 그가 살았던 6세기 전반은 신라가 크게 융성하고 뻗어가는 시기였다. 그는 국사 편찬을 건의함으로써 내치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큰 획을 그었고, 동해안 진출과 남해안의 가야 진출을 주도함으로써, 동남해 연안항로에 대한 주도권 확립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는 이후 신라의 국가 발전에 절대적 원동력이 되었다.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은 동해안 패권을 확립한 것을 의미하고, 금관국의 복속은 김유신 가문을 영입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신라의 삼국통 일이 이사부와 김유신의 연장선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으니, 이것이 이사부가 성취한 해양진출의 큰 의의이다. 장보고는 섬 출신의 일개 평민 신분으로 이사부와는 신분적으로 대조적이다. 그 가 살았던 9세기 전반은 국가가 주도하는 공무역보다는 개인 능력자가 주도하는 사무역이 발전하는 시기였다. 바로 이 시기에 장보고는 당으로 건너가 군인으로 출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무역의 최고 거상으로 성장하였다. 828년에는 신라에 돌아와서 흥덕왕의 지지를 얻어내 완도에 청해진을 건설하여 동아시아 해상 무역을 주도하는 기지로 활용했다. 그는 단순한 무역업에 그치지 않고 서남해지역에 대규모 청자생산단지를 건설하여 신라를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자기를 생산하는 나라가 되게 했으며, 한 중 일의 바닷길을 잇는 이른바 ‘장보고항로’를 활성화시켰다. 청자생산단지는 이후 고려청자로 이어져 전성기에 이르렀고, ‘장보고항로’는 고려시대에도 핵심 항로로 지속 발전해 갔다. 결국 이사부는 ‘원조 해양진출의 영웅’, 장보고는 ‘본격 해양진출의 영웅’이라 평가할 수 있겠다.
        10,500원
        17.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eunsemal, Sinhang-ri, Dunpo-myeon Asan-si,Chungcheongnam-do is where the former President of Korea, Yun, Bosun was born. The houses of Yun, Il-Sun, Yun, Je-Hyung, Yun, Seung-Gu, and where the former President Yun was born are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three houses of the Yuns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and the size is much different from regular houses since they were created as large scale house of nobilities during the Chosun Dynasty. Along with the three Yun houses and other houses in the village show a great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history and modern times. Unlike other traditional village arrangement, this village was created during the end of Chosun Dynasty and extended into the modern times. From the village, you can see the changes in architecture within the 200 years from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s to modern houses. This investigation is a research /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Keunsemal, Sinhang-ri, Asan-si. People can observe changes in the different types of architectural forms of houses based on the history of Korea and time periods. Within the village, there are large scale house of nobilities which were built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common people’s houses, farmhouses which were built during the modern times, common people’s houses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and modern houses with backyards. The village of Keunsemal, Sinhang-ri, Asan-si is a very special cultural asset for Korea because the houses in the village show a clear architectural process of change in styles of houses for Korean history.
        4,600원
        18.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chanochemical process were employed to prepare the red phosphors (Y,Gd). The main factors affecting particle size, particle distribution, and luminescent properties of the product were investigated in details. Particles sized around 200-600 nm are formed after intensive milling. The phosphor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photoluminescence spectrum. Results revealed that phosphors with different morphology, small particle size and high luminescence intensity could be obtained by mechanochemical process
        4,000원
        19.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the Church Building Type and Design Sources of a German church architect who had designed many churches and other buildings in Korea. P. Alwin Schmid(1904-1978) had designed 188 Catholic buildings in Korea for 20 years from 1958 to 1978. In his works there are many excellent Catholic ritual buildings. It was caused by his conviction on the theology and the principles of Church Architecture. And His remarkable achievement is affected by the works of Dominikus Bo"m(1880-1955) and Rudolf Schwarz(1897-1961). Alwin's 5 plan type is relevant to Schwarz' iconographic model, and their approach to 'light' is much the same. But the Character of inner space is the middle of Dominikus Bo"m and Rudolf Schwarz. His works rotted in the Liturgical Movement had been developed in the line of connection with 20th German church architecture. The works of Dominikus Bo"m and Rudolf Schwarz played the role of the teacher of Alwin Schwarz.
        5,200원
        20.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이규보의 불교관련시를 통하여 유자로서의 입지에 충실했던 이규보가 무신집권의 시대와 불교문화의 시대에 관료지식인으로서 정치 사회적 현실과 갈등하고 적응하면서 형성된 불교인식은 무엇이며, 그것이 그의 시에는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이규보의 불교관련시는 불교적 서정의 형상화에 있어서나 공사상으로 대표되는 불교적 사유를 시화하는 데 있어 상당한 문학적 성취를 이룬 것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의 詠物詩에 보이는 대상에 대한 직관적인 인식의 경향이 볼교관련시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이규보의 불교인식은 주로 젊어서의 법화경과 노년의 능염경을 비롯한 경전을 바탕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규보는 空恩想을 비롯한 불교적 사유를 시화하는 데 있어서도 탁윌한 문학적 성취를 이룬 것으로 파악 된다. 山夕詠井中月에서 보이는 것처럼 달[月]과 달빛이라는 평범한 불교적 소재를 시화하는데 있어 그 상투성을 벗어나 작품 안에 불교적 사유를 시로 형상화하는 데 탁월한 솜씨를 보여 주었다. 그 소재가 가지고 있는 실상과 허상과의 관계에 주목하여 불교의 기본 교리인 空思想을 생경하지 않게 문학적으로 시화한 것이다. 이것은 그의 불교에 대한 이해가 단순한 이해의 정도를 넘어서 있음을 시사하는 예라 할 것이다. 본고는 이규보의 불교관련시가 그의 불교 교리 이해에 상응할만한 불교 인식을 갖추고 있음에도 佛敎詩로서 요구되는 종교성이 결여되었음을 지적하였다. 그가 노년에 보여 준 불교에 대한 신앙에도 불구하고 불교라는 주제는 그의 시에 있어 주된 흐름이라 할 수 없고, 그것은 儒者로서의 입장이 불교에 대한 종교적 신앙으로 대체될 수는 없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본고를 통하여 기대되는 것은 이규보의 불교 인식과 불교시에 보이는 국면들이 이규보의 개인적인 성향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당시의 불교에 대한 일반적 정서 또는 불교 문학적 성취와의 관계 속에서 어떤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필 수 있으리라는 점이다. 이 점이 밝혀진다면 본고의 논의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바 이규보의 佛敎關聯詩를 통한 불교시 일반의 특질을 구명한다고 하는 문제에 한 결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8,900원
        1 2